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시설 거주 장애인의 탈시설의향 요인에 관한 연구 = A Analysis for the Intention of Deinstitutionalization of the Disable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44774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The supports for deinstitutionalization and independent living in local communityfor the disabled means a successional process: first, identification of the intentionof deinstitutionalization; second, provision of housing facilities in transitionalphase and activity support for the disabled; third, provision of permanentresidential space, income and workplace for the independent living and dynamiclinkage of various social services(including activity support for the disabled). Thefirst step for this process is to identify and to categorize, which disabled haverelative strong intention of deinstitutionalization.
      This study has tried to analyse comparatively the actual condition surveys ofthe disabled in living facilities in the time between 2009 and 2012 from theaspects of intention of deinstitutionalization and its independent variables, level ofsatisfaction. The intention of deinstitutionalization has decreased steadily from57% in 2009 to 34% in 2012. But, the two surveys record 57% of the intention ofdeinstitutionalization. The sociodemographic variables of the disabled for theintention of deinstitutionalization are not consistent in all surveys. Only one surveyhas identified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intention of deinstitutionalizationand dissatisfactions with staffs and services of facilities.
      This study has taken a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o identify and categorize theinfluence variables of the intention of deinstitutionalization of the disabled. The results are that woman, relative old age, satisfactions with usage of cellular phoneand internet, dissatisfactions with facility, practice in vocational training, relativeshort residence in living facilities for the disabled by type(rather than in livingfacility for the severely disabled). Because this result comes from a actualcondition surveys for Incheon in 2012, it can not be applied for the wholecountry. Therefore, the nationwide identification and categorizing for the intentionof deinstitutionalization of the disabled, that would lead for the first step for thesupports for deinstitutionalization and independent living in local community forthe disabled.
      번역하기

      The supports for deinstitutionalization and independent living in local communityfor the disabled means a successional process: first, identification of the intentionof deinstitutionalization; second, provision of housing facilities in transitionalpha...

      The supports for deinstitutionalization and independent living in local communityfor the disabled means a successional process: first, identification of the intentionof deinstitutionalization; second, provision of housing facilities in transitionalphase and activity support for the disabled; third, provision of permanentresidential space, income and workplace for the independent living and dynamiclinkage of various social services(including activity support for the disabled). Thefirst step for this process is to identify and to categorize, which disabled haverelative strong intention of deinstitutionalization.
      This study has tried to analyse comparatively the actual condition surveys ofthe disabled in living facilities in the time between 2009 and 2012 from theaspects of intention of deinstitutionalization and its independent variables, level ofsatisfaction. The intention of deinstitutionalization has decreased steadily from57% in 2009 to 34% in 2012. But, the two surveys record 57% of the intention ofdeinstitutionalization. The sociodemographic variables of the disabled for theintention of deinstitutionalization are not consistent in all surveys. Only one surveyhas identified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intention of deinstitutionalizationand dissatisfactions with staffs and services of facilities.
      This study has taken a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o identify and categorize theinfluence variables of the intention of deinstitutionalization of the disabled. The results are that woman, relative old age, satisfactions with usage of cellular phoneand internet, dissatisfactions with facility, practice in vocational training, relativeshort residence in living facilities for the disabled by type(rather than in livingfacility for the severely disabled). Because this result comes from a actualcondition surveys for Incheon in 2012, it can not be applied for the wholecountry. Therefore, the nationwide identification and categorizing for the intentionof deinstitutionalization of the disabled, that would lead for the first step for thesupports for deinstitutionalization and independent living in local community forthe disabl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시설거주 장애인이 출소하여 지역사회에서 자신의 자립생활을 영위하고자 할 경우 첫째, 탈시설의향 확인, 둘째, 탈시설 후 중간거주시설인 자립생활체험홈·공동생활가정·자립생활지원센터 등에대한 지원 및 ‘활동지원제도’ 제공 확대, 셋째, 지역사회에서 자립하기 위한 주거·일자리·소득 지원및 지역사회 복지서비스와의 연계를 하나의 연속과정으로 제도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하나의 연속적인 과정인 탈시설·지역사회 자립생활 지원을 체계적으로 제도화하는 첫 단계인 거주시설에서 생활하는 장애인들 중 어떤 특성을 가진 장애인들이 탈시설하여 지역사회에서 자립생활을희망하는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지난 2009년부터 2012년까지 몇 몇 광역지자체가 실시한 시설 거주 장애인들의 탈시설욕구를 분석하여 탈시설의향과 이에 영향을 준 변수들및 만족도 등을 비교하였다. 시설 거주 장애인의 탈시설의향은 일반적으로 2009년 57% 수준에서2012년 34% 수준으로 지속적으로 감소하였다가, 다시 58% 수준으로 증가하였다고 이해할 수 있다.
      이러한 감소와 증가의 동반 경향은 조사의 시기와 지역 및 조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뿐만 아니라, 시설에 거주하는 장애인들 중 발달장애인 및 중증 장애인의 증가 등 다양한 이유 때문에 하나의일반적인 결과를 제시하지 못하는 결과를 유도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2012년인천광역시에서 실시된 시설 거주 장애인에 대한 전반적인 실태조사를 바탕으로 한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다양한 변수들 중 어떤 특성을 가진 장애인들이 상대적으로 탈시설의향이 강한가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였다. 인천지역 실태조사를 분석한 결과, 본 연구는 장애유형별 거주시설에 짧은 거주기간, 여성, 상대적으로 높은 연령, 휴대폰·인터넷 사용에 대한 만족 및 시설에 대한 불만족, 직업훈련 수행 등이 상대적으로 강한 탈시설의향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번역하기

