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대학교육에서 학생몰입 요인이 교육성과에 미치는 영향의 종단분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10259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교육에서 학생몰입 요인이 교육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 종단자료를 통하여 실증하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잠재성장모형(Latent Growth Modeling)을 활용하여 학생몰입의 하위 요인인 인지정서몰입과 행동몰입이 교육성과에 미치는 구조적 영향 관계를 분석하였다. 대학교육의 성과는 산출지표 측면에서 진로결정여부, 자격증취득여부, 편입 및 전과의도를 측정하였다. 분석에는 2012년부터 2015년까지 4개년 동안 수집된 한국교육고용패널데이터(Korea Education & Employment Panel, KEEP)의 대학생 유효 표본 2,813명의 자료가 활용되었다. 연구 결과, 인지정서몰입 초기 값은 행동몰입 초기 값에, 행동몰입 초기 값은 교육성과 초기 값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며, 행동몰입은 인지정서몰입이 교육성과에 미치는 영향 경로에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인지정서몰입 변화율은 행동몰입 변화율에, 행동몰입 변화율은 교육성과 변화율에 영향을 주며, 행동몰입 변화율은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교육성과를 향상하기 위한 선행요인으로서 학생몰입 요인에 대한 고려가 요구되며, 장기적인 측면에서 이들 몰입요인에 대한 교육적 지원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교육에서 학생몰입 요인이 교육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 종단자료를 통하여 실증하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잠재성장모형(Latent Growth Modeling)을 활...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교육에서 학생몰입 요인이 교육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 종단자료를 통하여 실증하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잠재성장모형(Latent Growth Modeling)을 활용하여 학생몰입의 하위 요인인 인지정서몰입과 행동몰입이 교육성과에 미치는 구조적 영향 관계를 분석하였다. 대학교육의 성과는 산출지표 측면에서 진로결정여부, 자격증취득여부, 편입 및 전과의도를 측정하였다. 분석에는 2012년부터 2015년까지 4개년 동안 수집된 한국교육고용패널데이터(Korea Education & Employment Panel, KEEP)의 대학생 유효 표본 2,813명의 자료가 활용되었다. 연구 결과, 인지정서몰입 초기 값은 행동몰입 초기 값에, 행동몰입 초기 값은 교육성과 초기 값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며, 행동몰입은 인지정서몰입이 교육성과에 미치는 영향 경로에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인지정서몰입 변화율은 행동몰입 변화율에, 행동몰입 변화율은 교육성과 변화율에 영향을 주며, 행동몰입 변화율은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교육성과를 향상하기 위한 선행요인으로서 학생몰입 요인에 대한 고려가 요구되며, 장기적인 측면에서 이들 몰입요인에 대한 교육적 지원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empirically the relationship between changes over time in student engagement and outcome in higher education. Based on panel data (N=2,813) derived from Korea Education & Employment Panel, we estimat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nd changes over time by utilizing latent growth modeling. It is shown that cognitive/affective engagement affects outcomes, mediated by behavioral engagement. The result also show that the changes in cognitive/affective engagement affects changes in outcomes, mediated by changes in behavioral engagement. The results imply the importance of promoting student engagement in higher education and expand engagement discussion. Other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for practice and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empirically the relationship between changes over time in student engagement and outcome in higher education. Based on panel data (N=2,813) derived from Korea Education & Employment Panel, we estimated the struc...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empirically the relationship between changes over time in student engagement and outcome in higher education. Based on panel data (N=2,813) derived from Korea Education & Employment Panel, we estimat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nd changes over time by utilizing latent growth modeling. It is shown that cognitive/affective engagement affects outcomes, mediated by behavioral engagement. The result also show that the changes in cognitive/affective engagement affects changes in outcomes, mediated by changes in behavioral engagement. The results imply the importance of promoting student engagement in higher education and expand engagement discussion. Other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for practice and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논문요약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Ⅲ. 연구 방법
      • Ⅳ. 연구 결과
      • 논문요약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Ⅲ. 연구 방법
      • Ⅳ. 연구 결과
      • Ⅴ. 논의 및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서영인, "한국 대학의 성과분석 모형 및 지표 개발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13

