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목공놀이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 및 인지양식에 미치는 효과 = Effect of woodworking activities on children's creativity and cognitive styl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8999012

      • 저자
      • 발행사항

        전주 : 全北大學校 大學院, 2003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전북대학교 대학원 , 임산공학과 , 2003. 8

      • 발행연도

        2003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KDC

        584.9 판사항(4)

      • DDC

        684.1 판사항(21)

      • 발행국(도시)

        전북특별자치도

      • 형태사항

        vii, 119p. : 삽도 ; 27cm

      • 일반주기명

        참고문헌: p. 55-57

      • 소장기관
        • 전북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본 연구는 유아를 대상으로 실시한 목공놀이 프로그램이 창의성과 인지양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유아교육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목공놀이 프로그램을 개발할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목공놀이의 경험은 유아의 창의성의 하위요인인 유창성, 독창성, 정교성, 개방성을 증진시키는가?
      2. 목공놀이의 경험은 유아의 장의존성-장독립성 인지양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는 全州市 소재 유아교육기관 한 곳을 선정하여 만 5세 유아 1개 반은 실험집단(10명)으로, 다른 1개 반은 비교를 위한 통제집단(10명)으로 구성하여 총 20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창의성 검사를 위해서는 Torrance의 창의력 사고 검사(TTCT; Torrance Tests Creative Thinking)를, 인지양식 검사를 위해서는 전윤식(1984)이 표주화시킨 유아용 잠입도형검사(PEFT; Preschooler Embedded Figures Test)를 사용하였다.
      두 집단을 대상으로 사전검사를 수행한 후 실험집단에게는 무인도를 주제로 구성한 프로젝트 접근 목공놀이 프로그램을 총 13회기(주 1회)에 걸쳐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에게는 프로그램을 처치하지 않았다. 프로그램이 끝난 후 두 집단에 대한 사후검사를 수행하고 SPSSWIN 10.0을 활용하여 창의성 하위요인과 장의존성-장독립성 인지양식에 대하여 각각 t 검증하여 본 목공놀이 프로그램의 통계적 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문제를 중심으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본 목공놀이 프로그램은 유아의 창의성에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었
      다. 실험집단은 통제집단보다 유창성, 독창성, 정교성, 개방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평균점수를 얻었다.
      2. 본 목공놀이 프로그램을 경험한 실험집단의 인지양식은 보다 높은 장독립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목공놀이 프로그램의 경험으로 유아의 창의성이 증진되었고, 장독립성 인지양식에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이러한 목공놀이 프로그램은 작업환경과 도구를 보완한다면 유아교육현장에서도 수행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유아를 대상으로 실시한 목공놀이 프로그램이 창의성과 인지양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유아교육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목공놀이 프로그램을 개발할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본 연구는 유아를 대상으로 실시한 목공놀이 프로그램이 창의성과 인지양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유아교육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목공놀이 프로그램을 개발할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목공놀이의 경험은 유아의 창의성의 하위요인인 유창성, 독창성, 정교성, 개방성을 증진시키는가?
      2. 목공놀이의 경험은 유아의 장의존성-장독립성 인지양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는 全州市 소재 유아교육기관 한 곳을 선정하여 만 5세 유아 1개 반은 실험집단(10명)으로, 다른 1개 반은 비교를 위한 통제집단(10명)으로 구성하여 총 20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창의성 검사를 위해서는 Torrance의 창의력 사고 검사(TTCT; Torrance Tests Creative Thinking)를, 인지양식 검사를 위해서는 전윤식(1984)이 표주화시킨 유아용 잠입도형검사(PEFT; Preschooler Embedded Figures Test)를 사용하였다.
      두 집단을 대상으로 사전검사를 수행한 후 실험집단에게는 무인도를 주제로 구성한 프로젝트 접근 목공놀이 프로그램을 총 13회기(주 1회)에 걸쳐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에게는 프로그램을 처치하지 않았다. 프로그램이 끝난 후 두 집단에 대한 사후검사를 수행하고 SPSSWIN 10.0을 활용하여 창의성 하위요인과 장의존성-장독립성 인지양식에 대하여 각각 t 검증하여 본 목공놀이 프로그램의 통계적 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문제를 중심으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본 목공놀이 프로그램은 유아의 창의성에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었
      다. 실험집단은 통제집단보다 유창성, 독창성, 정교성, 개방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평균점수를 얻었다.
      2. 본 목공놀이 프로그램을 경험한 실험집단의 인지양식은 보다 높은 장독립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목공놀이 프로그램의 경험으로 유아의 창의성이 증진되었고, 장독립성 인지양식에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이러한 목공놀이 프로그램은 작업환경과 도구를 보완한다면 유아교육현장에서도 수행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This paper has examined the effect of woodworking activities on children's creativity and cognitive style and tried to develop woodworking program applicable for children education.
      For this, this paper has set up study plan as follows:
      1. Do really woodworking activities enhance children's fluency, originality, elaboration, and openness that are subordinate factors of children's creativity?
      2. What effects do woodworking activities have on children's field independence-dependence cognitive style?
      One of kindergartens located in Jeonju-si, Korea was chosen, and a research has been conducted based on two groups; experimental group consisted of 10 children aged 5 or less and control group (10 children). To examine children's creativity, TTCT (Torrance Tests Creative Thinking) was used while PEFT (Preschooler Embedded Figures Test) was used to inspect children's cognitive style.
      After conducting preliminary review on the said two groups, a desert island-titled woodworking program has applied weekly (13 times in total) to the experimental group while no program has applied to the control group. After the experiment above ended, post-test was made on the two groups. Furthermore, the statistical effect of the woodworking program has been examined by t-test on the subordinate factors of creativity and field independence- dependence cognitive style, using SPSSWIN 10.0 program.
      This study shall be summarized as follows:
      1. It vindicated that the woodworking program had a positive effect on forming of creativity in children an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statistically showed better result than the control group in terms of fluency, originality, elaboration, and openness.
      2. The experimental group that was given with the program showed higher field independence in terms of cognitive style.
      In conclusion, this study proved that the woodworking program would contribute in enhancing children's creativity and providing a positive effect on forming of field independence in terms of cognitive style, and that the program would be greatly utilized in the field.
      번역하기

