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유아교사의 창의성과 창의성 교육활동 경험 =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Creativity and Experiences of Classroom Activities to Promote Creativ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33727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explore the creativity that teachers have experienced during their growth process and experiences of classroom activities promoting creativity through in-depth interviews. It gave teachers the opportunity to look at thei...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explore the creativity that teachers have experienced during their growth process and experiences of classroom activities promoting creativity through in-depth interviews. It gave teachers the opportunity to look at their own creativity from a new perspective and provide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teachers planning and implementing creativity for educational activities in the future. Research participants were seven teachers from various type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The research data were collected using methods such as interview, audio recording, and writes-ups in the field. The analysis was conducted by categorizing the transcripts made from the collected data. Study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eachers found their creativity potentials and experienced ordinary creativity not only in their daily lives but also in the art and formal curriculum. Teachers experience creativity in the process of discovering new methods that did not exist before and produced results. They experienced creativity within the process of forming relationships and communicating with others. Teachers also experienced creativity not only in the artistic area where they could express their thoughts and feelings freely, but also by carrying out a task, and by exploring with curiosity when opportunities or environments present itself to express creativity in the formal curriculum. It led teachers to recognize that creativity is available to anyone, and can be developed through training, education and efforts. Second, teachers provided classroom activities to promote creativity that reflected the teacher’s own strength and interest, while showing low self-confidence in their creativity. They encouraged children to participate in creativity educational activities. Teachers wanted to support the individual child to express their own unique creativity, while providing them with the opportunities to think and express themselves freely.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 of this study will help to understand and raise the awareness of creativity, so that effective creativity educational activities can be planned and implemented toward the desirable direc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창의성과 창의성 교육활동 경험을 심층면담을 통해 살펴봄으로써 새로운 시각에서 창의성을 인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향후 유아 창의성 교육활동을 계획ㆍ실...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창의성과 창의성 교육활동 경험을 심층면담을 통해 살펴봄으로써 새로운 시각에서 창의성을 인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향후 유아 창의성 교육활동을 계획ㆍ실행하는 교사들에게 교육적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참여자는 다양한 유형의 유아교육기관에 근무하고 있는 교사 7명으로, 2013년 10월 초부터 11월 말까지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수집된 자료의 전사본을 만들어 범주화해나가며 분석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은 일상생활에서뿐만 아니라 예술영역과 정규교육과정 안에서 그들에게 잠재된 창의성을 발견하고 평범한 창의성을 경험했다. 교사들은 기존에 존재하지 않았던 새로운 방법을 발견해 결과물을 산출하고, 타인과 관계를 형성하고 소통하는 과정 안에서 창의성을 경험했다. 또한, 자신의 생각과 느낌을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는 예술영역뿐만 아니라 정규교육과정 안에서 창의성을 발현할 수 있는 기회나 환경이 제공되었을 때 호기심을 갖고 탐구하며 주어진 과제를 수행함으로써 창의성을 경험했다. 이를 통해 교사들은 창의성은 누구나 가질 수 있으며, 훈련과 교육, 노력을 통해 계발될 수 있음을 인식했다. 둘째, 교사들은 자신의 창의성에 대해 낮은 자신감을 보이면서도 교사 자신의 강점과 흥미를 반영한 창의성 교육활동을 제공하면서 유아들이 창의성 교육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지원했다. 그들은 개별 유아가 자신의 특수한 창의성을 발현해내도록 지원하는 동시에 유아들이 자유롭게 생각하고 다양하게 표현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자 했다. 본 연구의 결과가 유아교사의 유아 창의성 및 창의성 교육활동에 대한 이해를 돕고, 교사의 창의성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 창의성 교육활동이 바람직한 방향으로 계획ㆍ실행되기를 기대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장인희, "한국 초등 교사들이 생각하는 아동의 창의성에 관한 암묵적 지식 연구:반구조화된 심층면접 조사 분석을 통한 창의성 개념 생성" 교육문제연구소 (40) : 141-167, 2011

      2 Schwab, K., "클라우스 슈밥의 제4차 산업혁명" 새로운 현재 2016

      3 권희경, "초임 유아교사들이 구성한 창의적인 유아와 창의적인 교사에 대한 의미" 한국보육지원학회 9 (9): 53-74, 2013

      4 교육부, "초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5 조연순, "초등학교 교사와 학부모의 창의성 및 창의성 교육에 대한 인식 분석" 교육과학연구소 40 (40): 215-237, 2009

      6 김호, "창의적 인재 양성을 위한 유아 창의성 교육의 새로운 방향" 교육연구원 36 (36): 1-20, 2016

      7 최인혁, "창의적 문제해결 모형을 적용한 미술활동이 영재와 일반아동의 창의력, 공간능력, 도형유추능력에 미치는 영향" 안암교육학회 16 (16): 125-156, 2010

