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노인의 근로지위변화와 건강 = The Impact of Transitions of Labour Market Status on Health for Aged over 65 in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83765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노년기의 근로지위변화가 건강에 주는 효과가 성별에 따라 다를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하여, 한국복지패널 1-8차년도(2005년에서 2012년) 자료를 활용하여 근로지위변화와 건강 간 관...

      본 연구는 노년기의 근로지위변화가 건강에 주는 효과가 성별에 따라 다를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하여, 한국복지패널 1-8차년도(2005년에서 2012년) 자료를 활용하여 근로지위변화와 건강 간 관계를 성별에 따라 분석하였다. 노인 건강지표로는 우울증상과 주관적 건강상태를 사용하였으며, 분석방법은 이중차이 기법 (Difference-in-Difference, DID) 모델을 사용하였다. 한국의 65세 이상의 남성노인의 고용률은 OECD 국가 중 2위이며, 노인빈곤율은 OECD 국가 중 1위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노년기의 근로지위변화가 건강에 주는 영향은 중요하게 다뤄져야 할 사회 이슈 중 하나이다. 분석 결과 남성노인에서 ‘비근로에서 근로로 이동’한 집단의 경우 ‘지속적으로 비근로’인 집단에 비해서 우울 수준이 통계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주관적 건강상태와의 관계는 보다 명확한데, ‘근로에서 비근로 상태’로 이동할 경우 주관적 건강상태가 악화되었고, ‘비근로에서 근로상태’로 이동할 경우 주관적 건강상태는 향상되었으며, 이는 개인의 비관찰된 특성을 통제한 후에도 일관되게 나타났다. 하지만 여성노인의 경우는 근로지위 변화가 우울수준과 주관적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력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e examine how transitions of labour market status affect health conditions such as depressive symptoms and self-reported health status among aged over 65 using Difference in Difference(DID). We use data from the Korea Welfare Panel Study over the per...

      We examine how transitions of labour market status affect health conditions such as depressive symptoms and self-reported health status among aged over 65 using Difference in Difference(DID). We use data from the Korea Welfare Panel Study over the period 2005 through 2012 and ran analyses for both sexes separately. Korea has the second highest employment rate for males aged over 65 years old, ranking behind only Mexico and Iceland among the Organis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 countries. At the same time, Korea has the highest poverty rate among people aged over 65 years old among the OECD countries. In this context, study of the impact of transitions of labour market status on health of older adults is important issue in the context of Korean society. Our results show that the depressive symptoms of those aged over 65 years old who transit from joblessness to employment is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who are continually non-employed for men, but the association is not confirmed for women. With respect to self-reported health status, those who became employed improved in self-reported health status while those who became non-employed worsened in their health status, both groups in comparison to those who are continually non-employed for male older adults. Transition of labour status did not affect the health status of aged women significantl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Ⅲ. 연구방법
      • Ⅳ. 연구결과
      • Ⅴ. 논의
      • I.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Ⅲ. 연구방법
      • Ⅳ. 연구결과
      • Ⅴ. 논의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윤지은, "중고령자의 경제활동상태와 정신건강: 소득수준과 가족관계만족도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노년학회 29 (29): 743-759, 2009

      2 한혜경, "조기퇴직자의 생활적응 지원체계 구축을 위한 일상생활 조사연구: 일상생활 만족/불만족 근거에 대한 내용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회 51 : 289-310, 2002

      3 강은나, "은퇴전환기 중고령자 특성과 삶의 만족변화" 2014

      4 김여진, "은퇴여성노인의 우울에 관한 연구: 성별비교분석" 사회과학연구소 24 (24): 309-332, 2013

      5 윤현숙, "은퇴가 심리적 안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종단적 연구 : 노인의 성과 거주지역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회 58 (58): 197-218, 2006

      6 석상훈, "은퇴가 건강에 미치는 효과 분석" 한국노동연구원 11 (11): 81-102, 2011

      7 지은정, "우리나라 노후설계서비스에 대한 시론적 고찰-보편적·균형적 관점에서" 한국사회보장학회 29 (29): 249-283, 2013

      8 송지은, "성인자녀와의 관계가 부모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미국 종단자료의 분석" 한국노년학회 26 (26): 581-599, 2006

      9 최성수, "사회적 연결망과 은퇴 경험이 한국 중고령자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회 28 (28): 291-307, 2008

      10 한경혜, "라이프코스 관점에서 본 은퇴경험의 남녀차이" 한국사회학회 42 (42): 86-118, 2008

      1 윤지은, "중고령자의 경제활동상태와 정신건강: 소득수준과 가족관계만족도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노년학회 29 (29): 743-759, 2009

      2 한혜경, "조기퇴직자의 생활적응 지원체계 구축을 위한 일상생활 조사연구: 일상생활 만족/불만족 근거에 대한 내용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회 51 : 289-310, 2002

