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사회적 배제의 관점에서 본 청소년 문제 및 정책에 관한 고찰 = Youth and Social Exclusion: Theory, Reality and Polic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61955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의 주된 목적은 사회적 배제의 관점에서 청소년들이 안고 있는 문제들, 특히 고용과 주거에 관한 문제를 조명하는데 있다고 하겠다. 이를 위해 구체적으로는 사회적 배제의 개념이 ...

      본 논문의 주된 목적은 사회적 배제의 관점에서 청소년들이 안고 있는 문제들, 특히 고용과 주거에 관한 문제를 조명하는데 있다고 하겠다. 이를 위해 구체적으로는 사회적 배제의 개념이 등장하게 된 시대적 배경, 사회적 배제의 개념을 둘러싼 다양한 논쟁에 관한 검토, 청소년과 사회적 배제, 포섭, 통합의 관계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이와 아울러 실제로 사회적 배제의 상황에 놓여 있는 청소년의 실제 그리고 유럽을 비롯한 선진국에서의 청소년의 사회적 배제에 대한 정책적 노력들에 관해 살펴보고자 한다. 이러한 작업에 기초하여 몇 가지 논의점 및 제안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청소년들의 사회통합정책에 대한 종합적인 차원의 제고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청소년의 사회적 배제의 예방과 사회통합은 대증요법이 아닌 제도와 시스템을 통해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둘째, 청소년의 사회적 통합을 위해서는 최소한의 소득보장(basic income)과 배제의 위험성이 높은 청소년들, 즉 저소득 청소년, 빈곤청소년 등에 대한 생활보호제도의 확충이 시급하다고 하겠다. 셋째, 청소년들의 대한 안정적인 주거환경의 제공을 위한 보다 적극적인 논의 및 검토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즉, 청소년의 사회통합정책에 있어 `장(場)`의 개념을 고려해야 한다는 것이다. `장(場)`은 단순히 물리적 생활공간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사회내에서 자신의 존재를 설명하는 중요한 장치라는 점에서 볼 때 사회적으로, 특히 `장(場)` 으로부터 배제된 이들에 대한 논의 및 지원을 검토해야 한다고 하겠다. 넷째, 청소년의 사회적 배제의 문제를 `관계(network)`의 측면에서 조명할 필요가 있다고 하겠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main purpose of this article was to study some critical problems surrounding the youth, especially an unemployment and housing problem on their transition of school to work in the view of social exclusion. For this, it examines the historical back...

      The main purpose of this article was to study some critical problems surrounding the youth, especially an unemployment and housing problem on their transition of school to work in the view of social exclusion. For this, it examines the historical background, some arguments of social exclusion, and the relation of social exclusion and social inclusion and the youth. Then, it examines the political efforts to solve the problems of socially excluded young people in Europe and the some developed countri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provide some useful implications for the prevention and solution of social exclusion of the youth. First, it needed the holistic approach for the social inclusion and integration of the youth. Futhermore, the prevention of social exclusion and the social inclusion of the youth should be conducted through the system and legislation. Second, it required of expansion of the social security system, such as basic income for the youth in the position of highly risky condition which to be fallen into the socially excluded, especially the youth in the family with low income. Third, it suggests that the more active and the more realistic discussion about the supporting the stable housing circumstance for the youth is needed for the social inclusion of the youth. For this, it should be considered the introduction of the notion of `place(場)` in youth policy, in particular the social inclusion of the youth. In this context, the notion of `place` dose not mean only the material space, but also mean the social position of the individuals. For this reason, it should be considered the support for the socially excluded young people from the view of `plac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藤森克彦, "英国の若年雇用政策から学ぶこと in Discussion Paper" みずほ情報総研 2006

