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동적신장검사에서 저선량을 사용한 신장검사의 재현성 평가 = Evaluation on Reproducibility of Low-Dose Kidney Scan in Dynamic Kidney Sca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49284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동적신장검사는 신장기능을 영상화하는 대표적인 방법이다. 동적신장검사에서 저선량 방사성의약품의 사용으로 기존 동적신장검사와 저선량을 사용한 신장검사의 비교를 통한 동적신장검...

      동적신장검사는 신장기능을 영상화하는 대표적인 방법이다. 동적신장검사에서 저선량 방사성의약품의 사용으로 기존 동적신장검사와 저선량을 사용한 신장검사의 비교를 통한 동적신장검사의 재현성을 평가해 보기로 했다. 본 비교실험을 통해 재현성이 우수할 경우 환자에 투여하는 방사선량을 줄인 동적신장검사법을 활용하고 환자의 피폭을 줄이고자 한다. 감마카메라 장비로는 Orbiter, SymbiaE (Siemens, Germany)를 사용하였고, 2013년 1월부터 2014년 2월까지 370 Mbq (10mCi)을 사용한 환자와 동일 환자 중 2014년 3월부터 2015년 7월까지 185 Mbq (5 mCi)을 사용한 환자를 대상으로 $^{99m}Tc-DTPA$사용 검사 21명과 $^{99m}Tc-MAG_3$사용 검사 20명 총 41명을 대상으로 데이터를 선별하였다. 결과 영상의 Renogram에서 Peak 지점의 프레임을 선택하여 신장의 관심영역과 배후방사능의 관심영역을 설정하고 K/B ratio를 구하여 비교하였다. $^{99m}Tc-DTPA$를 사용한 검사에서 370 Mbq을 사용하였을 때의 K/B ratio는 평균 $5.67{\pm}0.8$이었고, 185 Mbq을 사용하였을 때는 평균 $5.62{\pm}0.87$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99m}Tc-MAG_3$를 사용한 검사에서도 신장/배후방사능 비는 370 Mbq을 사용 시 평균 $14.95{\pm}2.58$과 185 Mbq을 사용 시 평균 $14.56{\pm}2.02$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Paired sample t-test결과 p-value는 $^{99m}Tc-DTPA$ 0.566, $^{99m}Tc-MAG_3$ 0.363로 같은 비교집단 간 차이점이 없음을 확인하였다. 동일 환자를 대상으로 선량을 370 Mbq에서 185 Mbq로 줄였을 때의 동적신장검사의 재현성은 우수한 것으로 확인 되었다. 저선량 동적신장검사는 기존 감마카메라의 성능 개선 없이 재현성이 우수한 결과를 얻을 수 있고 환자의 피폭 또한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Dynamic kidney scan is a typical imaging technique that visualizes kidney function. Reproducibility of dynamic kidney scans has been evaluated by comparing low-dose kidney scans with low-dose radiopharmaceutical and standard dynamic kidney sca...

      Purpose Dynamic kidney scan is a typical imaging technique that visualizes kidney function. Reproducibility of dynamic kidney scans has been evaluated by comparing low-dose kidney scans with low-dose radiopharmaceutical and standard dynamic kidney scan. With this comparative study, if reproducibility is superb, the dynamic kidney scan method with reduced radioactivity to patients is to be utilized and radiation exposure to patient is to be reduced. Materials and Methods For gamma camera, Orbiter, SymbiaE (Siemens, Germany) was used. Among patients who had used 370 Mbq (10 mCi) from January of 2013 to February 2014 and other patients who had used 185 Mbq (5 mCi) from March of 2014 to July of 2015 with identical condition, 21 subjects using DTPA and 20 subjects using $MAG_3$, 41 subjects in total, had been selected as subjects for data. From renogram of the result image, frame of the peak point was selected. Then, region of interest of kidney and background had been selected and Kidney to Background Ratio has been calculated for comparison. Results In tests using DTPA, kidney to background ratio when using 370 Mbq was $5.67{\pm}0.8$ at average while it was $5.62{\pm}0.87$ when using 185 Mbq, which didn't show much difference. Also in the tests using $MAG_3$, kidney to background ratio when using 370 Mbq was $14.95{\pm}2.58$ at average and $14.56{\pm}2.02$ in 185 Mbq, which neither showed much difference. In paired sample t-test, p-value was 0.566 in DTPA and 0.363 in $MAG_3$, which confirmed that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Conclusion In identical patients, when dose was decreased from 370 Mbq to 185 Mbq, reproducibility of dynamic kidney scan was proven to be excellent. Low-dose Dynamic kidney scan can achieve results with fine reproducibility without improvement in performance of gamma camera and is expected to reduce radiation exposure to patient.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