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삼천리』에 게재된 문학대중화 담론 연구 = A Study on Literature Popularization Discourse Carried on 『Samcheolli』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03009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대중잡지는 사회의 갈등과 투쟁을 반영하여 다시 그 사회에 영향을 주는 담론의 생산지이다. 일제강점기 대중잡지인 『삼전리』 에도 시대적 변화에 따른 담론의 전략이 들어 있다. 거시적...

      대중잡지는 사회의 갈등과 투쟁을 반영하여 다시 그 사회에 영향을 주는 담론의 생산지이다. 일제강점기 대중잡지인 『삼전리』 에도 시대적 변화에 따른 담론의 전략이 들어 있다. 거시적인 차원에서는 일제의 문화정책에 따른 민족 담론과 반식민지 담론 그리고 따시즘 담론을 문화적 투쟁 전략으로 사용해 왔으며, 미시적인 차원에서는 당대 대중의 욕망과 일상의 흥빗거리 등을 통해서 근대적 시민의 사회ㆍ문화적인 문제들을 담론화해 왔다. 특히 『삼천리』 에서의 문학대중화 담론은 일제의 문화정책에 따른 잡지의 생존전략과 우회적 발언 수단이 맞물려 있다는 점에서 연구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이 논문은 잡지에 실린 문학 관련 글들을 담론의 주체 관점에서 논의해 보았다.
      첫째로, 문학 주체를 대중화하여 기존의 문학적 힘을 키우고 저변확대를 하려는 양상으로 나타난다. 이것은 대중을 문학의 주체로 호명해서 편승시키려는 전략으로 그들을 문학창작자로 참여시키거나 문학 독자들의 관심을 촉구하는 방식으로 담론화된다. 이런 담론은 그동안 계층화되어 왔던 문학적 신분의 민주화와 문학의 저변확대에 기여했다 잡지를 읽은 대중을 기존의 문학에 호응하게 하여, 문학의 계층을 확대하고, 발전 심화시켜 다른 지위로 존재하게 하려는 담론이다.
      둘째로, 근대 이전에는 경원시했던 타자적 문학을 복원하여 영역확대를 하려는 양상으로 나타난다. 이것은 여성 주체들의 신장된 위상을 보여주거나 농민이 문학주제로 참여해야 한다는 방식으로 담론화된다. 이런 담론은 많이 거론되지 않아 당대에 영향을 미치는 변혁의 주제로 서지는 못했지만 여성과 농민을 문학적 주체로 서게 하고, 문학의 영역을 확대하는 데에는 기여를 했다 시대의 재편과 독자충을 확보하기 위한 방면이 모색되는 과정에 생긴 담론이다.
      『삼천리』에 실린 문학대중화 담론은 문학민주화와 저변확대 그리고 영역확대에 일정한 기여를 했다. 시대적 상황으로 인해 불가피했던 문학대중화의 상업 적 전략이 오히려 문학을 대중에게 알려 문학적 질서를 재편 확대히는 데에 기여하게 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 popular magazine reflects social conflict and struggle and then, it becomes an area of production which gives influence to the society again. 『SamcheoIli』, a popular magazine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alism, had a strategy of discourse...