      2 河田菜穂子, "若者の家族形成と住まいの国策比較, 日本住宅会議, 若者に 住まい ; 格差社会の住宅問題" 岩波書店 744 : 2008

      3 坂庭国晴, "若者の住宅問題をどう解決するか, 日本住宅会議, 若者に 住まい ; 格差社会の住宅問題" 岩波書店 744 : 2008

      4 日本住宅会議, "若者に"住まい"; 格差社会の住宅問題,岩波ブックレット744" 2008

      5 林真人, "若年野宿者の形成の現存" 57 (57): 493-509, 2007

      6 大石亜希子, "税・社会保障による再分配効果の推移, 財務総合政策研究所研究資料" 2005

      7 宮本みち子, "社会的排除と若年無業-イギリス・スフェデンの対応" 日本労働研究雑誌 2004

      8 都留民子, "社会的排除; 概念と政策" 47 (47): 75-82, 2006

      9 岩田正美, "社会的排除-参加の欠如・不確な帰属" 有斐閣 2008

      10 坂本馨, "社会的排除(social exclusion)の視点について" (26) : 2005

      1 藤森克彦, "英国の若年雇用政策から学ぶこと in Discussion Paper" みずほ情報総研 2006

      2 河田菜穂子, "若者の家族形成と住まいの国策比較, 日本住宅会議, 若者に 住まい ; 格差社会の住宅問題" 岩波書店 744 : 2008

      3 坂庭国晴, "若者の住宅問題をどう解決するか, 日本住宅会議, 若者に 住まい ; 格差社会の住宅問題" 岩波書店 744 : 2008

      4 日本住宅会議, "若者に"住まい"; 格差社会の住宅問題,岩波ブックレット744" 2008

      5 林真人, "若年野宿者の形成の現存" 57 (57): 493-509, 2007

      6 大石亜希子, "税・社会保障による再分配効果の推移, 財務総合政策研究所研究資料" 2005

      7 宮本みち子, "社会的排除と若年無業-イギリス・スフェデンの対応" 日本労働研究雑誌 2004

      8 都留民子, "社会的排除; 概念と政策" 47 (47): 75-82, 2006

      9 岩田正美, "社会的排除-参加の欠如・不確な帰属" 有斐閣 2008

      10 坂本馨, "社会的排除(social exclusion)の視点について" (26) : 2005

      11 宮本みち子, "比較文化研究" 放送大学教育振興協会 2006

      12 岩田正美, "日本の貧困-ワーキングプア・ホームレス・生活保護, ちくま新書" 2007

      13 井良典, "持続可能な福祉社会; もう一つの日本 の構造" ちくま新書 2006

      14 不和和彦, "包摂的な民主的都市社会へのアプローチ-イギリス, 北川隆吉․有末賢編著年 in 社会研究の歴史と方法" 文化書房博文社 2007

      15 都留民子, "フランスの「排除Exclusion」概念:わが国の社会問題に使用することは可能か" (141) : 3-17, 2002

      16 今野浩一朗, "わが国の職業訓練政策の特質と課題" 労働政策研究・研修機構 2004

      17 "http://www.newdeal.gov.uk"

      18 "http://www.jobcentreplus.gov.uk/JCP/index.html"

      19 Jones, G, "Youth, Family and Citizenship" Open University Press 1992

      20 Jones,G, "Youth homelessness and the underclass, Youth, and Social Exclusion, Robert MacDonald" Routledge 1997

      21 Wallce, N, "Youth Unemployment and the State: Comparing Policies in the European Union" 2002

      22 ESRC, "Youth Research Programme, Youth, Citizenship and Social Change, Trust for the Study of Adolescence" 2003

      23 Pavis, S, "Young People in Rural Scotland: Pathways to Social Inclusion and Exclusion" YPS for the Joseph Rowntree Foundation 2000

      24 Esping-Andersen, "Why We Need a New Welfare State" Oxford University Press 2002

      25 Gallie,D, "Unemployment and social exclusion in the European Union" 1 (1): 139-167, 1999

      26 Commission of European Communities, "Towards a Europe of Solidarity: Intensifyin g the Fight against Social Exclusion, fostering integration"

      27 Berghman,J, "The resurgence of poverty and the struggle against exclusion: a new challenge for social security in Europe?" 50 : 3-21, 1997

      28 Jones,G, "The Youth Divide; Diverging paths to adulthood" Joseph Rowntree Foundation 2002

      29 Blanchflower, D, "The Declining economic status of Young Worke rs in OECD countries"

      30 "Statens Offentliga Utredningar" Young Outsiders 2003

      31 Quintini, G, "Starting Well or Losing Their Way? The Position of Youth in the Labour Market in OECD Countries, in Directorate for Employment, Labour and Social Affairs Committee, OECD Social" OECD 2006

      32 Forsyth, A, "Socio-economic Disadvantage and Access to Higher Education" Policy Press and the Joseph Rowntree Foundation 2000

      33 Barnes,M, "Social Exclusion in Great Britain; An Empirical Investigation and Comparison with the EU" Ashgate 2005

      34 Iacovou,M, "Regional Differences in the Transition to Adulthood" 580 (580): 2002

      35 Bhalla, A. S, "Poverty and Exclusion in a Global World" Macmilan Publishers 2004

      36 Brinton,M.C, "Lost in Transition; Youth, Education, and Work in Postindustrial Japan" NTT出版 2009

      37 "Kort om Arbetsf rmedlingens resultat r 2007" Arbetsf rmedlingen. 2006

      38 PES, "Kort om Arbetsf rmedlingen" Arbetsf rmedlingen 2008

      39 Mulder, C. H, "Home-ownership regimes and lowest-low fertility in European Network for Housing Research Working Group on Globalization and Home Ownership Workship Delft" November. 2006

      40 Mulder,C.H, "Home-ownership and family formation" 21 (21): 2006

      41 Mandic,S, "Home-Leaving and its Structural Determinants in Western and Eastern Europe: An Exploratory Study" 23 (23): 2008

      42 Social Exclusion Unit, "Bridging the Gap; New Opportunities for 16-18 Year Olds not in Education" The Stationery Office 1999

      43 Amato, P. R, "A Generation at Risk" Harvard University Press 1997

      44 Lloyd,T, "'Young men's attitudes to gender and work" Joseph Rowntree Foundation 199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51 2.51 2.5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84 2.89 3.162 0.4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