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니체의 민주주의 이념 비판- 자유, 평등, 박애 비판을 중심으로 = Nietzsche’s Critique of Democratic Values: Focused on Liberty, Equality and Fratern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99427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Democracy has developed in Western Europe, and it prevailed in this world, as English Chartist Movement started. After very end of World War Ⅱ, democracy has begun to spreaded over the colonial countries, including Korean democratic republic. Libera...

      Democracy has developed in Western Europe, and it prevailed in this world, as English Chartist Movement started. After very end of World War Ⅱ, democracy has begun to spreaded over the colonial countries, including Korean democratic republic. Liberal Democracy has confronted to people's democracy in the era of cold war. And the socialist countries has fallen down. The latter has been defeated by the former. F. Fukuyama has declared the victory of liberal democracy as the end of history. Liberal democracy has been transforming to neo-liberalism. But financial crisis of USA in 2008 has revealed the limit of neo-liberalism.
      In first decade of 21C, we have observed the Jasmin Revolution in the middle east and north-african countries. The political meanings and institutional forms of democracy has been changing, as democracy has been developing in the whole world. Democracy became a universal value of mankind nowadays.
      By the way, democracy has lost the critical meaning in the course of its universalization. As S. E. Bronner pointed out, democracy has lost its critical character and function, as it becomes cure-all for political problems. It proved to be obscuration and abstraction of democracy, as long as the concept of democracy has been extended. It is worthy of listening to Nietzsche's unreserved critique of democracy.
      In this paper Nietzsche's critique of liberty, equality and fraternity has been critically analyzed. The meanings and limits of Nietzsche's critique of democracy are described. The desirable Interpretation of Nietzsche's political philosophy is disputable till today. It results from the difference of interpretation of will to power, which is Nietzsche's most important philosophical concept. I tried to compare, and to analyze various interpretations of will to power. In this way, I do philosophical endeavors to clarify the merits and faults of each interpretation. Nietzsche's philosophical contributions should be succeeded, on the contrary, his limits should be overcome. First of all, the political interpretation of Nietzsche's philosophy should be done to approach this goal.
      I hope that this paper could contribute to the philosophical researches of Nietzsche's political philosophy and of contemporary democrac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민주주의는 19세기 영국의 차티스트 운동을 기점으로 유럽에서 시작되어 전 세계로 확산되기 시작하였다. 2차 대전 직후 민주주의는 한국을 포함한 구식민지 국가들에게 확산되었다. 냉전 ...

      민주주의는 19세기 영국의 차티스트 운동을 기점으로 유럽에서 시작되어 전 세계로 확산되기 시작하였다. 2차 대전 직후 민주주의는 한국을 포함한 구식민지 국가들에게 확산되었다. 냉전 시기 동안 민주주의는 자유민주주의와 인민민주주의의 대결국면을 맞았다. 결과는 사회주의의 몰락과 자유민주주의의 승리였다. 후쿠야마는 자유민주주의의 승리를 역사의 종말이라고 환호하였다. 이후 자유민주주의는 신자유주의로 변화해갔다. 그러나 2008 미국발 금융위기는 신자유주의의 한계를 드러내기 시작했다.
      2010년대 우리는 아랍과 북아프리카에서 민주주의의 제 3의 물결 ‘쟈스민 혁명’을 목격하였다. 역사 속에 민주주의는 전 세계로 확산되어간다. 그리고 민주주의의 의미와 제도 또한 변화되어 가고 있다. 민주주의는 이제 인류의 보편적 가치가 되었다. 20-21세기 민주주의가 보편화되는 과정에서 민주주의는 그 비판력을 많이 상실하였다. 브론너의 지적처럼 ‘민주주의가 모든 문제들의 해결책이 됨에 따라 그 비판적 특성과 기능은 상실되었다.’ 이는 민주주의 개념의 외연적 확장에 따른 민주주의 개념의 내포, 즉 민주주의 개념의 모호화로 드러나고 있다. 민주주의의 외연이 확장되면서 그 내포가 추상화되었다. 이러한 정치적 상황에서, 우리는 니체의 거리낌 없고 솔직한 민주주의 비판에 정치철학적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 필자는 민주주의의 핵심적 이념인 자유, 평등, 박애에 대한 니체의 비판을 분석하고, 그 의의와 한계를 서술하였다. 니체의 정치철학에 대한 해석은 여전히 논쟁적이다. 이는 니체의 가장 중요한 철학적 개념인 힘에의 의지에 대한 해석의 차이에서 비롯된다고 필자는 판단한다. 필자는 니체철학에 대한 다양한 정치철학적 해석을 비교, 분석하였다. 이 과정에서 필자는 각각의 해석이 갖는 장단점이 자연스럽게 드러나게 논문을 서술하였다. 우리는 이 과정을 통하여 니체 정치철학의 공헌은 계승, 발전시키고, 그 한계는 시대의 정치적 맥락에 맞추어 극복해나가야 할 것이다. 이러한 학문적 노력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먼저 니체철학에 대한 엄밀한 정치철학적 독해를 해야 한다. 본 논문이 니체 정치철학 연구과 현대민주주의 연구에 일조하기를 기대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유홍림, "현대 정치의 이해" 인간사랑 13-40, 2003