      A popular magazine reflects social conflict and struggle and then, it becomes an area of production which gives influence to the society again. 『SamcheoIli』, a popular magazine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alism, had a strategy of discourse according to chronological change. From the macroscopic viewpoint, it fluidly adopted nation discourse, semi-colonial discourse and fascism discourse according to cultural policy of the Japanese Empire, and from the microscopic viewpoint, it treated socialㆍcultural questions of modem citizens through desire and daily enjoyment of the public at that time. Literature popularization discourse among various discourses of『Samcheolli』has the appropriateness of research considering that it is closely related to survival strategies of a magazine.
      First, the existing literature to popularize the subject of literary aspects of power appears to want to expand the base of raising. Interpellation to the subject of popular literature piggybacking literary creators want them to participate in strategy or the way that literature is calling the attention of the reader. Meanwhile, in this discourse that has been layered with the democratization of literary identity contributes to the expansion of the base of literature. Public to read the magazine in response to the existing literature, to expand the hierarchy of literature and the development you want to deepen the discourse that exists in a different position.
      Second, the modem batsman who previously gyeongwonsi ever want to expand the literary aspects of the restoration of the area displayed. This is the subject of women farmers extended phase of or participation in this literature should be subject to the manner damronhwa. This does not talk about a lot of contemporary discourse on the subject of change that affects the surge is mainly literary did not stand up for women and farmers, and should take literary contribution to expanding. Reorganization of the times and secure a readership in the process of looking for a way this discourse is shaped.
      Discourses of literature popularization on 『SamcheoIli』played a certain role for the public to be a new literature subject or to have ideology. A commercial strategy of literature popularization which was selected due to situation of the time rather contributed to making the public informed of literature and to reorganizingㆍexpanding literature order.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요약>
      • Ⅰ. 서론 : 각종 담론의 생산지 『삼천리』
      • Ⅱ. 잡지의 문학대중화 담론 양상
      • Ⅲ. 결론 : 문학 민주화와 저변ㆍ영역 확대
      • <참고문헌>
      • <국문요약>
      • Ⅰ. 서론 : 각종 담론의 생산지 『삼천리』
      • Ⅱ. 잡지의 문학대중화 담론 양상
      • Ⅲ. 결론 : 문학 민주화와 저변ㆍ영역 확대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맹문재, "한국 민중시 문학사" 박이정 2001

      2 문성숙, "한국 대중문학론의 전개과정 연구" 한국문학연구소 (20) : 5-24, 1998

      3 김정숙, "한국 대중문학 범주에 대한 비판적 접근"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17) : 85-101, 2004

      4 전영표, "파인의 ‘삼천리’와 ‘대동아’지의 친일성향 연구" 출판문화학회 2001

      5 홍순애, "총력전체제하 대동아공영권과 식민정치의 재현 - 『삼천리』기행문을 중심으로"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15 (15): 307-328, 2011

      6 정미숙, "초기『삼천리』의 젠더 구성" 현대문학이론학회 (43) : 199-221, 2010

      7 천정환, "초기 『삼천리』의 지향과 1930년대 문화민족주의" 민족문학사학회 (36) : 204-235, 2008

      8 송명희, "잡지 <삼천리>의 사회주의 페미니즘 담론" 한국비평문학회 (38) : 240-266, 2010

      9 미셸 짐발리스트 로잘도, "여성․문화․사회" 한길사 2009

      10 김수진, "신여성, 근대의 과잉" 소명출판 2009

      1 맹문재, "한국 민중시 문학사" 박이정 2001

      2 문성숙, "한국 대중문학론의 전개과정 연구" 한국문학연구소 (20) : 5-24, 1998

      3 김정숙, "한국 대중문학 범주에 대한 비판적 접근"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17) : 85-101, 2004

      4 전영표, "파인의 ‘삼천리’와 ‘대동아’지의 친일성향 연구" 출판문화학회 2001

      5 홍순애, "총력전체제하 대동아공영권과 식민정치의 재현 - 『삼천리』기행문을 중심으로"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15 (15): 307-328, 2011

      6 정미숙, "초기『삼천리』의 젠더 구성" 현대문학이론학회 (43) : 199-221, 2010

      7 천정환, "초기 『삼천리』의 지향과 1930년대 문화민족주의" 민족문학사학회 (36) : 204-235, 2008

      8 송명희, "잡지 <삼천리>의 사회주의 페미니즘 담론" 한국비평문학회 (38) : 240-266, 2010

      9 미셸 짐발리스트 로잘도, "여성․문화․사회" 한길사 2009

      10 김수진, "신여성, 근대의 과잉" 소명출판 2009

      11 앤터니 이스톱, "시와담론" 지식산업사 1994

      12 김동환, "삼천리 제1호~제14-1호" 삼천리사 1929

      13 김동환, "삼천리 문학 제2호" 삼천리사 1938

      14 김동환, "삼천리 문학 제1호" 삼천리사 1938

      15 김영모, "변혁시대의 한국사" 동평사 1980

      16 유현주, "미디어 『삼천리』와 여배우 ‘문예봉’ -1930년대 『삼천리』에 수록된 좌담회․대담․설문 등을 중심으로-" 한국극예술학회 (33) : 51-83, 2011

