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현대공간에 나타나는 역공간(逆空間)의 특성연구 = A Study on the Liminal Space Characteristics of Contemporary Architecture - Focused on of Herzog & de Meuron`s Architecture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75127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 variety of attempts for trends to overcome the limits of the uniform styles and a fixed dichotomous structure and thoughts, have been made. This research aims to apply and analyze the application of concepts of the liminal space of contemporary arch...

      A variety of attempts for trends to overcome the limits of the uniform styles and a fixed dichotomous structure and thoughts, have been made. This research aims to apply and analyze the application of concepts of the liminal space of contemporary architecture based on the destructive inclination of post-structuralism and the theories of philosophers. Space of the past was recognized for a long time focused on functions and styles that support the building In modern and contemporary spaces, however, the boundary of contemporary space has been blurred with the mingling of cultural phenomenon. In order words, new architectural approaches of expression have been attempted such as structure, styles and materials, in combination of diversified concepts. And, the concept of liminal space is useful to identify the multi-layered and fluid characteristics. This study examines various characteristics of expression on the liminal space characteristics of comtemporary architecture based on Herzog and de Meuron`s architecture. The result will help us understand the express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liminal space that belongs nowhere among their architectural spaces. The analysis of the ases of Herzog and de Meuron will play a crucial role in developing new possibilities of modern space and contemporary space of the futur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1. 서론
      • 2. 역공간 개념과 사유적 접근
      • 3. 역공간의 표현특성 연구
      • 4. 종합분석
      • Abstract
      • 1. 서론
      • 2. 역공간 개념과 사유적 접근
      • 3. 역공간의 표현특성 연구
      • 4. 종합분석
      • 5.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기혁, "현대건축에서 나타나는 복합적 외피의 표현적 특성에 관한 연구 : 헤르조그 & 드 뮤론의 건축물을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2

      2 최재원, "헤르조크 & 드 뮤론 건축의 맥락적 구축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2

      3 송윤희, "헤르조그와 데뮤론의 건축 공간에서 나타나는 텍토닉의 개념과 표현방법의 특성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 2012

      4 임수정, "헤르조그 & 드 뮤론의 건축적 사고와 개념에 기초한 공간표현방법에 관한 연구 : 들뢰즈의 '추상기계' 개념을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 2013

      5 질 들뢰즈, "천개의 고원" 새물결 2001

      6 빅터 터너, "제의에서 연극으로" 현대미학사 2011

      7 전종찬, "입체복합시설을 통한 도심밀집지역 활성화 방안에 대한 연구" 건국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 2013

      8 허정원, "이동에 의한 공간 인식과 정체성 연구 : 연구자 작품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3

      9 조경진, "역공간(Liminal Space) 개념으로 해석한 현대도시 공공공간의 혼성적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 39 (39): 49-59, 2011

      10 이정우, "시뮬라크르의 시대" 거름 1999

      11 이규현, "말과 사물" 민음사 2012

      12 김형효, "데리다와 해체철학" 민음사 1998

      13 Heinz Kimmerle, "데리다 철학의 개론적 이해" 서광사 2003

      14 임성훈, "공간에서 촉각적 감각과 깊이의 문제에 대하여 - 에르조그와 드 뫼롱의 건축을 중심으로 -" 대한건축학회 30 (30): 187-194, 2014

      15 장정제, "건축가를 위한 푸코" 시공문화사·Spacetime 2013

      16 Zukin, Sharon, "Landscape of Power"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91

      17 전혜숙, "Inter-spaces" 이화아트센터 2005

      18 김창현, "Herzog & de Meuron의 건축적 특성에 관한 연구 : 들뢰즈의 차이와 반복의 개념을 중심으로" 호서대학교 대학원 2005

      19 허세연, "CHORA의 경계적신체 (Liminal Bodies)에서 나타나는 탈영역화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5 0.45 0.4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5 0.42 0.758 0.1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