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가정신과 사회적 자본이 대학생의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국내외 선행연구를 중심으로 연구하는데 있다. 그리고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조절효과로 대학생의 창업의지에 어...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5504621
서울 : 국민대학교 글로벌창업벤처대학원, 2020
학위논문(석사) -- 국민대학교 글로벌창업벤처대학원 , 창업학전공 , 2020. 2
2020
한국어
658.11 판사항(23)
서울
v, 94 p. : 삽화, 도표 ; 26 cm
지도교수 : 황보윤
Impacts of Entrepreneurship and Social Capital on College Students’ Entrepreneurial Intention :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참고문헌 : p. 73-85
I804:11014-200000287056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기업가정신과 사회적 자본이 대학생의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국내외 선행연구를 중심으로 연구하는데 있다. 그리고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조절효과로 대학생의 창업의지에 어...
기업가정신과 사회적 자본이 대학생의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국내외 선행연구를 중심으로 연구하는데 있다. 그리고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조절효과로 대학생의 창업의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는 것이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이다.
기업가정신의 3가지 요인(혁신성, 위험감수성, 진취성)이 대학생의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적 자본(규범, 네트워크, 신뢰)가 대학생의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였다. 그리고 기업가정신과 대학생의 창업의지는 진로결정자기효능감(자기평가, 직업정보, 목표설정, 문제해결)이 어떠한 조절 역할을 하는지, 사회적 자본과 대학생의 창업의지는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의해 어떠한 조절 역할을 하는지에 대해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외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기업가정신과 사회적자본이 대학생의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어떠한 조절효과가 있는지에 대해 분석하였다.
실증분석결과 첫째로 기업가정신은 대학생의 창업의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 자본은 대학생의 창업의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기업과정신과 대학생의 창업의지간에 조절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사회적 자본과 대학생의 창업의지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조절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대학생의 효과적인 진로선택을 위해서는 창업과 기업가정신교육이 중요함을 시사하고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정부와 지자체, 대학에서는 효과적인 진로결정을 위해 교육·프로그램·정책수립 시 기업가정신과 창업에 대해 우선적으로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아울러 고용률 증대 및 지속적인 경제성장을 위해 기업가정신과 사회적 자본이 대학생의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에 대한 연구가 더욱더 확대 되어야 할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effects of entrepreneurship and social capital on university students' entrepreneurial intentions, mainly from domestic and foreign studies. The main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whether the self-efficacy of the care...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effects of entrepreneurship and social capital on university students' entrepreneurial intentions, mainly from domestic and foreign studies. The main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whether the self-efficacy of the career decision influences the Moderating effects of university students' entrepreneurial intentions.
We analyzed the effects of three factors of entrepreneurship (technological innovation, danger sensitivity, and enterprisingness) on university students 'intention to start, and the effecentrepreneurial intentionsts of social capital (norms, networks, and trust) on university students' intention to start. And whether the self-efficacy (self-evaluation, occupational information, setting goals, troubleshooting) of the entrepreneurship college student's founding ground career plays a role in coordination, the social capital and the self-efficacy of the college student's founding ground career I understood about the role of regulation.
For this reason, we analyzed the influence of corporate spirit and social capital on university students' entrepreneurial intentions, and whether their self-efficacy for career decision-making has a Moderating effects, based on previous research in Japan and abroad.
The analysis first showed that entrepreneurship affected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s of college students to start a business. Second, it was found that social capital affected university students' entrepreneurial intentions a business. Third, it was confirmed that the self-efficacy of career decision has a Moderating effects on the establishment of companies and mental college students. Fourth, it was confirmed that self-efficacy in career decision-making has a Moder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apital and university students' entrepreneurial intentions a business. These results show that the foundation and entrepreneurship are important for effective choice of college students. Based on this, governments, municipalities and universities will have to give priority to entrepreneurship and entrepreneurship in developing education, programs and policies for effective career decisions.
In addition, research on the effects of corporate spirit and social capital on university students' entrepreneurial intentions to increase the employment rate and sustainable economic growth should be further expanded, as well as the effects of regulating self-efficacy on career decisions.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