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우리나라의 일교차 변화에 관한 연구 = The Change of Diurnal Temperature Range in South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14161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1954~2009년까지의 분석 기간을 1954~1987년과 1988~2009년으로 구분하여 일최고기온, 일최저기온, 일교차의 계절별 변화와 지역별 분포에 따른 그 변화 경향과 그 원인을 파악하였다. 일...

      본 연구는 1954~2009년까지의 분석 기간을 1954~1987년과 1988~2009년으로 구분하여 일최고기온, 일최저기온, 일교차의 계절별 변화와 지역별 분포에 따른 그 변화 경향과 그 원인을 파악하였다. 일최고기온의 기온 상승 경향은 전후반기 뚜렷한 변화가 없으나 일최저기온은 전반기보다 후반기에 뚜렷하게 상승하여 일교차는 감소하는 경향이다. 계절별로 구분하였을 때 봄철의 일교차는 약간의 상승 경향이고 가을철은 감소 경향이 뚜렷하다. 지역별로는 대도시 지역이 중소도시보다 일교차 감소가 크고 비도시 지역은 일교차가 상승하는 경향이다. 대도시와 중소도시 지역의 일교차는 봄철의 운량과 가을철의 일조시간의 영향이 크다. 비도시 지역은 봄철에는 운량, 가을철에는 강수일수의 영향이 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investigates the changes of diurnal temperature range (DTR) by season and region in South Korea using daily maximum temperature and daily minimum temperature from 1954 to 2009. It also attempts to find what causes these changes. The daily m...

      This paper investigates the changes of diurnal temperature range (DTR) by season and region in South Korea using daily maximum temperature and daily minimum temperature from 1954 to 2009. It also attempts to find what causes these changes. The daily minimum temperature distinctively increased during the latter half of the research period (1988~2009) than the first half of the year (1954~1987) leading decreases in DTR, while the rise in daily maximum temperature was not distinct during the research period. The DTR shows slightly increasing trend in spring, but decreasing trend in fall. The DTR is decreasing in urban region while it is increasing in rural area. The degree of the DTR decrease is bigger in large urban region than in medium-small urban region. The DTR in urban region is affected by the amount of clouds in spring and the duration of sunshine in fall. The DTR in rural area is affected by the amount of clouds in spring and the number of days with precipitation in fall.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병철, "한국의 주요 대도시에 대한 일 최고 및 최저 기온의 장기변동 경향과 건강에 미치는 영향 전망" 한국기상학회 17 (17): 171-183, 2007

      2 구교숙, "최고, 최저기온을 이용한 우리나라 기온변화에서의 도시화효과 분석" 한국기상학회 17 (17): 185-193, 2007

      3 허인혜, "우리나라에서 기온 상승이 식생분포에 미치는 영향 -대나무와 마늘을 중심으로-"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15 (15): 67-78, 2006

      4 서명석, "우리나라에서 계절별 일교차의 분포 특성과 그 원인" 한국기상학회 19 (19): 155-168, 2009

      5 조하만, "서울의 도시화에 따른 기온의 변화" 24 : 27-37, 1988

      6 허창회, "서울에서 1954∼2005년 동안 관측된 설날 귀성에 따른 일교차의 변화" 16 : 49-53, 2006

      7 윤진일, "대기중 이산화탄소 배증 조건하의 기후시나리오에 의한 국내 쌀 생산 추정" 26 (26): 263-274, 1990

      8 이승호, "기후변화가 태백산지 고랭지 농업의 생육상태와 병충해에 미치는 영향" 국토지리학회 42 (42): 621-633, 2008

      9 이승호, "기후변화가 농업생태에 미치는 영향 -나주지역을 사례로-" 대한지리학회 43 (43): 20-35, 2008

      10 Gong, D.Y., "Weekend effect in diurnal temperature range in China : opposite signal between winter and summer" 111 : D18113-, 2006

