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의 목적은 3.1운동 전후 『태서문예신보』에서 『매일신보』에 이르기까지 최영택의 행적과 활동을 성공주의를 유포한 자조론 계열 지식인으로서 검토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3252251
2017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207-244(38쪽)
2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3.1운동 전후 『태서문예신보』에서 『매일신보』에 이르기까지 최영택의 행적과 활동을 성공주의를 유포한 자조론 계열 지식인으로서 검토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최...
이 연구의 목적은 3.1운동 전후 『태서문예신보』에서 『매일신보』에 이르기까지 최영택의 행적과 활동을 성공주의를 유포한 자조론 계열 지식인으로서 검토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최영택이 『매일신보』에 번역·연재한 『자조론』아류 서적인 『입신모험담』과 메이지 후기 일본에서 생산된 원전 『입신모험담』을 비교하여 그 첨삭된 항목과 내용을 중심으로 양자를 분석하였다. 또 메이지 후기 일본과 1920년대 식민지 조선이라는 양자의 다른 사회적 상황과 조건 아래 성공주의 전파가 가지는 사회적 기능과 효과의 차이도 논의하였다.
최영택은 『태서문예신보』를 통해 등단한 ‘무명시인’으로 알려져 있었는데, 이 연구를 통해 그가 이 잡지의 사생첩 기자로도 활동한 새로운 사실을 밝혔다. 이에 더하여 1920년대 초 『여자시론』창간과 경영에 참여한 최영택과 동일 인물이라는 점 또한 밝혔다. 무엇보다 최영택을 비롯한 『태서문예신보』의 주요 집필진들이 성공담론 유포에 적극적이었으며, 이 잡지가 육당의 『자조론』이 출간된 1910년대 말 식민지 지성계의 새로운 경향을 반영한 잡지로서의 성격을 가졌음을 제시하였다. 한편 1920년대 초 최영택이 여성전문잡지 『여자시론』 『부인계』의 창간을 주도하면서, 가족경영의 출판사 문창사에서 잡지경영인으로서 활동한 것을 식민지 사회에서 출판업으로 입신성공하려는 그의 지향성 및 『입신모험담』번역의 배경으로 파악하였다.
최영택이 번역한 『입신모험담』은 1920년대 초 조선총독부 식민정책의 충실한 전파 매체였던 『매일신보』의 번역·연재물로서 기획된 것이었다. 원전 『입신모험담』은 러일전쟁 시기 일본 국내 입신출세의 길이 원활하지 않은 상황에서 청년들의 해외 식민지 진출을 종용하는 『자조론』아류 서적류에 속했는데, 이것은 일본의 제국주의 확장에 기여하는 논리를 제공해주었다. 한편 1920년대 초 『매일신보』의 번역·연재물로서 기획된 『입신모험담』을 통한 성공주의 전파는 일본의 식민정책에 협력하는 사회적 효과를 가졌음을 시사하였다.
이 연구는 3.1운동 이후 1960∼70년대에 이르기까지 한국사회에서 장기간 생명력을 유지한 세속적 성공주의와 그것의 전파에 기여한 지식인의 계보를 찾으려는 노력의 일환이다. 이 연구에서 제시한 세속적 성공주의 전파에 기여한 이른바 자조론 계열 지식인과 이들에 대한 고찰은 우파 식민지 지식인 연구에 새로운 轉機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focuses on the study of, Choi young-taek, a translator and magazine editor who was trying to succeed in the colonial Korea in the 1920’s. I examined that he had belonged to a right-wing intellectual who accepted Self–Help...
The purpose of this paper focuses on the study of, Choi young-taek, a translator and magazine editor who was trying to succeed in the colonial Korea in the 1920’s. I examined that he had belonged to a right-wing intellectual who accepted Self–Help in colonial Korea. He was influenced by Self–Help or something similar and then began to serialize a translated book, Adversity leads to one’s success(『立身冒險談』) that tells stories about successfully challenged people in The Daily Newspaper. I compared differences in social function between a original book had affected youths in the late Meiji Japan and 「Adversity leads to one’s success」 series in The Daily Newspaper in 1920’s Korea. I think that his conduct of translation expressed a drive to succeed.
