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신지연, "접속부사 ‘그러나’의 의미" 한국어의미학회 18 : 23-48, 2005
2 이동혁, "의미 관계의 저장과 기능에 대하여" 한글학회 (263) : 95-124, 2004
3 유재복, "우리말 대칭속담의 의미 생성 구조에 대한 연구" 한국언어문학회 45 : 453-470, 2001
4 최상진, "부연의 연결어미 ‘-지’의 의미와 용법" 한국어학회 42 : 291-316, 2009
5 임채훈, "방식(manner)의 의미역할과 문장 의미 구성 - ‘놀다’가 실현된 문장을 중심으로 -" 한국어의미학회 25 : 127-155, 2008
6 심재기, "반의어의 존재양상" 국어학회 3 : 135-149, 1975
7 임채훈, "반의관계에 의한 문장의미 형성과 어휘의미 확장" 한국어학회 85-97, 2009
8 이종철, "반의 관계 속담의 연구" 한국어교육학회 112 : 12-372, 2003
9 임지룡, "국어의미론" 탑출판사 1999
10 전수태, "국어 반의어의 의미구조" 박이정 1997
1 신지연, "접속부사 ‘그러나’의 의미" 한국어의미학회 18 : 23-48, 2005
2 이동혁, "의미 관계의 저장과 기능에 대하여" 한글학회 (263) : 95-124, 2004
3 유재복, "우리말 대칭속담의 의미 생성 구조에 대한 연구" 한국언어문학회 45 : 453-470, 2001
4 최상진, "부연의 연결어미 ‘-지’의 의미와 용법" 한국어학회 42 : 291-316, 2009
5 임채훈, "방식(manner)의 의미역할과 문장 의미 구성 - ‘놀다’가 실현된 문장을 중심으로 -" 한국어의미학회 25 : 127-155, 2008
6 심재기, "반의어의 존재양상" 국어학회 3 : 135-149, 1975
7 임채훈, "반의관계에 의한 문장의미 형성과 어휘의미 확장" 한국어학회 85-97, 2009
8 이종철, "반의 관계 속담의 연구" 한국어교육학회 112 : 12-372, 2003
9 임지룡, "국어의미론" 탑출판사 1999
10 전수태, "국어 반의어의 의미구조" 박이정 1997
11 임채훈, "국어 문장 의미 연구" 경희대학교 2007
12 이승명, "국어 대칭 속담의 연구" 경북어문학회 27 : 1993
13 Lyons, J., "Semantics (2 vol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77
14 Murphy, M. Lynne, "Semantic relations and the lexicon : antonymy, synonymy, and other paradigms9의미관계와 어휘사전)" 박이정 2008
15 Justeson J. S., "Redefining Antonymy: The Textual Structure of a semantic Relation" 7 : 176-184, 1991
16 Lehrer, A., "Gradble antonymy and complementarity in : Handbook of Lexicology" Walter de Gruyter 498-506, 2002
17 Cameron, D., "Feminism and linguistic theory" St. Martin's Press 1985
18 Fellbaum, C., "Co-occurrence and Antonymy" 8 (8): 281-303, 1994
19 Mettinger, A., "Aspects of Semantic Opposition in English" Oxford University Press 1994
20 Jones, Steven, "Antonymy - A corpus-based perspectives" Routledge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