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스플레이 기술은 비약적으로 발전되었다. 특히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 대한 연구를 관련 기업들이 앞다투어 진행하고 있다. 현재 시장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초기 단계인 커브드 디...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1778426
2015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13-19(7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디스플레이 기술은 비약적으로 발전되었다. 특히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 대한 연구를 관련 기업들이 앞다투어 진행하고 있다. 현재 시장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초기 단계인 커브드 디...
디스플레이 기술은 비약적으로 발전되었다. 특히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 대한 연구를 관련 기업들이 앞다투어 진행하고 있다. 현재 시장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초기 단계인 커브드 디스플레이를 사용한 스마트폰, TV 등이 출시되어 있고, 데스크탑용 커브드 모니터 역시 최근에 출시되어 사무용 또는 엔터테인먼트용으로 이용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엔터테인먼트용으로 50” 멀티 모니터를 사용시 모니터의 곡률이 사용 자세 제어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것이다. 실험에는 두 종류의 곡률 (평면, 곡률반경 600mm)이 사용되었다. 총 10명의 근골격계질환이 없고, 양안 시력이 모두 0.8이상이고, 색맹 또는 색약이 아닌 평균 (SD) 20.9 (1.5)세의 대학생들이 실험에 참여하였다. 피험자들은 일반적인 VDT 환경의 실험실에서 각 곡률당 30분씩 핸들과 페달을 사용해 운전 게임을 하였다. 각 피험자가 운전 게임을 하는 동안 의자 위에 놓여진 압력 매트를 통해 이들의 COP (Center of Pressure)가 측정되었다. 자세제어 분석을 위하여, 총 4개의 COP 측정치, Mean Velocity, Median Power Frequency, Root-Mean-Square (RMS) Distance, 그리고 95% Confidence Ellipse Area를 사용하였다. 실험 결과, 곡면대비 평면 디스플레이에서 전후 방향(Anterior-Posterior; AP)의 RMS distance값이 더 큰 경향을 보였다. 이 결과를 통해 평면 디스플레이를 사용하여 운전 게임을 하는 동안 피험자의 전후 방향으로 몸을 더 많이 움직였다고 할 수 있다. 이는 평면 디스플레이가 곡면 디스플레이보다 화면의 가로방향으로 시거리 차이가 더 크기 때문에, 초점의 이동시간이 더 길어지는 것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 또한, 평면 디스플레이 대비 곡면 디스플레이에서 더 높은 몰입감을 느끼거나, 더 집중할 수 있는 것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 디스플레이 곡률에 따른 이런 행동상의 차이가 근골격계 질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Display technology has recently made enormous progress. In particular, display companies are competing each other to develop flexible display. Curved display, as a precursor of flexible display, are now used for smart phones and TVs. Curved monitors h...
Display technology has recently made enormous progress. In particular, display companies are competing each other to develop flexible display. Curved display, as a precursor of flexible display, are now used for smart phones and TVs. Curved monitors have been just introduced in the market, and are used for office work or entertainment. The aim of the current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the curvature of a 42” multi-monitor affects postural control when it is used for entertainment purpose. The current study used two curvature levels (flat and 600mm). Ten college students [mean(SD) age = 20.9 (1.5)] with at least 20/25 visual acuity, and without color blindness and musculoskeletal disord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In a typical VDT environment, each participant played a car racing video game using a steering wheel and pedals for 30 minutes at each curvature level. During the video game, a pressure mat on the seat pan measured the participant’s COP (Center of Pressure), and from which four measures (Mean Velocity, Median Power Frequency, Root-Mean-Square Distance, and 95% Confidence Ellipse Area) were derived. A larger AP (Anterior-Posterior) RMS distance was observed in the flat condition, indicating more forward-backward upper body movements. It can be partly due to more variability in visual distance across display, and hence longer ocular accommodation time in the case of the flat display. In addition, a different level of presence or attention between two curvature conditions can lead to such a difference. Any potential effect of such a behavioral change by display curvature on musculoskeletal disorders should be further investigated.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윤정, "상반기 소비리포트/완제품 PC] 브랜드 PC, 패러다임의 변화 ‘데스크톱에서 일체형으로’"
2 신철근, "근시 아동의 조절마비후의 원거리 나안시력의 변화에 대한 구면굴절력과 난시의 상관성" 대한시과학회 14 (14): 31-38, 2012
3 Simmons, T, "What's the optimum computer display size?" 9 (9): 19-25, 2001