      2 브론너, 스티븐 에릭, "현대 정치와 사상" 인간사랑 2005

      3 최소인, "칸트와 현대유럽철학" 철학과현실사 2001

      4 강용수, "칸트와 문화철학" 철학과 현실사 2003

      5 무페, 샹탈, "정치적인 것의 귀환" 후마니타스 2007

      6 보비오, 로베르토, "자유주의와 민주주의" 문학과 지성사 2007

      7 프롬, 에리히, "자유에서의 도피" 범우사 1996

      8 벌린, 이사야, "자유론" 아카넷 2006

      9 순자, "순자" 을유문화사 2003

      10 최순영, "세계관으로서의 동일자의 영원회귀와 니힐리즘" 한국니체학회 (12) : 251-283, 2007

      1 유홍림, "현대 정치의 이해" 인간사랑 13-40, 2003

      2 브론너, 스티븐 에릭, "현대 정치와 사상" 인간사랑 2005

      3 최소인, "칸트와 현대유럽철학" 철학과현실사 2001

      4 강용수, "칸트와 문화철학" 철학과 현실사 2003

      5 무페, 샹탈, "정치적인 것의 귀환" 후마니타스 2007

      6 보비오, 로베르토, "자유주의와 민주주의" 문학과 지성사 2007

      7 프롬, 에리히, "자유에서의 도피" 범우사 1996

      8 벌린, 이사야, "자유론" 아카넷 2006

      9 순자, "순자" 을유문화사 2003

      10 최순영, "세계관으로서의 동일자의 영원회귀와 니힐리즘" 한국니체학회 (12) : 251-283, 2007

      11 스트라우스, 레오, "서양정치철학사Ⅲ" 인간사랑 2007

      12 문기수, "맹자집주 2" 동연 2011

      13 최순영, "맑스 對 니체 그리고 포스트모더니즘" 한국정치연구소 13 (13): 287-312, 2004

      14 매킨타이어, 알래스데어, "덕의 상실" 문예출판사 1997

      15 정낙림, "니체의 현대성 비판과 정치사상 - 평등 이념의 문화적 의미" 한국니체학회 (19) : 153-189, 2011

      16 강영계, "니체와 문명 비판" 철학과 현실사 2007

      17 하이데거, 마틴, "니체와 니힐리즘" 지성의 샘 1996

      18 김진석, "니체는 왜 민주주의에 반대했는가" 개마고원 2008

      19 백승영, "니체 정치철학과 포스트모던 정치철학 - 워렌의 ‘포스트모던 힘의 철학’에 대한 비판적 숙고" 한국니체학회 (17) : 61-86, 2010

      20 니체, 프리드리히, "니체 전집" 책세상 2005

      21 니체전집간행위원회, "니체 읽기, 니체 전집" 책세상 2005

      22 마르티, 우르스, "니체 이해의 새로운 지평" 철학과 현실사 2000

      23 성백효, "논어집주" 전통문화연구회 2004

      24 플라톤, "국가" 서광사 1997

      25 호르크하이머, 아도르노, "계몽의 변증법" 문예출판사 1996

      26 Colli, Giorgio, "“Nachwort”, KSA 13" dtv/ de Gruyter 1988

      27 McIntyre, Alasdair, "Virtuosos of Contempt: an Investigation of Nietzsche’s Political Philosophy through certain Platonic Ideas" Walter de Gruyter 21 : 184-210, 1992

      28 Klein, Wayne, "Theisis Eleven. Issue. 35"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igy 1993

      29 Derrida, Jacque, "Spurs: Nietzsche's Sty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79

      30 Müller-Lauter, Wolfgang, "Redliches Denken: Festschrift für" Bad Cannstatt 1981

      31 Ottmann, Henning, "Philosophie und Politik bei Nietzsche" Walter de Gruyter 1987

      32 Löwith, "Nietzsches Philosophie der ewigen Wiederkehr des Gleichen" Felix Meiner Verlag GmbH 1986

      33 Kaulbach, Friedrich, "Nietzsches Idee einer Experimentalphilosophie" Böhlau Verlag 1980

      34 Müller-Lauter, Wolfgang, "Nietzsche: seine Philosophie der Gegensätze und die Gegensätze seiner Philosophie" Walter de Gruyter 1971

      35 Nehamas, Alexander, "Nietzsche: Life as literature" Harvard University Press 1985

      36 Jaspers, Karl, "Nietzsche und Christentum" Hameln 1946

      37 Danto, Arthur, "Nietzsche as Philosopher" 1965

      38 Warren, Mark, "Nietzsche and Political Thought" The MIT Press 1991

      39 Nietzsche, Friedrich, "Kritische Studienausgabe in 15 Bänden" dtv/de Gruyter 1988

      40 Albertz, Jörg, "Kant und Nietzsche - Vorspiel einer künftigen Weltauslegung?" Freie Akademie 1988

      41 Heidegger, Martin, "Gesammtausgabe. Bd. 48, Nietzsche: der europäische Nihilismus" Klostermann, Vittorio 1986

      42 Lukács, Georg, "Die Zerstörung der Vernunft: Nietzsche als Begründer des Imperialistischen Irrationalismus" 1953

      43 Gerhardt, Volker, "Die Perspektive des Perspektivismus" 18 : 1989

      44 Gadamer, Hans-Georg, "Das Drama Zarathustras" 15 : 1986

      45 De Man, Paul, "Allegories of Reading" Yale University Press 1979

      46 Bäumler, Alfred, "100 Jahre Philosophische Nietzsche-Rezeption" Anton Hain Meisenheim Verlag 199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14 학술지등록 한글명 : 니체연구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Korean Nietzsche-Society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1 0.91 0.8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6 0.74 1.844 0.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