      2 공희정, "학생참여(student engagement) 결정요인의 실증적 탐색: 대학생의 지각된 학습환경과 대학특성의 차별적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교육행정학회 32 (32): 177-207, 2014

      3 이수진, "청소년의 인터넷중독과 개인적, 가족적 변인간의 연구: 시간에 따른 변화와 상호 연관성" 한국교육심리학회 19 (19): 1179-1197, 2005

      4 여승수, "잠재성장모형(Latent Growth Modeling)분석의 활용: 교육과정중심측정 종단 자료를 중심으로" 교육연구소 13 (13): 247-273, 2012

      5 한덕웅, "인간의 동기심리" 박영사 2004

      6 신택수, "인간발달연구에서의 종단자료 분석: 잠재성장모형을 중심으로" 한국인간발달학회 21 (21): 1-28, 2014

      7 김혜숙, "성과측정중심의 교육정책평가: 교육정보화’를 중심으로" 교육연구소 8 (8): 67-89, 2007

      8 김주환, "미디어 이용이 후보자 평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종단연구 잠재성장모형을 통한 17대선 패널 데이터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언론정보학회 44 (44): 76-107, 2008

      9 Reeve, J., "동기와 정서의 이해" 박학사 2011

      10 김현식, "대학의 교육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교육문제연구소 31 (31): 183-202, 2018

      1 서영인, "한국 대학의 성과분석 모형 및 지표 개발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13

      2 공희정, "학생참여(student engagement) 결정요인의 실증적 탐색: 대학생의 지각된 학습환경과 대학특성의 차별적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교육행정학회 32 (32): 177-207, 2014

      3 이수진, "청소년의 인터넷중독과 개인적, 가족적 변인간의 연구: 시간에 따른 변화와 상호 연관성" 한국교육심리학회 19 (19): 1179-1197, 2005

      4 여승수, "잠재성장모형(Latent Growth Modeling)분석의 활용: 교육과정중심측정 종단 자료를 중심으로" 교육연구소 13 (13): 247-273, 2012

      5 한덕웅, "인간의 동기심리" 박영사 2004

      6 신택수, "인간발달연구에서의 종단자료 분석: 잠재성장모형을 중심으로" 한국인간발달학회 21 (21): 1-28, 2014

      7 김혜숙, "성과측정중심의 교육정책평가: 교육정보화’를 중심으로" 교육연구소 8 (8): 67-89, 2007

      8 김주환, "미디어 이용이 후보자 평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종단연구 잠재성장모형을 통한 17대선 패널 데이터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언론정보학회 44 (44): 76-107, 2008

      9 Reeve, J., "동기와 정서의 이해" 박학사 2011

      10 김현식, "대학의 교육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교육문제연구소 31 (31): 183-202, 2018

      11 김명숙, "대학생의 학습참여가 지각된 창의성역량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재교육학회 13 (13): 83-106, 2014

      12 고장완, "대학생의 학습 및 비학습 경험이 인지적⋅정의적 성과와 수업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행정학회 29 (29): 169-194, 2011

      13 조남근, "대학생의 진로적응성과 내적통제, 사회적지지 및 진로관여행동의 인과적 관계" 한국청소년학회 22 (22): 209-234, 2015

      14 조윤서, "대학생의 직업가치가 학습자 중심 진로준비행동과 학교차원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취업성과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8 (18): 53-78, 2018

      15 연보라, "대학생의 중도탈락 시기 및 영향요인 분석" 한국교육사회학회 25 (25): 129-155, 2015

      16 조현재, "대학생의 개인특성이 진로미결정,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직업교육학회 33 (33): 103-127, 2014

      17 백평구, "대학생 핵심역량 수준과 대학생 개인 변인의 관계 및 특성" 한국교양교육학회 7 (7): 349-387, 2013

      18 최명선, "대학생 중도탈락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청소년학회 15 (15): 203-225, 2008

