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의 초등학교 바른생활과 교육과정과 일본의 1, 2학년 도덕 교육과정의 비교 = Comparative Analysis of Moral Life Curriculum of Korea and Morals Curriculum of 1st and 2nd Graders of Japa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84084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바른생활과 교육과정과 일본의 1, 2학년 도덕 교육과정의 비교를 통하여 교육과정 개발에 있어서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한국의 경우는 2007년 개정 교육과정의 바른생활과를, 일본의 경우는 2008년 학습지도요령의 1, 2학년 도덕 교육과정을 기초로 비교 분석하였다. 양국의 교육과정은 목표, 시간배당, 내용을 중심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양국 교육과정의 공통점으로는 교육목표에서 양국 모두 도덕적 가치, 판단력, 실천의욕 및 태도를 강조한다는 것과, 교육내용에서 양국 모두 기본생활습관, 예절, 배려, 생활규범과 관련된 내용들을 강조하고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양국의 차이점으로는 교육 내용에서 한국은 기본생활습관의 형성과 관련해서 기본생활습관뿐만 아니라 기본학습습관 형성의 내용도 다수 포함하고 있지만, 일본은 개인의 건강, 안전, 절약, 근면 등과 같은 기본생활습관과 관련된 내용만으로 구성하고 있었다. 또한, 한국은 규범과 관련하여 차례와 질서 지키기와 같은 사회생활 규범을 강조하는 반면, 일본은 정직, 근로, 용기 등과 같은 개인생활 규범을 강조하는 경향이 있었다. 마지막으로, 한국과 일본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기초로 한국의 바른생활과 교육과정 개발의 시사점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바른생활과 교육과정과 일본의 1, 2학년 도덕 교육과정의 비교를 통하여 교육과정 개발에 있어서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한국의 경우는 2007년 개정 교육과정의 바...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바른생활과 교육과정과 일본의 1, 2학년 도덕 교육과정의 비교를 통하여 교육과정 개발에 있어서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한국의 경우는 2007년 개정 교육과정의 바른생활과를, 일본의 경우는 2008년 학습지도요령의 1, 2학년 도덕 교육과정을 기초로 비교 분석하였다. 양국의 교육과정은 목표, 시간배당, 내용을 중심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양국 교육과정의 공통점으로는 교육목표에서 양국 모두 도덕적 가치, 판단력, 실천의욕 및 태도를 강조한다는 것과, 교육내용에서 양국 모두 기본생활습관, 예절, 배려, 생활규범과 관련된 내용들을 강조하고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양국의 차이점으로는 교육 내용에서 한국은 기본생활습관의 형성과 관련해서 기본생활습관뿐만 아니라 기본학습습관 형성의 내용도 다수 포함하고 있지만, 일본은 개인의 건강, 안전, 절약, 근면 등과 같은 기본생활습관과 관련된 내용만으로 구성하고 있었다. 또한, 한국은 규범과 관련하여 차례와 질서 지키기와 같은 사회생활 규범을 강조하는 반면, 일본은 정직, 근로, 용기 등과 같은 개인생활 규범을 강조하는 경향이 있었다. 마지막으로, 한국과 일본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기초로 한국의 바른생활과 교육과정 개발의 시사점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ain implications on curriculum development from the comparative analysis of Moral Life curriculum of Korea and morals curriculum of Japan. The comparative analysis was based on the 2007 revised Moral Life curriculum of Korea and the 2008 revised morals curriculum of Japan. The curriculum of the two countries were compared and analyzed based on the purpose, assigned time and contents. As a result, the similarities of the curriculum of the two countries were that they both emphasized moral values, determination, practice and attitude. Also, both of their contents were composed of basic life practices, manners, consideration and norms. However, the differences regarding contents were that when teaching basic life practices, Korea included cultivation of basic learning practices along with basic living practices while those of Japan only had information regarding basic living practices such as personal health, safety, frugality and diligence. In addition, Korea emphasized maintaining order regarding norms while Japan focused on honesty, labor and courage. Finally, there suggested various points of improvement on developing the Moral Life curriculum of Korea based on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Korea and Japan.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ain implications on curriculum development from the comparative analysis of Moral Life curriculum of Korea and morals curriculum of Japan. The comparative analysis was based on the 2007 revised Moral Life curriculum 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ain implications on curriculum development from the comparative analysis of Moral Life curriculum of Korea and morals curriculum of Japan. The comparative analysis was based on the 2007 revised Moral Life curriculum of Korea and the 2008 revised morals curriculum of Japan. The curriculum of the two countries were compared and analyzed based on the purpose, assigned time and contents. As a result, the similarities of the curriculum of the two countries were that they both emphasized moral values, determination, practice and attitude. Also, both of their contents were composed of basic life practices, manners, consideration and norms. However, the differences regarding contents were that when teaching basic life practices, Korea included cultivation of basic learning practices along with basic living practices while those of Japan only had information regarding basic living practices such as personal health, safety, frugality and diligence. In addition, Korea emphasized maintaining order regarding norms while Japan focused on honesty, labor and courage. Finally, there suggested various points of improvement on developing the Moral Life curriculum of Korea based on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Korea and Japa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권혁환, "초등학교 도덕과 교육과정의 변천"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 : 47-72, 2005