He wrote poems in the journal of literature and the arts(『泰西文藝新報』) in the late 1910’s and had been known to be not a famous poet. I found that he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journal of Literature and the arts as an editor and reporter. It wasn’t simply to introduce western literature and the arts but reflected the point of view of Choi nam-sun in the late 1910’s. Choi nam-sun translated Self-help into Korean in 1918. As you know, It was a turning point in change of the social meaning of ‘self-help’, the keyword of Self-help to be used national ideology that was translated into Korean in the late of Great Han empire.
Choi young-taek was an editor and reporter in the women’s discourse(『女子詩論』), a public magazine of Chosen women’s education center, and he published Women’s world(『婦人界』) his own company in the early 1920s. His experience of the journal of literature and the arts at the time of the late 1910’s probably had affected him to be a magazine publisher in the early 1920s. He was a member of munchangsa(文昌社), the family-owned publisher which had been founded in the early 1920s and published magazines. I think that his conduct to have a job as a publisher was related to the will to succeed.
As I said before, He serialized a translated book, Adversity leads to one’s success. The source of translation, stories of people who successfully challenged by adversity, was a type of Self-help in Japan. As we know, Self-help was a kind of books which have to be read for a purpose of the success of an individual. In conclusion, Choi’s translation of stories about successfully challenged people realized a value of Self-Help, it would have helped Japanese imperialism to rule colonial Korea. I believe that it is need to study right-wing Korean intellectuals like Choi young-taek who accepted Self-help in modern Korea.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森彦太郞, "立身冒險談" 文學同志會 1904
2 "황성신문"
3 정상운, "한국성결교회의 초기 문서운동: 1945년 이전 잡지를 중심으로" 3 : 57-78, 1998
4 최희정, "한국근대화와 自助精神 ― 남한의 새마을정신과 북한 자력갱생론의 연원―" 한국근현대사학회 (69) : 198-229, 2014
5 강남주, "태서문예신보의 무명시인고" 2 : 41-43, 1979
6 정주환, "태서문예신보와 수필의 양상" 16 (16): 5-, 1995
7 "태서문예신보"
8 "중앙신문"
9 "조선신문"
10 허수, "제1차 세계대전 종전 후 개조론의 확산과 한국 지식인" 한국근현대사학회 (50) : 37-54, 2009
1 森彦太郞, "立身冒險談" 文學同志會 1904
2 "황성신문"
3 정상운, "한국성결교회의 초기 문서운동: 1945년 이전 잡지를 중심으로" 3 : 57-78, 1998
4 최희정, "한국근대화와 自助精神 ― 남한의 새마을정신과 북한 자력갱생론의 연원―" 한국근현대사학회 (69) : 198-229, 2014