      3 강은나, "은퇴전환기 중고령자 특성과 삶의 만족변화" 2014

      4 김여진, "은퇴여성노인의 우울에 관한 연구: 성별비교분석" 사회과학연구소 24 (24): 309-332, 2013

      5 윤현숙, "은퇴가 심리적 안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종단적 연구 : 노인의 성과 거주지역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회 58 (58): 197-218, 2006

      6 석상훈, "은퇴가 건강에 미치는 효과 분석" 한국노동연구원 11 (11): 81-102, 2011

      7 지은정, "우리나라 노후설계서비스에 대한 시론적 고찰-보편적·균형적 관점에서" 한국사회보장학회 29 (29): 249-283, 2013

      8 송지은, "성인자녀와의 관계가 부모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미국 종단자료의 분석" 한국노년학회 26 (26): 581-599, 2006

      9 최성수, "사회적 연결망과 은퇴 경험이 한국 중고령자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회 28 (28): 291-307, 2008

      10 한경혜, "라이프코스 관점에서 본 은퇴경험의 남녀차이" 한국사회학회 42 (42): 86-118, 2008

      11 문수경, "노인의 근로활동 참여여부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가족지지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가족치료학회 20 (20): 487-504, 2012

      12 김경휘, "노인의 고용이행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보장학회 27 (27): 1-34, 2011

      13 권중돈, "노인복지론" 학지사 2011

      14 신화용, "남편이 은퇴한 부부의 자원과 생활만족도" 대한가정학회 39 (39): 39-51, 2001

      15 김효정, "남자노인의 은퇴스트레스와 우울간의 관계: 결혼만족도의 매개효과" 한국건강심리학회 13 (13): 73-89, 2008

      16 최성재, "고령화사회의 노인복지학"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2

      17 김기홍, "고령인력 고용지원서비스 강화 방안" 한국노동연구원 2010

      18 Böckerman, P, "Unemployment and self‐assessed health: Evidence frompanel data" 18 (18): 161-179, 2009

      19 Jenkins, S. P, "The dynamics of social assistance benefit receipt in Britain" 39-77, 2014

      20 Gallo, W. T, "The Persistence of Depressive Symptoms in Older Workers Who Experience Involuntary Job Loss:Results From the Health and Retirement Survey" 61B (61B): S221-S228, 2006

      21 Ocampo, J. M, "Self-rated health: Importance of use in elderly adults" 41 (41): 275-289, 2010

      22 Westerlund, H, "Self-rated health before and after retirement in France(GAZEL) : a cohort study" 374 (374): 1889-1896, 2009

      23 Idler, E. L, "Self-rated health andmortality:Areviewof twenty-sevencommunity studies" 38 (38): 21-37, 1997

      24 민인식, "STATA 패널데이터 분석" 한국STATA학회 2009

      25 Kim, J. E, "Retirement transitions, gender,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 life-course, ecological model" 57 (57): P212-P222, 2002

      26 Butterworth, P, "Retirement and mental health: analysis of the Australian national surveyofmental healthandwell-being" 62 (62): 1179-1191, 2006

      27 Drentea, P, "Retirement and Mental Health" 14 (14): 167-194, 2002

      28 Hao, Y, "Productive Activitie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 Older Adults" 63B (63B): S64-S67, 2008

      29 Li, Y, "Participation in Productive Activities andHealth Outcomes Among Older Adults in Urban China" 2013

      30 지은정, "OECD 국가의 저소득 고령자 고용지원정책 : 노인일자리사업에 주는 함의" 한국사회복지연구회 44 (44): 177-206, 2013

      31 Fuller-Iglesias, H, "Life-CoursePerspectives onLateLife Health Inequalities" Springer Publishing Company 3-25, 2010

      32 Ferrer-i-Carbonell, A, "How Important is Methodology for the estimates of the determinants of Happiness?" 114 (114): 641-659, 2004

      33 Gallo, W. T, "Health Effects of Involuntary Job Loss Among Older Workers: Findings From the Health andRetirement Survey" 55B (55B): S131-S140, 2000

      34 Jang, S. N, "Employment status and depressive symptoms in Koreans: results from a baseline survey of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ing" 64 (64): 677-683, 2009

      35 Reitzes, D. C, "Does Retirement Hurt Well-Being? Factors Influencing Self-Esteem and Depression Among Retirees and Workers" 36 (36): 649-656, 1996

      36 Liang, D. C, "Determinants of work among older adults in urban China" 27 : 126-133, 2008

      37 박경숙, "55세 이상 고령자의 노동시장 이탈과정:은퇴의 유형화에 대한 함의" 3 (3): 103-140, 200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4 1.34 1.7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84 2.08 2.242 0.1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