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가치투자의 수행성과 대중투자문화의 형성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87343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에서 1990년대 후반 이후 등장한 ‘대중투자’ 문화를 주식투자라는 금융적 실천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대중적인 주식투자 전략의 하나인 ‘가치투자’가 개인...

      본 연구는 한국에서 1990년대 후반 이후 등장한 ‘대중투자’ 문화를 주식투자라는 금융적 실천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대중적인 주식투자 전략의 하나인 ‘가치투자’가 개인투자자들에 의해 해석되고 활용되는 구체적인 과정에 대한 분석을 통해, 한국 사회에서 ‘투자’라는 금융적 실천이 갖는 사회적·문화적 함의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가치투자는 재무제표와 사업보고서와 같은 자료를 토대로 기업의 가치를 분석하고 계산하여, 이러한 가치를 기준으로 주식을 거래하는 투자 전략이다. 하지만 가치투자는 단순히 주식투자를 매개하는 금융지식에 불과한 것이 아니라 ‘가치투자자’라는 투자자 주체를 생산하는 핵심적인 계기이기도 하다. 가치투자는 투자와 투자자에 대한 합리적이고 도덕적인 표상을 생산하며 투자자들의 실천과 인식을 변화시키고, 더 나아가 이들의 생애기획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수행적 효과를 발휘한다. 연구자는 ‘가치투자의 수행성’을 구체적으로 검토하기 위해서 ‘잃지 않는 투자’와 ‘배우는 투자’를 지향하는 가치투자 전문 교육기관인 ‘A 투자교육연구소’에서 개설한 가치투자 강좌를 참여관찰하였고, 수강생들을 중심으로 심층면접을 수행하였다.
      가치투자는 1997년 경제위기 이후 구조조정을 통한 기업의 재무구조 개선과 2000년대 초반 주식시장에서의 가치주 등장을 배경으로 개인투자자들의 주목을 받기 시작하였다. 가치투자는 1990년대 후반 이후 벤저민 그레이엄과 워렌 버핏과 같은 가치투자의 상징적 인물들의 투자 방식을 충실하게 해석하고 한국적 맥락으로 번역하는 소수의 ‘매개자’에 의해 대중적으로 확산되었다. ‘A 투자교육연구소’ 역시 이러한 매개자 그룹 중 하나로, 개인투자자를 대상으로 한 가치투자 교육을 통해 가치투자를 전파하는 데 일조한다.
      투자자들은 반복되는 주식투자에서 실패를 경험하거나 기대만큼의 수익을 기록하지 못하면서, 가치투자를 통해 주식투자를 체계적으로 접근하는 방식을 학습하기를 원하고, 이를 통해 더 이상 주식투자에서 실패하지 않을 것이라고 기대한다. ‘버핏 교실’은 가치투자에 대한 특정한 지식을 생산하고, 이를 구체적인 테크닉의 형태로 재가공하여 수강생들에게 제공하고 있는 교육 프로그램으로, 합리적이고 건전한 투자를 실천하는 현명한 투자자라는 윤리적인 주체를 적극적으로 생산하고자 한다. 또한 가치투자는 투자자들이 주식투자를 정당한 사회적 실천으로 의미화하는데 있어서 핵심적인 개념과 논리를 제공한다.
      가치투자자들은 돈의 논리가 지배하는 자본주의 하에서 경제적 자유를 열망한다. 경제적 자유를 획득하기 위한 유력한 방식이었던 직장생활은 한국 사회의 신자유주의적 전환 이후 노동 환경의 불안정성으로 인해 더 이상 매력적인 선택이 아니게 되었고, 이들이 자연스럽게 눈을 돌리게 되는 것이 재테크이다. 그리고 주식투자를 통해 자산을 관리하고 증식하려는 투자자들은 가치투자를 통해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수익을 기록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한다. 평생직장이라는 개념이 사라진 자리에 ‘평생직장으로서의 주식투자’라는 상상이 등장하는데, 가치투자는 이러한 상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가능성을 생산한다.
