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한국인 암 환자의 암 종별 자연치유요법의 이용 빈도와 인식도에 관한 조사연구 = (A) study on usage frequency and awareness of naturopathic treatment of Korean cancer patients by each cancer typ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280002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동방대학원대학교, 2013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13

      • 작성언어

        한국어

      • KDC

        512.49 판사항(5)

      • DDC

        615.535 판사항(21)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xi, 119 p. : 도표 ; 26 cm

      • 일반주기명

        권말부록: 설문지 ; 자연치유요법의 종류별 설명서
        참고문헌: p. 87-93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variety of naturopathic treatment which patients with cancer use the most, socio-demographical features of these patients, utilization of naturopathic treatment for each cancer type, awareness of the subjects in this study about effect of naturopathic treatment and its impact on the extension of survival period. The subjects were 780 patients out of cancer patients who were registered as a cancer patient in 2012 and were serviced at health centers in cities and regional areas nationwide and five housing and care centers for cancer treatment located in Gyeonggi-do and Jeollanam-do. These subjects agreed to the intentions of this study before participation. Types of cancer, utilization of naturopathic treatment and nursing and care type (nursing center, home nursing) of cancer patients of this study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SPS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ings:
      First, 94.9% of the cancer patients of this study used naturopathic treatment. And types of naturopathic treatments are composed of 76.0% in exercise therapy and 61.8% in vegetarian dietary. Mind and body and psychological therapy used by each cancer type are in order of breast cancer, lung cancer and liver cancer with ratios of 53.9%, 50.7%, 45.2%,
      respectively. Dietary nutrition biological thrapies were used by stomach cancer and colon cancer patients with ratios of 51.1% and 40.9% respectively.
      Second, the states of cancer of subjects in the research when found in early diagnosis were phase I (initial stage) stomach cancer 50.8%, other types 43.6%, and liver cancer 38.2%. Medium phase (Stage II) was breast cancer 54.2% and colon cancer 41%. And Final phase (Stage III) was lung cancer 40.5%. Types of cancer found in early diagnosis varied.
      Third, regarding the awareness of effect on the extension of period of survival, 58.2% of subjects of the research stated that naturopathic treatment was effective to extend the period of survival of cancer patients. Regarding awareness about efficacy and effect after use of naturopathic treatment, it showed that ‘release of stresses’ was the highest ratio with 30.5% and followed by ‘decrease of anxiety’ with 26.4%.
      Fourth, 10.9% of patients experienced side effects from naturopathic treatment, and only 0.9% has severe side effects. Life style that was changed in the course of cancer diagnosis and treatment were preference of vegetarianism with 49.6% and exercise therapy with 45.5%. So 94.9% of them experienced the change of life style.
      Finally, frequency of occurrence of cancer for different blood types such as AB and O type of subjects of the research showed A type (35.8%) and O, type (28.6%), which showed higher frequency relatively when compared with B and AB type in controlled group. Regarding frequency of occurrence of cancer for different blood types, A type showed higher frequency in lung cancer (41.9%), B type was higher in breast cancer (32.5%), O type was higher in stomach cancer (33.8%), lung cancer (33.8%), colon cancer (37.0%), AB type was higher in liver cancer (14.7%) and other cancers (16.3%), when compared with the ones in controlled group.
      These results indicate that most cancer patients used a number of naturopathic treatments and experienced good effects from the treatment. The majority of patients that used it have recognized its benefits for extending the period of survival. To conclude, it is important and necessary to study further on introduction naturopathic treatment and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into treatment of cancer patientsor apply it medical policy.
      번역하기

      This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variety of naturopathic treatment which patients with cancer use the most, socio-demographical features of these patients, utilization of naturopathic treatment for each cancer type, awareness of the su...

