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친밀감 증대를 위한 세대교류형 주거내의 교류활성화 프로그램에 관한 기초연구 = Basic Study on the Activation Plan for Intergenerational Exchange Programs in the Hous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12207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배경 및 목적) 우리나라는 전체 인구에서 차지하는 고령자의 비율(65세 이상 인구)은 14.9%를 차지하며, 이에 따른 비율은 점차 높아지고 있다.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2050년에는 1900만 7천...

      (연구배경 및 목적) 우리나라는 전체 인구에서 차지하는 고령자의 비율(65세 이상 인구)은 14.9%를 차지하며, 이에 따른 비율은 점차 높아지고 있다.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2050년에는 1900만 7천명 까지 늘어날 전망으로 예측함에 고령화를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 되고 있다. 또한, 가족이 없는 독거노인들의 경우 고독사의 위험에 노출되고 있으며 사회활동이 저하됨에 무력감을 느껴 우울증을 앓는 등의 문제가 발생됨에 각 시에서는 여러 정책들을 진행하고 있으며 서울시 경우 ‘한지붕세대공감’, 부산의 ‘동거동락’정책을 수립해 시행하였다. 이러한 정책은 주택을 보유하고 있는 노인들의 주택을 활용하여 청년들에게는 저렴한 가격의 주거환경(방을 내어주는 형태로 방은 따로 사용하나, 거실, 화장실, 현관 등의 부분들을 공동으로 사용하는 형태)을 제공하며, 노인들에게는 노인 이외의 세대와의 교류로 상호 보완을 통한 교류사회를 형성함에 고독사 및 청년 주거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정책을 시행하기에는 기존의 노인이 주거하던 공간에 공간상의 변화를 주지 않고 청년층이 들어가는 형태의 주거형식으로 청년과 노인층 모두 다 고려하지 않은 형태로 진행됨에 정책에서 추진하고 있는 교류활성화 보단 공간 안에서의 노인과 청년의 개인의 프라이버시 미확보 및 의사소통의 부재 등 기존의 목적을 상실한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음에 이를 해결하고자 노인층과 청년층의 공동주거는 유지하되 세대 간 교류를 강화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 도입을 통해 새로운 세대교류형 주거를 제안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노인과 청년을 중심 대상으로 하여 기존의 정책에서 발생한 문제점을 공간프로 그램을 통하여 해결 방법을 모색하고자 하였으며 연구의 방법은 사례 조사를 통하여 세대 간 교류가 활성화 될 수 있는 프로그램을 도출하고 사례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교류 프로그램의 종류를 세분화하여 적용 프로그램을 제안하는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사례 분석의 방법으로는 첫째, 선행연구와 유사사례 분석을 통하여 세대 간 교류활동이 일어날 수 있는 프로그램을 도출한다. 둘째, 세대의 구성에 따른 실 배치의 동선특성과 공간의 내부적 특성을 분석한다. 셋째, 분석한 교류공간과 실공간 배치 및 결합을 통해 기존보다 교류 프로그램이 강화된 평면을 도출한다. (결론) 국내 세대교류형 주거를 활성화시키기 위해 각 구성원 별로 주거 유닛을 구성해주고 다양한 편의시설을 통하여 주거 민들이 선택적으로 교류하고 친밀감을 쌓아갈 수 있도록 교류방안을 구성하는 것이 적합하다고 판단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ackground and Purpose) In Korea, the ratio of the elderly (65 years old or older) to the total population accounts for 14.9%, and the proportion is gradually increasing. According to statistics from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it is predicted t...