5 강남주, "태서문예신보의 무명시인고" 2 : 41-43, 1979
6 정주환, "태서문예신보와 수필의 양상" 16 (16): 5-, 1995
7 "태서문예신보"
8 "중앙신문"
9 "조선신문"
10 허수, "제1차 세계대전 종전 후 개조론의 확산과 한국 지식인" 한국근현대사학회 (50) : 37-54, 2009
11 방효순, "일제시대 민간서적 발행 활동의 구조적 특성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57-58, 2000
12 김승태, "일제말기 성결교회의 수난과 교단 해산" 한국기독교역사학회 (25) : 97-122, 2006
13 김성연, "영웅에서 위인으로: 번역 위인전기 전집의 기원" 소명출판 79-89, 2013
14 "여자시론"
15 정진석, "언론조선총독부" 커뮤니케이션북스 353-, 2005
16 박문수, "아현성결교회 100년사" 아현교회 129-137, 2016
17 "신천지"
18 "소년계"
19 "소녀계"
20 이종무, "목사가 감동한 그 때 그 장로 고훈편" 한국문서선교회 2007
21 "매일신보"
22 함동주, "러일전쟁기 일본의 조선이주론과 입신출세주의" 역사학회 (221) : 177-203, 2014
23 "동아일보"
24 "대한매일신보"
25 김도연, "나의 人生白書" 康友出版社 171-, 1967
26 임성모, "근대 일본의 국내식민과 해외이민" 동양사학회 (103) : 181-214, 2008
27 이광린, "개화파와 개화사상연구" 일조각 68-78, 1989
28 아현교회 70년사 편찬위원회, "阿峴七十年史" 아현교회 97-, 1984
29 王成, "近代日本における<修養>概念の成立" 29 : 122-123, 2004
30 森彦太郞, "軍人と膽力" 文學同志會 1904
31 關肇, "立志の変容: 国木田独歩「非凡なる凡人」をめぐって" 49 : 87-99, 1993
32 문덕수, "現代韓國詩論" 二友出版社 574-575, 1974
33 김혜니, "泰西文藝新報의 性格考" 5 : 125-, 1982
34 김은철, "泰西文藝新報」의 歷史的 位相: 無名詩人의 作品을 中心으로" 17 : 239-259, 1990
35 雨田英一, "村上俊藏『成功』思想: 近代日本修養思想一形態" 59 (59): 153-162, 1992
36 天川潤次郞, "明治日本における「立身出世主義」思想の起源" 43 : 491-509, 1989
37 三川智央, "明治初期の社会における「小説」の位相:『西國立志編』の影響を中心として" 金澤大學 2011
38 岡義武, "日露戰爭後における新しい世代の成長(上)明治38∼大正3年" 512 : 1-13, 1967
39 粂井輝子, "日米兩國の成功雜誌に關する一考察" 21 : 93-, 1987
40 門脇厚司, "日本的立身·出世の意味變遷: 近代日本の情神形成硏究·覺書" 24 : 94-110, 1969
41 三上敦史, "愛知敎育大學硏究報告: 敎育科學編" 愛知敎育大學 2012
42 森彦太郞, "奇憎의 片影" 文學同志會 1902
43 風間礼助, "偉人修養錄" 文武堂 1901
44 和田敦彦, "メディアの中の読者: 読書論の現在" ひつじ書房 112-166, 2002
45 山宮允, "『西國立志編』及びその類書に就いて" 432 : 22-, 1939
46 김행숙, "『泰西文藝新報』에 나타난 근대성의 두 가지 층위" 36 : 6-, 2001
47 손성준, "『五偉人小歷史』와 1900년대 번역의 한국적 특수성" 대동문화연구원 (84) : 347-386, 2013
48 George Lillie Craik, "The pursuit of knowledge under difficulties" Bell and Daldy 1847
49 Earl H. Kinmonth, "The Self-Made Man in Meiji JapaneseThought: From Samurai to Salary Man" University of California Pr 153-240, 1981
50 이상경, "1920년대 초의 여성 잡지의 맥락: 권말 영인자료의 소개" 2 : 274-281, 2010
51 최희정, "1920년대 이후 성공주의 기원과 확산 - 기독교 ‘청년’ 崔演澤의 자조론 수용과 성공론 -" 한국근현대사학회 (76) : 187-216, 2016
52 류충희, "1910년대 윤치호의 식민지 조선 인식과 자조론의 정치적 상상력 – 최남선의 자조론과의 비교를 통하여" 국학연구원 (175) : 195-224, 2016
53 竹內洋, "(增補版) 立身出世主義" 世界思想社 12-, 2005
식민지시기 조선에서 생산된 수산물의 수이출(輸移出) 동향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2 | 0.52 | 0.5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5 | 0.67 | 1.012 | 0.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