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이성숙, "한국전쟁에 대한 젠더별 기억과 망각" 한국여성사학회 (7) : 123-164, 2007
2 박찬승, "한국전쟁과 진도 동족마을 세등리의 비극" 한국역사연구회 38 : 274-308, 2000
3 윤형숙, "한국전쟁과 지역민의 대응: 전남의 한 동족마을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문화인류학회 35 (35): 2002
4 정근식, "한국전쟁경험과 공동체적 기억-영암 구림권을 중심으로-" 역사문화학회 5 (5): 165-214, 2002
5 윤정란, "한국 전쟁과 장사에 나선 여성들의 삶 - 서울에 정착한 타지역 출신들을 중심으로 -" 한국여성사학회 (7) : 87-122, 2007
6 한정훈, "한 여성 빨치산의 구술생애담을 통해서 본 정체성의 서사"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15 (15): 359-388, 2011
7 김귀옥, "지역의 한국전쟁 경험과 지역사회의 변화:강화도 교동 섬 주민의 한국전쟁 기억을 중심으로" 비판사회학회 0 (0): 40-71, 2006
8 김종군, "지리산 인근 여성 생애담에 나타난 빨치산에 대한 기억" 건국대 인문학연구원 47 : 209-230, 2009
9 박경열, "제주 여성 생애담에 나타난 4․의 상대적 진실" 건국대 인문학연구원 47 : 231-254, 2009
10 윤충로, "전쟁의 기억 냉전의 구술" 선인 2008
1 이성숙, "한국전쟁에 대한 젠더별 기억과 망각" 한국여성사학회 (7) : 123-164, 2007
2 박찬승, "한국전쟁과 진도 동족마을 세등리의 비극" 한국역사연구회 38 : 274-308, 2000
3 윤형숙, "한국전쟁과 지역민의 대응: 전남의 한 동족마을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문화인류학회 35 (35): 2002
4 정근식, "한국전쟁경험과 공동체적 기억-영암 구림권을 중심으로-" 역사문화학회 5 (5): 165-214, 2002
5 윤정란, "한국 전쟁과 장사에 나선 여성들의 삶 - 서울에 정착한 타지역 출신들을 중심으로 -" 한국여성사학회 (7) : 87-122, 2007
6 한정훈, "한 여성 빨치산의 구술생애담을 통해서 본 정체성의 서사"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15 (15): 359-388, 2011
7 김귀옥, "지역의 한국전쟁 경험과 지역사회의 변화:강화도 교동 섬 주민의 한국전쟁 기억을 중심으로" 비판사회학회 0 (0): 40-71, 2006
8 김종군, "지리산 인근 여성 생애담에 나타난 빨치산에 대한 기억" 건국대 인문학연구원 47 : 209-230, 2009
9 박경열, "제주 여성 생애담에 나타난 4․의 상대적 진실" 건국대 인문학연구원 47 : 231-254, 2009
10 윤충로, "전쟁의 기억 냉전의 구술" 선인 2008
11 이임하, "전쟁미망인, 한국현대사의 침묵을 깨다" 책과함께 2010
12 김현아, "전쟁과 여성-한국전쟁과 베트남전쟁 속의 여성, 기억, 재현" 기억 2004
13 표인주, "전쟁과 사람들-아래로부터의 한국전쟁 연구" 한울아카데미 2003
14 김경학, "전쟁과 기억: 마을공동체의 생애사" 한울아카데미 2005
15 박정석, "전쟁과 '빨갱이'에 대한 집단기억 읽기 ―``해남의 한 마을을 중심으로``―" 역사문제연구소 (59) : 336-362, 2002
16 염미경, "전쟁 연구와 구술사 : 아래로부터의 한국전쟁 연구를 위한 새로운 방법론" 51 : 210-237, 2001
17 윤택림, "인류학자의 과거여행 : 한 빨갱이 마을의 역사를 찾아서" 역사비평사 2003
18 김귀옥, "월남민의 생활 경험과 정체성-밑으로부터의 월남민 연구" 서울대 출판부 1999
19 신동흔, "역사경험담의 존재 양상과 문학적 특성 - 6.25 체험담을 중심으로" 국문학회 (23) : 7-61, 2011
20 김성례, "여성주의 구술사의 방법론적 성찰" 35 (35): 31-64, 2001
21 이임하, "여성, 전쟁을 넘어 일어서다" 서해문집 2004
22 강진옥, "양주의 구비문학 2 자료편" 박이정 2005
23 이용기, "마을에서 한국전쟁 경험과 그 기억-경기도의 한 ‘모스크바’마을사례를 중심으로" 역사문제연구소 6 : 11-55, 2001
24 안태윤, "딸들의 한국전쟁- 결혼과 섹슈얼리티를 중심으로 본 미혼여성들의 한국전쟁경험 -" 한국여성사학회 (7) : 49-85, 2007
25 신동흔, "도시전승 설화자료 집성." 민속원 2009
26 천혜숙, "농촌여성 생애담의 주제와 생애인식 양상" 2 : 227-267, 2001
27 천혜숙, "농촌 여성 생애담의 문학담론적 특성" 한국고전여성문학회 (15) : 285-326, 2007
28 윤택림, "구술사, 기억으로 쓰는 역사" 아르케 2010
29 신동흔, "경험담의 문학적 성격에 대한 고찰 : 현지조사 자료를 중심으로" 한국구비문학회 4 : 157-182, 1997
30 이균옥, "20세기 한국민중의 구술자서전 1~6" 소화 2005
31 김예선, "'살아온 이야기’의 담화 전략 - 삶의 구조화를 중심으로-" 한국고전연구학회 0 (0): 279-300,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