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이수정과 일본기독교와의 관계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08790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한국기독교 수용자의 한 축을 이룬 인물이 이수정이다. 이수정의 기독교수용은 한국 프로테스탄트 수용역사에 있어 지식인계층 수용의 중심축을 이룬다. 이로써 비교되기를 만주의 서상륜과 ‘로스성서’ 번역자들에 의한 수용루트가 민중계층 수용의 특성을 지닌 것과 달리 일본을 기점으로 하는 기독교 수용은 ‘양반, 엘리트’ 수용의 특징으로 함축된다고도 할 수 있다. 이렇듯 이수정은 한국 프로테스탄트역사에서 엘리트 수용자의 대표적 첫 당사자이다. 그동안 그의 연구는 개인의 생애, 활동, 미국선교사들의 한국선교 착수를 권고하는 선교사 유치 노력, 그리고 특별한 업적으로 성서번역의 주제를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이들 연구는 한국기독교 수용 역사에서 이수정의 위치를 충실히 정리해 주는 주제들이다. 그런데 본 논문에서는 이수정의 프로테스탄트 수용 활동의 바탕, 즉 ‘콘텍스트’가 되는 당시의 일본, 일본기독교, 그리고 이수정과 관련되었던 일본의 조력자들을 중심으로 접근하고자 한다. 이는 한국기독교 수용역사에서 일본이 지닌 역할, 하나의 중요한 관계 축으로서의 의의를 확인하는 주제이다. 이수정은 한국기독교의 수용자일 뿐 아니라 한일기독교 관계사의 첫 사람이다. 그는 또한 한국 신구교의 연결 정체성을 지니기도 했다. 또한 미국선교사의 한국선교 유치를 주도하고, 첫 선교사들의 내한에 관여함으로 한미기독교의 중간자로서도 역할을 하였다. 결국 이수정은 서로 다른 주체 간의 관계를 성립시키는 사명을 다했다. 이 논문에서는 특히 이수정과 일본기독교의 관계, 더 나아가면 한일기독교의 초기 관계사의 관점에 유의했다. 이수정 시대의 한일 기독교, 물론 이 시기의 한국기독교의 실체는 존재하지 않았지만 말이다, 아무튼 긍정적 관계에서 출발했다. 일본의 초기 기독교인들은 이수정을 한 예로 만나면서 자신들의 선교자로서, 더 근본적으로는 크리스천으로서의 사명을 발견했던 것으로 보인다.
      번역하기

      한국기독교 수용자의 한 축을 이룬 인물이 이수정이다. 이수정의 기독교수용은 한국 프로테스탄트 수용역사에 있어 지식인계층 수용의 중심축을 이룬다. 이로써 비교되기를 만주의 서상륜...