      8 Csikszentmihalyi, M., "창의성의 즐거움" 북로드 2003

      9 최인수, "창의성의 발견 : 창의성은 언제, 어디서, 무엇에 의해, 어떻게 발현되는가" 쌤앤파커스 2011

      10 노영희, "창의성에 대한 유치원 교사들의 인식" 유아교육연구소 9 : 163-181, 2007

      1 장인희, "한국 초등 교사들이 생각하는 아동의 창의성에 관한 암묵적 지식 연구:반구조화된 심층면접 조사 분석을 통한 창의성 개념 생성" 교육문제연구소 (40) : 141-167, 2011

      2 Schwab, K., "클라우스 슈밥의 제4차 산업혁명" 새로운 현재 2016

      3 권희경, "초임 유아교사들이 구성한 창의적인 유아와 창의적인 교사에 대한 의미" 한국보육지원학회 9 (9): 53-74, 2013

      4 교육부, "초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5 조연순, "초등학교 교사와 학부모의 창의성 및 창의성 교육에 대한 인식 분석" 교육과학연구소 40 (40): 215-237, 2009

      6 김호, "창의적 인재 양성을 위한 유아 창의성 교육의 새로운 방향" 교육연구원 36 (36): 1-20, 2016

      7 최인혁, "창의적 문제해결 모형을 적용한 미술활동이 영재와 일반아동의 창의력, 공간능력, 도형유추능력에 미치는 영향" 안암교육학회 16 (16): 125-156, 2010

      8 Csikszentmihalyi, M., "창의성의 즐거움" 북로드 2003

      9 최인수, "창의성의 발견 : 창의성은 언제, 어디서, 무엇에 의해, 어떻게 발현되는가" 쌤앤파커스 2011

      10 노영희, "창의성에 대한 유치원 교사들의 인식" 유아교육연구소 9 : 163-181, 2007

      11 조연순, "창의성교육 : 창의적 문제해결력 계발과 교육방법"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08

      12 Urban, K. K., "창의성-요소적 접근 모델" 24 : 5-27, 1996

      13 이지혜, "창의성 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적용 사례 분석"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2011

      14 김순남, "창의성 교육 실태 분석과 교육 정책적 과제" 51 (51): 41-68, 2003

      15 Cropley, J. A., "창의성 계발과 교육" 학지사 2004

      16 Merriam, B. S., "질적 사례 연구법-교육학에서의 질적 사례 연구법" 양서원 1994

      17 강승호, "중등학교 창의성 교육의 실태, 문제점 및 발전방향" 14 (14): 71-107, 2001

      18 김호, "유아의 창의성과 관련된 교사와 유아 변인 탐색"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2 (12): 255-278, 2007

      19 장미정, "유아의 창의성 교육을 위한 교사역할 인식 분석"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96

      20 조연순, "유아를 위한 창의성 프로그램 개발" 24 : 29-48, 1996

      21 한기순, "유아교육 현장에서의 창의성과 반창의성: 유치원 교사들과의 심층 인터뷰를 중심으로" 미래유아교육학회 22 (22): 229-249, 2015

      22 이춘복, "유아교사의 창의성 교육 경험의 의미 탐색"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9 (19): 173-195, 2015

      23 이채호, "유아 창의성에 관한 연구동향 분석" 한국아동학회 30 (30): 1-8, 2009

      24 김호, "유아 창의성 교육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 및 지도 실태" 32 (32): 109-129, 2012

      25 황정숙, "유아 창의성 교육에 대한 연구 동향 분석" 7 (7): 19-35, 2007

      26 신샘이, "유아 창의성 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교육의 실제: 사례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8

      27 서희전, "유아 창의ㆍ인성교육에 대한 인식 및 요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2016

      28 배효정, "어린이집의 창의성 교육 현황 및 창의성 교육에서의 교사역할"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29 Graue, M. E., "어린이 연구를 위한 질적연구방법론" 파워북 2014

      30 미래창조과학부 미래준비위원회, "미래전략보고서: 10년 후 대한민국 미래 일자리의 길을 찾다" 지식공감 2007

      31 전경원, "누리과정이 반영된 유아창의성교육" 정민사 2012

      32 서유헌, "내 아이의 미래가 달라지는 엄마표 뇌교육" 아이트리 2010

      33 Peterson, C., "긍정심리학 프라이머" 물푸레 2010

      34 Bogdan, R. C., "교육의 질적 연구방법론" 경문사 2010

      35 노영희, "교사용 유아 창의성 평정척도 개발"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1 (11): 23-44, 2006

      36 강순미, "‘생각의 탄생’-13가지 생각도구를 기초한 유아교사의 유아 창의성교육의 의미 탐색" 한국영재교육학회 15 (15): 149-171, 2016

      37 Wolcott Torrance, E, P., "The handbook of qualitative research in education" Academic Press 3-52, 1992

      38 Guilford, J. P., "Personality" McGraw-Hill 1959

      39 Sternberg, R. J., "Creativity and development" Oxford University Press 91-138, 2003

      40 교육과학기술부,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교사용 지침서"

      41 Torrance, E, P., "(토랜스의)창의성과 교육 : 왜 높이 날려하는가" 학지사 200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5-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기타)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2 0.42 0.4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 0.66 0.756 0.2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