      2 교육과학기술부, "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Ⅱ)" 미래엔 컬처그룹 2008

      3 박남수, "초기 사회과에 있어서의 도덕교육의 성격"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11 (11): 123-140, 2004

      4 정광순, "주제 중심의 초등통합교과 교육의 구현 가능성 탐색"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3 (3): 35-58, 2009

      5 정미라, "일본에 대비한 우리나라 특별활동 및 재량활동에 관한 연구" 18 (18): 69-97, 2000

      6 이승연, "일본 초등학교 도덕과 내용체계에 관한 소고 -한국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9) : 203-226, 2009

      7 구니이유타카, "일본 2008년 개정 도덕교육 교육과정에 관한 고찰: 한국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31) : 317-350, 2010

      8 김수천, "우리나라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구조의 변천에 관한 연구: 교과체계 변천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학회 20 (20): 149-178, 2002

      9 吉田武男, "道德敎育の變成と課題" 學文社 2010

      10 押谷由夫, "小學校 新學習指導要領の展開 道德編" 明治圖書 2008

      1 권혁환, "초등학교 도덕과 교육과정의 변천"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 : 47-72, 2005

      2 교육과학기술부, "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Ⅱ)" 미래엔 컬처그룹 2008

      3 박남수, "초기 사회과에 있어서의 도덕교육의 성격"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11 (11): 123-140, 2004

      4 정광순, "주제 중심의 초등통합교과 교육의 구현 가능성 탐색"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3 (3): 35-58, 2009

      5 정미라, "일본에 대비한 우리나라 특별활동 및 재량활동에 관한 연구" 18 (18): 69-97, 2000

      6 이승연, "일본 초등학교 도덕과 내용체계에 관한 소고 -한국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9) : 203-226, 2009

      7 구니이유타카, "일본 2008년 개정 도덕교육 교육과정에 관한 고찰: 한국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31) : 317-350, 2010

      8 김수천, "우리나라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구조의 변천에 관한 연구: 교과체계 변천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학회 20 (20): 149-178, 2002

      9 吉田武男, "道德敎育の變成と課題" 學文社 2010

      10 押谷由夫, "小學校 新學習指導要領の展開 道德編" 明治圖書 2008

      11 文部科学省, "小学校学習指導要領解説 道德編" 東洋館出版社 2008

      12 文部科学省, "小学校学習指導要領解説 總則編" 東洋館出版社 2008

      13 정보주, "「바른 생활」과의 정체성에 대한 연구"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4) : 3-28, 2007

      14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2009 개정 초등통합교과교육과정[시안] 공청회 자료집" 한알 2011

      15 교육과학기술부, "2009 개정 교육과정 총론" 사회복지법인 홍애원 2009

      16 新谷恭明, "2008年版學習指導要領を讀む視點" 白澤社 200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12-26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 Evaluation ->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5-19 학술지등록 한글명 : 교육과정평가연구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Curriculum & Evaluation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7 0.87 1.0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2 0.77 1.353 0.8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