      17 존스토리, "문화연구와 문화이론" 현실문화연구 1999

      18 강내희, "문화론의 문제설정" 문화과학사 1999

      19 존스토리, "문화 연구란 무엇인가" 커뮤니케이션북스 2001

      20 이동연, "대중문화연구와 문화비평" 문화과학사 2002

      21 이정옥, "대중문학과 독자" 중서사학회 (10) : 7-33, 2003

      22 박상천, "대중문학 연구 방법" 한국언어문학회 (16) : 321-340, 1998

      23 다이안 맥도넬, "담론이란 무엇인가" 한울 1992

      24 미셸 푸코, "담론의 질서" 새길 1993

      25 이정우, "담론의 공간" 민음사 1994

      26 문학이론연구학회, "담론 분석의 이론과 실제" 문학과지성사 2002

      27 장영은, "금지된 표상, 허용된 표상-1930년대 초반 『삼천리』에 나타난 러시아 표상을 중심으로" 상허학회 22 : 195-232, 2008

      28 유선영, "근대적 대중의 형성과 문화의 전환"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17 (17): 42-101, 2009

      29 스튜어트 유엔, "광고와 대중소비문화" 나남출판 2003

      30 스테판 에젤, "계급사회학" 한울아카데미 1993

      31 장성규, "『삼천리』의 외국문학 수용과 소수자 문학의 기획" 우리문학회 (29) : 427-455, 2010

      32 손유경, "『삼천리』에 나타난 인물 재현의 정치학 - ‘주의자’ 관련 기사를 중심으로" 규장각한국학연구원 (48) : 151-183, 2009

      33 조정희, "『삼천리』에 나타난 디아스포라적 현실대응 방식 - 1930년대 전반기 간도․만주기사를 중심으로 -" 한국언어문학교육학회 27 : 375-398, 2012

      34 김남석, "『삼천리』에 나타난 공연예술 담론 연구 ― 1930년대 전반기 간행 『삼천리』를 대상으로 ―" 우리어문학회 (37) : 629-666, 2010

      35 박경선, "『삼천리』에 나타난 1930년대의 결혼관" 인문과학연구소 (27) : 97-120, 2010

      36 이지원, "『삼천리』를 통해 본 친일의 논리와 정서" 한국역사연구회 (69) : 135-164, 2008

      37 정진경, "『삼천리』 시에 함축된 문화이데올로기" 인문과학연구소 (27) : 253-279, 2010

      38 전은경, "『만세보』의 <독자투고란>과 근대 대중문학의 형성-이인직의『혈의 누』와『귀의 성』을 중심으로-" 한국어문학회 (111) : 359-388, 2011

      39 김영은, "KBS 사장 해임 사채에 대한 뉴스 담론 연구" 한국언론정보학회 441-466, 2008

      40 김남석, "1930년대 후반 『삼천리』에 나타난 영화 담론 연구" 우리어문학회 (43) : 353-387, 2012

      41 서승희, "1930년대 최재서의 문화 기획 연구"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14 (14): 455-473, 2010

      42 김남석, "1930년대 초 동아시아 담론 연구" 동북아시아문화학회 86-89, 2009

      43 정혜영, "1930년대 종합대중잡지와 ‘대중적 공유성’의 의미" 한국현대소설학회 (35) : 139-155, 2007

      44 김소연, "1930년대 잡지에 나타난 근대백화점의 사회문화적 의미" 대한건축학회 25 (25): 131-138, 2009

      45 유석환, "1930년대 잡지시장의 변동과 잡지 『비판』의 대응 : 경쟁하는 잡지들, 확산되는 문학" 국제한국문학문화학회 (6) : 239-271, 2009

      46 조영복, "1930년대 신문 학예면과 문인기자 집단" 한국현대문학회 (12) : 155-184, 2002

      47 박숙자, "1930년대 大衆的 民族主義의 논리와 俗物적 내러티브 -『삼천리』 잡지를 중심으로-" 한국어문교육연구회 37 (37): 335-361,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3-2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Institute for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 The Journa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KCI등재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4-09-30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Institute for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9 0.29 0.3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3 0.41 0.555 0.1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