      19 우상규, "대학 취업률 결정요인 분석을 위한 연구모형: 전문대학 중심으로" 166-178, 2014

      20 홍세희, "다변량 고차잠재 성장모형을 이용한 내외통제성과 학업성취의 종단관계 분석" 한국교육평가학회 17 (17): 131-146, 2004

      21 이도형, "국가연구개발사업 유형별 성과평가 논리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0

      22 김주환, "구조방정식으로 논문쓰기" 커뮤니케이션북스 2009

      23 심준섭, "구조방정식모형: 원리와 적용" 법문사 2013

      24 김수영, "구조방정식 모형의 기본과 확장" 학지사 2016

      25 김소영, "고등교육에서 학습성과에 대한 학교참여의 영향과관련 요인 분석연구" 교육연구소 14 (14): 73-96, 2013

      26 Kuh, G. D., "What student affairs professionals need to know about student engagement" 50 (50): 683-706, 2009

      27 Kuh, G. D., "Unmasking the effects of student engagement on first-year college grades and persistence" 79 (79): 540-563, 2008

      28 Jacoby, J., "Three-point likert scales are good enough" 8 (8): 495-500, 1971

      29 Kahn, P. E., "Theorising student engagement in higher education" 40 (40): 1005-1018, 2014

      30 Altbach, P. G., "The road to academic excellence: The making of world-class research universities" The World Bank

      31 Browne, M. W., "Tes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SAGE Publications 1993

      32 Hong, S., "Testing configural, metric, scalar, and latent mean invariance across genders in sociotropy and autonomy using non-western sample" 63 (63): 636-654, 2003

      33 OECD, "State of Higher Education 2015-16" OECD Publishing 2017

      34 Ryan, R. M., "Self-determination theory and the facilitation of intrinsic motivation, social development, and well-being" 55 (55): 68-78, 2000

      35 Fredricks, J. A., "School engagement : Potential of the concept, state of the evidence" 74 (74): 59-109, 2004

      36 Skinner, A., "Motivation in the classroom : Reciprocal effect of teacher behavior and student engagement across the school year" 85 (85): 571-581, 1993

      37 Reeve, J., "Handbook of research on student engagement" Springer 149-172, 2012

      38 Reschly, A. L., "Handbook of research on student engagement" Springer 3-19, 2012

      39 Fredricks, J. A., "Handbook of Research on Student Engagement" Springer 763-782, 2012

      40 Finn, J. D., "Handbook of Research on Student Engagement" Springer 303-311, 2012

      41 Martin, A. J., "Handbook of Research on Student Engagement" Springer 303-311, 2012

      42 Kahu, E. R., "Framing student engagement in higher education" 38 (38): 758-773, 2013

      43 Hong, S., "Direct and indirect longitudinal effects of parental involvement on student achievement: Second-order latent growth modeling across ethnic groups" 97 (97): 32-42, 2005

      44 Bentler, P. M., "Comparative fit indexes in structural models" 107 (107): 238-246, 1990

      45 김응준, "Bootstrapping을 적용한 매개효과의 통계적 유의성 검증"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 15 (15): 15-25, 2013

      46 Lehmann, D. R., "Are three-point scales always good enough?" 9 (9): 444-446, 1972

      47 Finn, J. D., "Academic success among students at risk for school failure" 82 (82): 221-234, 1997

      48 Fullan, M., "A rich seam: How new pedagogies find deep learning" Pearson 2014

      49 Coates, H., "A model of online and general campus‐based student engagement" 32 (32): 121-141, 2007

      50 Handelsman, M. M., "A measure of college student course engagement" 98 (98): 184-192, 2010

      51 배상훈, "2030 새로운 미래가 온다: 제 4차 산업혁명과 평생직업능력개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6

      52 한국대학평가원, "2019(하반기) 대학기관평가인증 편람" 한국대학평가원 2019

      53 한국교육개발원, "2018년 대학 기본역량 진단 편람 설명회 자료집: 일반대학" 한국교육개발원 2017

      54 한국교육개발원, "2018 간추린 교육통계"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14 2.14 2.0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18 2.09 2.591 0.2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