      1 최병철, "한국의 주요 대도시에 대한 일 최고 및 최저 기온의 장기변동 경향과 건강에 미치는 영향 전망" 한국기상학회 17 (17): 171-183, 2007

      2 구교숙, "최고, 최저기온을 이용한 우리나라 기온변화에서의 도시화효과 분석" 한국기상학회 17 (17): 185-193, 2007

      3 허인혜, "우리나라에서 기온 상승이 식생분포에 미치는 영향 -대나무와 마늘을 중심으로-"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15 (15): 67-78, 2006

      4 서명석, "우리나라에서 계절별 일교차의 분포 특성과 그 원인" 한국기상학회 19 (19): 155-168, 2009

      5 조하만, "서울의 도시화에 따른 기온의 변화" 24 : 27-37, 1988

      6 허창회, "서울에서 1954∼2005년 동안 관측된 설날 귀성에 따른 일교차의 변화" 16 : 49-53, 2006

      7 윤진일, "대기중 이산화탄소 배증 조건하의 기후시나리오에 의한 국내 쌀 생산 추정" 26 (26): 263-274, 1990

      8 이승호, "기후변화가 태백산지 고랭지 농업의 생육상태와 병충해에 미치는 영향" 국토지리학회 42 (42): 621-633, 2008

      9 이승호, "기후변화가 농업생태에 미치는 영향 -나주지역을 사례로-" 대한지리학회 43 (43): 20-35, 2008

      10 Gong, D.Y., "Weekend effect in diurnal temperature range in China : opposite signal between winter and summer" 111 : D18113-, 2006

      11 Hua, L.J., "The impact of urbanization on air temperature across China" 93 : 179-194, 2008

      12 Gong, D.Y., "The Siberian High and climate change over middle to high latitude Asia" 72 : 1-9, 2002

      13 Liu, B., "Taking China's temperature : Daily range, warming trends, and regional variations, 1955∼2000" 17 : 4453-4462, 2004

      14 Zhou, L., "Spatial dependence of diurnal temperature range trends on precipitation from 1950 to 2004" 32 : 429-440, 2009

      15 Cao, H.X., "Simulated diurnal range and variability of surface temperature in a global climate model for present and doubled CO2 climates" 5 (5): 920-943, 1992

      16 최광용, "Recent Spatial and Temporal Changes in Means and Extreme Events of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across the Republic of Korea" 대한지리학회 43 (43): 681-700, 2008

      17 Easterling, D.R., "Maximum and minimum temperature trends for the globe" 277 : 364-367, 1997

      18 Dai, A.K., "Effect of clouds, soil moisture, precipitation, and water vapor on diurnal temperature range" 12 : 2451-2473, 1999

      19 Sun, D., "Diurnal temperature range over the United States : A satellite view" 33 : L05705-, 2006

      20 Makowski, K., "Diurnal temperature range over Europe between 1950 and 2005" 8 : 7051-7084, 2008

      21 Braganza, K.J., "Diurnal temperature range as an index of global climate change during the twentieth century" 31 : L13217-, 2004

      22 Campbell, G.G., "Comparison of surface temperature minimum and maximum and satellite measured cloudiness and radiation budget" 102 : 16639-16645, 1997

      23 IPCC, "Climate change 2001: The Scientific basis,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1

      24 IPCC, "Climate Change 2007: The Physical Science Basis,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 I to the Fourth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7

      25 David, B.L., "Changes in diurnal temperature range and national cereal yields" 145 : 229-238, 2007

      26 Karl, T.K., "A new perspective on recent global warming : Asymmetric trends of daily maximum and minimum temperature" 74 : 1007-1023, 1993

      27 하경자, "1909년 이후의 우리나라 4대 도시의 기온 경향과 극한 기후" 한국기상학회 40 (40): 1-16, 200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7 0.77 0.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1 0.94 1.203 0.4
      더보기

      연관 공개강의(KOCW)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