      이 연구는 한국 사회의 신자유주의적 전환 이후 일상화된 경제적 불안정에 ‘재테크’라는 사적인 자산관리의 전략으로 대응하는 투자자들의 인식, 윤리 그리고 실천을 이해하려고 시도하였다. 대중투자문화는 다양한 금융적 수단, 재테크 지식과 정보를 통해 돈이 스스로 일하게끔 하라고 요청하면서, 일상을 돈을 만들어내기 위한 열망으로 가득 채운다. 그리고 돈을 현명하게 투자하고, 사려 깊게 예측하며, 전략적으로 자산을 배치하면 성공할 수 있다는 환상을 만들어낸다. 가치투자는 주식투자를 통한 부의 획득이 가능할 것이라고 기대하는 가치투자자들을 지속적으로 생산함으로써, 대중투자문화를 재생산하는 핵심적인 계기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research analyzes the so-called “popular investing culture”, which has emerged since the late 1990s, focusing on the financial practices of the stock investment. In other words, this research, analyzing the concrete processes of the interpret...

      This research analyzes the so-called “popular investing culture”, which
      has emerged since the late 1990s, focusing on the financial practices of
      the stock investment. In other words, this research, analyzing the
      concrete processes of the interpretations and exploitations of “value
      investing” - one of the strategies of the popular investing culture ? by
      individual investors, has an object of elucidating the socio-cultural
      implications of the financial practices of the “stock investment” in Korean
      Society. Value investing is an investing strategy which trades stocks in
      accordance with some values produced by calculating and analyzing a
      value of a company on the basis of financial statements and business
      reports. However, value investing is not a simple finance knowledge
      which mediates the practices of the stock investment, but it is also the
      essential points which produce investing subjects called “value investor”.
      Value investing displays performative effects in that it produces rational
      and moral representations about the investment and the investor, and
      transforms the recognition and practice of the investors, and furthermore,
      has an influence on the life-plans of the investors. In the view of the
      concrete examination of the “performativity of the investor”, this research
      - 115 -
      participates and observes some courses of value investing organized by
      “A research center for education of investment” - this research center
      aims at “no-losing investment” and “enlightening investment” - , and
      carries out some in-depth interviews with some students of this course.
      Value investing was starting to get a lot of attention of individual
      investors after the economic crisis of 1997. It was because after the
      economic crisis of 1997, financial structures of some companies were
      improved by the restructurings, and in this situation, value stock recorded
      stable profits. In that time, value investing was popularly introduced and
      propagated by a few of “mediators” who accurately interpreted - and
      translated in the context of Korean society - the investment strategies
      of the emblematic figures of value investing, for example Benjamin
      Graham and Warren Buffett. “A resarch center for education of
      investment” was also one of the mediating groups, and until now it
      performs a role of introducing and propagating value investing by the
      education of value investing for individual investors.
      Individual investors, who repetitively fail in investment or cannot obtain
      profits expected, learn the ways of performing the stock investment
      systematically by value investment, and after these learnings, they expect
      that no more they would not fail in the stock investment. “Buffett Class”
      produces the particular knowledge of value investing. “Buffett Class”
      reformulates this knowledge as some forms of specific techniques and
      provides these techniques in education programs, thereby “Buffett Class”
      enthusiastically aims to produce the ethical subject as a smart investor
      who practices rational and sound investments. Value investing purveys the
      essential concepts and logics for signifying the stock investment as a
      justifiable social practice.
      Value investors aspire to obtain economic freedom in the capitalism
      which is predominated by the logics of money. After the neoliberal turn
      - 116 -
      of Korean society, the employment, which was the only and prime way to
      obtain economic freedom, is now out of the charming choice alternatives
      because of the destabilization of the labor. Consequently, individuals pay
      much attention at financial technique. And individual investors who want
      to administer and increase their assets by stock investment, expect to
      obtain continuous and stable profits by value investing. In the vanished
      place of the notion of the life-time workplace, the imagination of the
      “stock investment as a life-time job” emerges, and value investing plays
      an essential role as a concrete strategy and life-plain for embodying this
      imagination.
      This research tries to understand the knowledge, the ethics and the
      practices of the investors who counter-act and defend for themselves
      with a private strategy of asset-running financial technique in the face of
      the prevailing economic destabilization after the neoliberal turn of Korean
      society. The popular investing culture, through a variety of financial
      techniques, financial knowledge and information, ordering money to work
      or operate of itself, fills everyday life of the people with aspirations for
      making more money. And this culture creates some fantasies in which the
      investors who invest smartly, predict reflexively, and arrange their assets
      strategically can succeed in the investment. Value investing is an
      essential moment which reproduces the popular investing culture by
      producing value investors who expect that they can make more money through the stock investments.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