      This paper has examined the effect of woodworking activities on children's creativity and cognitive style and tried to develop woodworking program applicable for children education. For this, this paper has set up study plan as follows: 1. Do really...

      This paper has examined the effect of woodworking activities on children's creativity and cognitive style and tried to develop woodworking program applicable for children education.
      For this, this paper has set up study plan as follows:
      1. Do really woodworking activities enhance children's fluency, originality, elaboration, and openness that are subordinate factors of children's creativity?
      2. What effects do woodworking activities have on children's field independence-dependence cognitive style?
      One of kindergartens located in Jeonju-si, Korea was chosen, and a research has been conducted based on two groups; experimental group consisted of 10 children aged 5 or less and control group (10 children). To examine children's creativity, TTCT (Torrance Tests Creative Thinking) was used while PEFT (Preschooler Embedded Figures Test) was used to inspect children's cognitive style.
      After conducting preliminary review on the said two groups, a desert island-titled woodworking program has applied weekly (13 times in total) to the experimental group while no program has applied to the control group. After the experiment above ended, post-test was made on the two groups. Furthermore, the statistical effect of the woodworking program has been examined by t-test on the subordinate factors of creativity and field independence- dependence cognitive style, using SPSSWIN 10.0 program.
      This study shall be summarized as follows:
      1. It vindicated that the woodworking program had a positive effect on forming of creativity in children an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statistically showed better result than the control group in terms of fluency, originality, elaboration, and openness.
      2. The experimental group that was given with the program showed higher field independence in terms of cognitive style.
      In conclusion, this study proved that the woodworking program would contribute in enhancing children's creativity and providing a positive effect on forming of field independence in terms of cognitive style, and that the program would be greatly utilized in the fiel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i
      • ABSTRACT = vi
      • I.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 = 1
      • 2. 연구 문제 = 4
      • 목차 = i
      • ABSTRACT = vi
      • I.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 = 1
      • 2. 연구 문제 = 4
      • II. 이론적 배경 = 5
      • 1. 목공놀이의 의의와 교육적 가치 = 5
      • 1.1 목공놀이의 유아발달적 의의 = 5
      • 1.2 목재의 교재(敎材)로서의 가치 = 10
      • 2. 창의성 = 13
      • 2.1 창의성의 개념 = 13
      • 2.2 창의성의 구성요소 = 16
      • 2.3 목공놀이와 창의성 = 18
      • 3. 인지양식 (認知樣式) = 19
      • 3.1 인지양식의 개념과 유형 = 19
      • 3.2 장독립성-장의존성 인지양식 = 20
      • 3.3 장독립성 인지양식과 창의성 = 21
      • 4. 목공놀이의 프로젝트 접근 = 22
      • 5. 목공놀이의 환경과 교사의 역할 = 24
      • 5.1 목공놀이 환경과 도구 = 24
      • 5.2 교사의 역할 = 26
      • III. 연구방법 = 29
      • 1. 실험설계 = 29
      • 2. 연구대상 = 30
      • 3. 연구절차 = 30
      • 3.1 목공놀이 프로그램 개발 과정 = 30
      • 3.2 실험처치를 위한 목공놀이 프로그램 = 32
      • 4. 측정도구 = 36
      • 4.1 창의성 검사 = 36
      • 4.2 인지양식 검사 = 38
      • 5. 자료분석 = 40
      • IV. 연구결과 = 41
      • 1. 목공놀이 활동의 창의성 증진효과 = 41
      • 2. 목공놀이 활동의 인지양식에 대한 영향 = 46
      • V. 요약 및 결론 = 48
      • 1. 요약 = 48
      • 2. 논의 및 결론 = 49
      • 인용문헌 = 55
      • 부록 = 5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