      (Background and Purpose) In Korea, the ratio of the elderly (65 years old or older) to the total population accounts for 14.9%, and the proportion is gradually increasing. According to statistics from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it is predicted that the number will increase to 197,000 in 2050, and various studies are being conducted for aging. In addition, in the case of elderly people living alone without families, they are exposed to the risk of loneliness, and problems such as depression due to a feeling of helplessness due to a decrease in social activities, Seoul`s‘Hanjibung sedae gong gam’ & Busan`s ‘Donggo Donnglak ' policy was established and implemented. This policy is a low-cost residential environment for young people by utilizing the houses of the elderly who own houses (a room is provided, but the room is used separately, but the living room, toilet, and the entrance are shared) It aims to solve the problem of loneliness and youth housing for the elderly by forming an exchange society through complementary exchanges with generations other than the elderly. However, in order to implement the policy, the youth do not change the space plan and enter the existing space where the elderly lived and do not consider both the elderly and the young. Rather than promoting the exchange promoted by the policy, it is proceeding in the direction of losing the existing purpose, such as the lack of individual privacy in the space and the lack of communication between the elderly and young people in the space. To solve this problem, a program to strengthen exchanges between the elderly and youth is introduced, and a new generation exchange-type housing is proposed. (Method) This study aimed at finding a solution to the problems arising from existing policies through a spatial program, focusing on the elderly and young adult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e types of exchange programs were subdivided and applied programs were proposed. As a method of case analysis, first, through previous research and similar case analysis, we derive a program in which intergenerational exchange activities can take place. Second, it analyzes the flow characteristics of the room layout and the internal characteristics of the space according to the composition of the household. Third, through the arrangement and combination of the analyzed exchange space and real space, a plane with enhanced exchange programs is derived. (Results) In order to revitalize the domestic household exchange-type housing, it is considered appropriate to construct a housing unit for each member and to construct an exchange plan so that residents can selectively exchange and build intimacy through various convenience faciliti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주연, "홈셰어 가이드라인 개발을 위한 세대간의 사용공간 동선과 공유 활동 특성 분석" 한국생활환경학회 25 (25): 364-373, 2018

      2 박혜선, "종합사회복지관 세대간 교류공간 계획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24 (24): 133-143, 2008

      3 통계청, "장래인구추계 (2017~2067)"

      4 서수정, "유럽 코하우징 및 셰어하우스 운영사례 조사" 건축도시공간연구소 2017

      5 정다운, "세대통합형 하우스셰어링에 대한 청년층과 노년층의 인식 비교" 가정과삶의질학회 33 (33): 65-75, 2015

      6 주택건축국 임대주택과, "세대융합형 룸셰어링 사업 개선계획"

      7 이미숙, "비혈연 고령자-청년의 홈셰어 공동생활 관계" 한국주거학회 28 (28): 61-71, 2017

      8 김주연, "고령자의 세대간 홈셰어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한국생활환경학회 25 (25): 403-413, 2018

      9 이재향, "고령사회에 대응한 도시형 코하우징 내 세대교류 활성화 계획에 관한 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7 (7): 29-39, 2012

      10 Yu, Ga-Eul, "The Exploration and Development Direction of Intergenerational Share House for the Elderly and Young Student" 29 (29): 247-250, 2017

      1 김주연, "홈셰어 가이드라인 개발을 위한 세대간의 사용공간 동선과 공유 활동 특성 분석" 한국생활환경학회 25 (25): 364-373, 2018

      2 박혜선, "종합사회복지관 세대간 교류공간 계획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24 (24): 133-143, 2008

      3 통계청, "장래인구추계 (2017~2067)"

      4 서수정, "유럽 코하우징 및 셰어하우스 운영사례 조사" 건축도시공간연구소 2017

      5 정다운, "세대통합형 하우스셰어링에 대한 청년층과 노년층의 인식 비교" 가정과삶의질학회 33 (33): 65-75, 2015

      6 주택건축국 임대주택과, "세대융합형 룸셰어링 사업 개선계획"

      7 이미숙, "비혈연 고령자-청년의 홈셰어 공동생활 관계" 한국주거학회 28 (28): 61-71, 2017

      8 김주연, "고령자의 세대간 홈셰어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한국생활환경학회 25 (25): 403-413, 2018

      9 이재향, "고령사회에 대응한 도시형 코하우징 내 세대교류 활성화 계획에 관한 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7 (7): 29-39, 2012

      10 Yu, Ga-Eul, "The Exploration and Development Direction of Intergenerational Share House for the Elderly and Young Student" 29 (29): 247-250, 2017

      11 Hanna †stlund, "SHARING IS CARING How to Design a Sharing Community" Chalmers School of Architecture 2016

      12 Lee, Mi-Suk, "Performance of the Family Role in Daily Life using Home Share" 151-152, 2016

      13 Stefano Capolongo, "Mixed-Generation Housing Nuove forme dell’abitare per la promozione della salute e della vita attiva" POLITECNICO DI MILANO 2014

      14 G. Aperre, "Habitat Interg‰n‰rationnel € Paris 10ˆme"

      15 Lee, Mi-Suk, "Common Life of Housing by the Elderly and Young Student based on Case Studies of the Homeshare" 37 (37): 73-76, 2017

      16 박은선, "50+세대와 청년세대의 주거의식 및 요구 비교" 서울시50+재단 201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6-0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Korea Intitute of the spatial design -> Journal of Korea Intitute of Spatial Design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7 0.47 0.5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1 0.52 0.692 0.2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