      시설거주 장애인이 출소하여 지역사회에서 자신의 자립생활을 영위하고자 할 경우 첫째, 탈시설의향 확인, 둘째, 탈시설 후 중간거주시설인 자립생활체험홈·공동생활가정·자립생활지원�...

      시설거주 장애인이 출소하여 지역사회에서 자신의 자립생활을 영위하고자 할 경우 첫째, 탈시설의향 확인, 둘째, 탈시설 후 중간거주시설인 자립생활체험홈·공동생활가정·자립생활지원센터 등에대한 지원 및 ‘활동지원제도’ 제공 확대, 셋째, 지역사회에서 자립하기 위한 주거·일자리·소득 지원및 지역사회 복지서비스와의 연계를 하나의 연속과정으로 제도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하나의 연속적인 과정인 탈시설·지역사회 자립생활 지원을 체계적으로 제도화하는 첫 단계인 거주시설에서 생활하는 장애인들 중 어떤 특성을 가진 장애인들이 탈시설하여 지역사회에서 자립생활을희망하는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지난 2009년부터 2012년까지 몇 몇 광역지자체가 실시한 시설 거주 장애인들의 탈시설욕구를 분석하여 탈시설의향과 이에 영향을 준 변수들및 만족도 등을 비교하였다. 시설 거주 장애인의 탈시설의향은 일반적으로 2009년 57% 수준에서2012년 34% 수준으로 지속적으로 감소하였다가, 다시 58% 수준으로 증가하였다고 이해할 수 있다.
      이러한 감소와 증가의 동반 경향은 조사의 시기와 지역 및 조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뿐만 아니라, 시설에 거주하는 장애인들 중 발달장애인 및 중증 장애인의 증가 등 다양한 이유 때문에 하나의일반적인 결과를 제시하지 못하는 결과를 유도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2012년인천광역시에서 실시된 시설 거주 장애인에 대한 전반적인 실태조사를 바탕으로 한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다양한 변수들 중 어떤 특성을 가진 장애인들이 상대적으로 탈시설의향이 강한가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였다. 인천지역 실태조사를 분석한 결과, 본 연구는 장애유형별 거주시설에 짧은 거주기간, 여성, 상대적으로 높은 연령, 휴대폰·인터넷 사용에 대한 만족 및 시설에 대한 불만족, 직업훈련 수행 등이 상대적으로 강한 탈시설의향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경혜, "탈시설화 정책 및 주거환경 지원 학술연구" 서울시정개발연구원 2009