4 Wu, S., "Visual display terminal use increases the prevalence and risk of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among Chinese office workers: a cross-sectional study" 54 (54): 34-43, 2012
5 Faucett, J., "VDT‐related musculoskeletal symptoms: Interactions between work posture and psychosocial work factors" 26 (26): 597-612, 1994
6 박수찬, "VDT 작업을 위한 최적치수 및 작업자세에 관한 연구" 대한인간공학회 10 (10): 3-13, 1991
7 Czerwinski, M., "Toward characterizing the productivity benefits of very large displays" 3 : 9-16, 2003
8 Tilley, A. R., "The measure of man and woman: Human Factors in Design" Wiley 2002
9 Andrews, C., "Space to think: large high-resolution displays for sensemaking" 55-64, 2010
10 Wilkens, P. M., "Preventing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in VDT users: A comprehensive health promotion program" 20 (20): 171-178, 2003
1 이윤정, "상반기 소비리포트/완제품 PC] 브랜드 PC, 패러다임의 변화 ‘데스크톱에서 일체형으로’"
2 신철근, "근시 아동의 조절마비후의 원거리 나안시력의 변화에 대한 구면굴절력과 난시의 상관성" 대한시과학회 14 (14): 31-38, 2012
3 Simmons, T, "What's the optimum computer display size?" 9 (9): 19-25, 2001
4 Wu, S., "Visual display terminal use increases the prevalence and risk of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among Chinese office workers: a cross-sectional study" 54 (54): 34-43, 2012
5 Faucett, J., "VDT‐related musculoskeletal symptoms: Interactions between work posture and psychosocial work factors" 26 (26): 597-612, 1994
6 박수찬, "VDT 작업을 위한 최적치수 및 작업자세에 관한 연구" 대한인간공학회 10 (10): 3-13, 1991
7 Czerwinski, M., "Toward characterizing the productivity benefits of very large displays" 3 : 9-16, 2003
8 Tilley, A. R., "The measure of man and woman: Human Factors in Design" Wiley 2002
9 Andrews, C., "Space to think: large high-resolution displays for sensemaking" 55-64, 2010
10 Wilkens, P. M., "Preventing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in VDT users: A comprehensive health promotion program" 20 (20): 171-178, 2003
11 Grudin, J., "Partitioning digital worlds: focal and peripheral awareness in multiple monitor use" 458-465, 2001
12 Prieto, T. E., "Measures of postural steadiness: differences between healthy young and elderly adults" 43 (43): 956-966, 1996
13 Kang, Y. A., "Lightweight task_application performance using single versus multiple monitors_a comparative study" 17-24, 2008
14 DiDomenico, A., "Interactive effects of mental and postural demands on subjective assessment of mental workload and postural stability" 43 (43): 485-495, 2005
15 Park, S., "Influences of large flexible display curvature on legibility and visual fatigue" 2014
16 Doyle, R. J., "Generalizability of center of pressure measures of quiet standing" 25 (25): 166-171, 2007
17 Park, S., "Ergonomic Evaluation of Flexible display:Influences of curvature on legibility and Visual Fatigue" 2014
18 Gerr, F., "Epidemiology of musculoskeletal disorders among computer users:lesson learned from the role of posture and keyboard use" 14 (14): 25-31, 2004
19 Lapointe, J., "Effort-reward imbalance and video display unit postural risk factors interact in women on the incidence of musculoskeletal symptoms" 44 (44): 133-143, 2013
20 Derjani Bayeh, A., "Effect of physical ergonomics on VDT workers' health: a longitudinal intervention field study in a service organization" 11 (11): 109-135, 1999
21 Chen, H. C., "Design and fuctional evaluation of a novel external logger for computer input activities" 39 (39): 790-797, 2009
22 Roerdink, M., "Center-of-pressure regularity as a marker for attentional investment in postural control: a comparison between sitting and standing postures" 30 (30): 203-212, 2011
23 Kyung, G., "Benefits of curved display: A short review and an experimental study" Proceedings of International Meeting on Information Display Conference 2014
24 Woollacott, M., "Attention and the control of posture and gait: a review of an emerging area of research" 16 (16): 1-14, 2002
25 Choi, D., "A study on the effects of display curvature on visual fatigue using eye tracking data" 2014
요성을 중심으로 한 피리의 음색 변화 분석 및 필터 디자인
전극 개수에 따른 근전도 기반 휴먼-컴퓨터 인터페이스의 정확도에 대한 연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05 | 0.05 | 0.0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16 | 0.15 | 0.411 | 0.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