      한국기독교 수용자의 한 축을 이룬 인물이 이수정이다. 이수정의 기독교수용은 한국 프로테스탄트 수용역사에 있어 지식인계층 수용의 중심축을 이룬다. 이로써 비교되기를 만주의 서상륜과 ‘로스성서’ 번역자들에 의한 수용루트가 민중계층 수용의 특성을 지닌 것과 달리 일본을 기점으로 하는 기독교 수용은 ‘양반, 엘리트’ 수용의 특징으로 함축된다고도 할 수 있다. 이렇듯 이수정은 한국 프로테스탄트역사에서 엘리트 수용자의 대표적 첫 당사자이다. 그동안 그의 연구는 개인의 생애, 활동, 미국선교사들의 한국선교 착수를 권고하는 선교사 유치 노력, 그리고 특별한 업적으로 성서번역의 주제를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이들 연구는 한국기독교 수용 역사에서 이수정의 위치를 충실히 정리해 주는 주제들이다. 그런데 본 논문에서는 이수정의 프로테스탄트 수용 활동의 바탕, 즉 ‘콘텍스트’가 되는 당시의 일본, 일본기독교, 그리고 이수정과 관련되었던 일본의 조력자들을 중심으로 접근하고자 한다. 이는 한국기독교 수용역사에서 일본이 지닌 역할, 하나의 중요한 관계 축으로서의 의의를 확인하는 주제이다. 이수정은 한국기독교의 수용자일 뿐 아니라 한일기독교 관계사의 첫 사람이다. 그는 또한 한국 신구교의 연결 정체성을 지니기도 했다. 또한 미국선교사의 한국선교 유치를 주도하고, 첫 선교사들의 내한에 관여함으로 한미기독교의 중간자로서도 역할을 하였다. 결국 이수정은 서로 다른 주체 간의 관계를 성립시키는 사명을 다했다. 이 논문에서는 특히 이수정과 일본기독교의 관계, 더 나아가면 한일기독교의 초기 관계사의 관점에 유의했다. 이수정 시대의 한일 기독교, 물론 이 시기의 한국기독교의 실체는 존재하지 않았지만 말이다, 아무튼 긍정적 관계에서 출발했다. 일본의 초기 기독교인들은 이수정을 한 예로 만나면서 자신들의 선교자로서, 더 근본적으로는 크리스천으로서의 사명을 발견했던 것으로 보인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들어가는 말 - 이수정 연구의 바탕으로서 일본기독교
      • Ⅱ. 이수정의 도일 경위와 활동 개요
      • Ⅲ. 이수정 일본 활동 당시 일본기독교 상황
      • Ⅳ. 이수정과 일본기독교계 인물
      • Ⅴ. ‘일본기독교친목회’와 이수정
      • Ⅰ. 들어가는 말 - 이수정 연구의 바탕으로서 일본기독교
      • Ⅱ. 이수정의 도일 경위와 활동 개요
      • Ⅲ. 이수정 일본 활동 당시 일본기독교 상황
      • Ⅳ. 이수정과 일본기독교계 인물
      • Ⅴ. ‘일본기독교친목회’와 이수정
      • Ⅵ. 맺음말 - 이수정과 한일기독교관계사의 변천
      • 참고문헌
      • 한글초록
      • 日文要約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요나, "한국의 ‘마게도니아’ 사람" 대한예수교장로회 총회 출판국 1994

      2 김수진, "한국기독교선구자 이수정" 도서출판 진흥 2006

      3 이수환, "일본에서 한국을 선교한 이수정 선교사 이야기" 도서출판 목양 2012

      4 이광린, "이수정의 인물과 그 활동" 1986

      5 김태준, "이수정, 동포의 영혼의 구제를 위한 염원" 2 : 1997

      6 吳允台, "韓國基督敎史Ⅳ-改新敎 傳來史 先驅者 李樹廷編" 혜선출판사 1983

      7 "明治学院歴史資料館資料集 (第8集)" 明治学院歴史資料館 2011

      8 小川圭治, "日韓キリスト教関係史資料(1876-1922)" 新敎出版社 1984

      9 徐正敏, "日韓キリスト教関係史研究" 日本キリスト教団出版局 2009

      10 朝井佐智子, "日清戦争開戦前夜の東邦協会" 愛知淑徳大学大学院

      1 김요나, "한국의 ‘마게도니아’ 사람" 대한예수교장로회 총회 출판국 1994

      2 김수진, "한국기독교선구자 이수정" 도서출판 진흥 2006

      3 이수환, "일본에서 한국을 선교한 이수정 선교사 이야기" 도서출판 목양 2012

      4 이광린, "이수정의 인물과 그 활동" 1986

      5 김태준, "이수정, 동포의 영혼의 구제를 위한 염원" 2 : 1997

      6 吳允台, "韓國基督敎史Ⅳ-改新敎 傳來史 先驅者 李樹廷編" 혜선출판사 1983

      7 "明治学院歴史資料館資料集 (第8集)" 明治学院歴史資料館 2011

      8 小川圭治, "日韓キリスト教関係史資料(1876-1922)" 新敎出版社 1984

      9 徐正敏, "日韓キリスト教関係史研究" 日本キリスト教団出版局 2009

      10 朝井佐智子, "日清戦争開戦前夜の東邦協会" 愛知淑徳大学大学院

      11 土肥昭夫, "日本プロテスタント・キリスト教史" 新教出版社 1982

      12 土肥昭夫, "内村鑑三" 日本基督教団出版局 1975

      13 政也仁, "内村鑑三" 三一書店 1953

      14 "七一雜報"

      15 "Rijuteis Appeel for Missionaries, Yokohama Dec. 13, 1883" 7 : 188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04-21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Society For Korean Church History -> The Society of the History of Christianity in Korea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3 0.43 0.5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 0.64 0.945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