      2 박은희, "중증장애인 탈시설 자립생활 지원 연구" 대구경북연구원 2012

      3 이경태, "중증장애인 자립생활지원 마스터플랜 수립 연구 설문조사 보고서" ㈜폴리시앤리서치 2011

      4 김혜정, "중증장애인 자립생활지원 마스터플랜 수립 연구" 서울복지재단 2011

      5 법제처,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지원 조례 제정 현황"

      6 김명연, "장애인의 탈시설권리" 민주주의법학연구회 (45) : 149-178, 2011

      7 김용득, "장애인거주시설 체계개편 방향, In 장애인복지시설의 정책 변화! 주거・이용, 서비스의 선택?" 2009

      8 이용갑, "장애인 생활시설 이용자 복지실태 및 탈시설욕구조사" 인천발전연구원 2012

      9 민경락, "인권위, 장애인 인권 정책 개선안 마련키로"

      10 조한진, "시설거주인 거주 현황 및 자립생활 욕구 실태 조사" 국가인권위윈회 2012

      1 김경혜, "탈시설화 정책 및 주거환경 지원 학술연구" 서울시정개발연구원 2009

      2 박은희, "중증장애인 탈시설 자립생활 지원 연구" 대구경북연구원 2012

      3 이경태, "중증장애인 자립생활지원 마스터플랜 수립 연구 설문조사 보고서" ㈜폴리시앤리서치 2011

      4 김혜정, "중증장애인 자립생활지원 마스터플랜 수립 연구" 서울복지재단 2011

      5 법제처,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지원 조례 제정 현황"

      6 김명연, "장애인의 탈시설권리" 민주주의법학연구회 (45) : 149-178, 2011

      7 김용득, "장애인거주시설 체계개편 방향, In 장애인복지시설의 정책 변화! 주거・이용, 서비스의 선택?" 2009

      8 이용갑, "장애인 생활시설 이용자 복지실태 및 탈시설욕구조사" 인천발전연구원 2012

      9 민경락, "인권위, 장애인 인권 정책 개선안 마련키로"

      10 조한진, "시설거주인 거주 현황 및 자립생활 욕구 실태 조사" 국가인권위윈회 2012

      11 이찬희, "부산 생활시설거주 장애인 복지실태 및 욕구조사" 부산복지개발원 2009

      12 보건복지부, "보건복지통계연감, 연도별"

      13 박형진, "배제와 포함의 복지정치: 장애인 생활시설과 탈시설화에 대한 비판적 검토" 2 (2): 53-78, 2012

      14 임소연, "더 이상 시설에서 살고 싶지 않다" 163 : 19-26, 2012

      15 김영일, "광주광역시 장애인생활시설 실태조사 및 자립생활 욕구조사" (사)장애우권익문제연구소 광주지소 2010

      16 경남장애인자립생활센터협의회, "경상남도 장애인거주시설 거주인의 삶과 욕구 조사" 2011

      17 감정기, "거주시설 장애인의 탈시설 인식 및 지원욕구에 관한 연구 : 경상남도 지역사례를 중심으로" 비판과대안을위한사회복지학회/비판과대안을위한건강정책학회 (37) : 7-48, 2012

      18 김남권, "朴대통령 ‘전국 장애인시설 인권실태 전수조사’ 지시"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7-21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Korean Association of Health and Medical Sociology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5-18 학술지등록 한글명 : 보건과 사회과학
      외국어명 : Health and Social Science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45 1.45 1.8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03 2.13 2.507 0.2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