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 통일이 이루어 진 후 동독의 경제는 빛 과 그림자를 동시에 경험하고 있다. 즉, 통일 후 동독의 경제는 통일 전에 비해 괄목할 만한 경제성장을 기록하였으나 아직도 경제자립도가 낮아...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99927548
2012
Korean
학술저널
113-131(19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독일 통일이 이루어 진 후 동독의 경제는 빛 과 그림자를 동시에 경험하고 있다. 즉, 통일 후 동독의 경제는 통일 전에 비해 괄목할 만한 경제성장을 기록하였으나 아직도 경제자립도가 낮아...
독일 통일이 이루어 진 후 동독의 경제는 빛 과 그림자를 동시에 경험하고 있다. 즉, 통일 후 동독의 경제는 통일 전에 비해 괄목할 만한 경제성장을 기록하였으나 아직도 경제자립도가 낮아 서독정부의 지원에 의존하고 있으며, 해소되지 못하고 있는 동서독 간의 경제력 격차 때문에 상대적인 박탈감을 느끼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통일 직후 동독은 매우 심각한 경제불황을 경험하고 있었으나 서독의 막대한 이전지출로 인해 급속한 회복세를 보여 1990년 대 중반까지 전체적으로 양호한 경제성장 실적을 달성하였다. 동독의 1990년 대 중반까지의 경제성장 실적은 비슷한 시기에 경제체제를 전환한 체코, 헝가리 등 다른 구 동구권 사회주의 국가들에 비해 오히려 앞섰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동독의 빠른 경제성장에 따라 동서독의 경제력 격차는 빠른 속도로 해소되었다. 그러나 1990년대 후반기에 들어서서는 경제성장속도가 현저하게 둔화되어 통일 후 계속된 산업인프라의 개선, 생산라인의 현대화, 노동환경의 개선 노력에도 불구하고 동독 경제는 자립적이고 견실한 지역경제로 성장하지 못했고 주민들의 생활수준 격차도 역시 줄어들지 않고 있다. 따라서 동독인들이 느끼는 2등 국민으로서의 자괴감과 상대적 박탈감은 통일 후 20년이 지난 현재에도 독일이 해결해야 할 시급한 과제로 남아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Germany celebrated the 20th anniversary of its reunification. What are people in Germany thinking 20 years after the reunification? A clear majority of Germans see the historical milestone as a "cause for joy." A majority of 64% also believe that east...
Germany celebrated the 20th anniversary of its reunification. What are people in Germany thinking 20 years after the reunification? A clear majority of Germans see the historical milestone as a "cause for joy." A majority of 64% also believe that east and west are growing together successfully and at least 34% there believe that east and west will basically remain like two separate states. And many data show that eastern states have narrowed the gap with their western counterparts. The standard of living in the East had improved dramatically between 1991 and 2009. Wages in eastern Germany have also edged up towards western levels. In the light of improvements to wages, pensions, economic performance, education and health care, the German government is now really close to reaching its goals for eastern Germany. Convergence between the two parts of Germany is made more difficult by the growing tendency in eastern Germany to glorify the former GDR. These days, only 45% of east Germans still say that a lot really had to change in the former GDR. Despite Germany`s robust economic recovery, national statistics show that eastern Germans continue to suffer disproportionately from unemployment.
특집 : 고령화 사회의 노인정보화 증진방안에 관한 연구
특집 : 노인과 체결한 불공정한 계약 -대법원 1992.2.25. 선고 91다40351 판결을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