      This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variety of naturopathic treatment which patients with cancer use the most, socio-demographical features of these patients, utilization of naturopathic treatment for each cancer type, awareness of the subjects in this study about effect of naturopathic treatment and its impact on the extension of survival period. The subjects were 780 patients out of cancer patients who were registered as a cancer patient in 2012 and were serviced at health centers in cities and regional areas nationwide and five housing and care centers for cancer treatment located in Gyeonggi-do and Jeollanam-do. These subjects agreed to the intentions of this study before participation. Types of cancer, utilization of naturopathic treatment and nursing and care type (nursing center, home nursing) of cancer patients of this study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SPS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ings:
      First, 94.9% of the cancer patients of this study used naturopathic treatment. And types of naturopathic treatments are composed of 76.0% in exercise therapy and 61.8% in vegetarian dietary. Mind and body and psychological therapy used by each cancer type are in order of breast cancer, lung cancer and liver cancer with ratios of 53.9%, 50.7%, 45.2%,
      respectively. Dietary nutrition biological thrapies were used by stomach cancer and colon cancer patients with ratios of 51.1% and 40.9% respectively.
      Second, the states of cancer of subjects in the research when found in early diagnosis were phase I (initial stage) stomach cancer 50.8%, other types 43.6%, and liver cancer 38.2%. Medium phase (Stage II) was breast cancer 54.2% and colon cancer 41%. And Final phase (Stage III) was lung cancer 40.5%. Types of cancer found in early diagnosis varied.
      Third, regarding the awareness of effect on the extension of period of survival, 58.2% of subjects of the research stated that naturopathic treatment was effective to extend the period of survival of cancer patients. Regarding awareness about efficacy and effect after use of naturopathic treatment, it showed that ‘release of stresses’ was the highest ratio with 30.5% and followed by ‘decrease of anxiety’ with 26.4%.
      Fourth, 10.9% of patients experienced side effects from naturopathic treatment, and only 0.9% has severe side effects. Life style that was changed in the course of cancer diagnosis and treatment were preference of vegetarianism with 49.6% and exercise therapy with 45.5%. So 94.9% of them experienced the change of life style.
      Finally, frequency of occurrence of cancer for different blood types such as AB and O type of subjects of the research showed A type (35.8%) and O, type (28.6%), which showed higher frequency relatively when compared with B and AB type in controlled group. Regarding frequency of occurrence of cancer for different blood types, A type showed higher frequency in lung cancer (41.9%), B type was higher in breast cancer (32.5%), O type was higher in stomach cancer (33.8%), lung cancer (33.8%), colon cancer (37.0%), AB type was higher in liver cancer (14.7%) and other cancers (16.3%), when compared with the ones in controlled group.
      These results indicate that most cancer patients used a number of naturopathic treatments and experienced good effects from the treatment. The majority of patients that used it have recognized its benefits for extending the period of survival. To conclude, it is important and necessary to study further on introduction naturopathic treatment and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into treatment of cancer patientsor apply it medical polic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암 환자들이 많이 이용하는 자연치유요법의 종류와 그들의 인구ㆍ사회학적 특성 및 암 종류별 자연치유요법의 이용실태를 바탕으로, 자연치유요법의 효능 및 생존기간 연장에 대한 연구대상자의 인식도를 연구하는 데 있다. 본 연구를 위해 2012년을 기준으로 경기도 및 전남에 소재한 5개의 암 전문요양병원과 전국 각 시·도 지역의 보건소에서 관리하는 암 환자 중, 동 조사연구의 취지에 동의한 총 780 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다. 연구대상인 암 환자의 암 종 및 자연치유요법 이용행태와 요양형태(요양병원, 가정요양)는 SPSS Window 12.0 version을 이용하여 통계 처리하였다. 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 암 환자의 94.9%가 자연치유요법을 이용하였다. 자연치유요법의 종류로는 운동요법이 76.0%, 채식주의가 61.8% 순 이었다. 암 종별 정신ㆍ신체ㆍ심리요법의 이용은 유방암, 폐암 및 간암 환자가 각각 53.9%, 50.7%, 45.2%순으로 이용하였다. 식이영양 생물학적 요법은 위암과 대장암 환자가 각각 51.1%, 40.9%가 이용하고 있었다.
      둘째, 연구대상자들의 초진 시 발견된 암 진행 상태는 초기(Ⅰ)가 위암이 50.8%, 기타 암이 43.6%, 간암이 38.2%이었다. 중기(Ⅱ) 진행 상태는 유방암 54.2%, 대장암이 41%였고, 말기(Ⅲ) 진행 상태는 폐암이 40.5%로 나타났다. 최초 진단 시에 발견된 암의 진행 상태는 암 종별로 다양하게 나타났다.
      셋째, 연구대상자의 자연치유요법이 암 환자의 생존기간 연장에 대한 인식도 조사에서 58.2%가 생존기간 연장에 도움이 되었다고 응답하였다. 자연치유요법 이용 후의 효능․효과에 대한 인식도에서는 ‘스트레스 해소’가 30.5%로 높았고, 다음은 ‘불안감 감소’가 26.4%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자연치유요법의 부작용 경험은 10.9%로 나타났으며, 이중 0.9%만이 심한 부작용이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암 진단 및 치료과정에서 달라진 생활습관은 채식주의 선호가 49.6%, 운동요법이 45.5% 등 94.9%가 생활태도의 변화가 있었다.
      다섯째, 연구대상자의 ABO 혈액형에 따른 암 환자 발생빈도는 A형(35.8%)과 O형(28.6%)이 대조군 및 B형과 AB형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발생빈도가 높았다. 암 종별 발생빈도는 A형은 폐암(41.9%), B형은 유방암(32.5%), O형은 위암(33.8%), 폐암(33.8%), 대장암(37.0%), AB형은 간암(14.7%)과 기타 암(16.3%)에서 대조군에 비하여 각각 암 발생 빈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대부분의 암 환자는 다양한 자연치유요법을 이용하였고 효과가 있었으며, 이용환자의 과반수가 생존기간 연장에 도움이 된다는 인식을 가지고 있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자연치유요법과 보완대체의학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암 환자의 치유에 활용하는 정책이나 연구를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판단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암 환자들이 많이 이용하는 자연치유요법의 종류와 그들의 인구ㆍ사회학적 특성 및 암 종류별 자연치유요법의 이용실태를 바탕으로, 자연치유요법의 효능 및 생존기간 연...

      본 연구의 목적은 암 환자들이 많이 이용하는 자연치유요법의 종류와 그들의 인구ㆍ사회학적 특성 및 암 종류별 자연치유요법의 이용실태를 바탕으로, 자연치유요법의 효능 및 생존기간 연장에 대한 연구대상자의 인식도를 연구하는 데 있다. 본 연구를 위해 2012년을 기준으로 경기도 및 전남에 소재한 5개의 암 전문요양병원과 전국 각 시·도 지역의 보건소에서 관리하는 암 환자 중, 동 조사연구의 취지에 동의한 총 780 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다. 연구대상인 암 환자의 암 종 및 자연치유요법 이용행태와 요양형태(요양병원, 가정요양)는 SPSS Window 12.0 version을 이용하여 통계 처리하였다. 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 암 환자의 94.9%가 자연치유요법을 이용하였다. 자연치유요법의 종류로는 운동요법이 76.0%, 채식주의가 61.8% 순 이었다. 암 종별 정신ㆍ신체ㆍ심리요법의 이용은 유방암, 폐암 및 간암 환자가 각각 53.9%, 50.7%, 45.2%순으로 이용하였다. 식이영양 생물학적 요법은 위암과 대장암 환자가 각각 51.1%, 40.9%가 이용하고 있었다.
      둘째, 연구대상자들의 초진 시 발견된 암 진행 상태는 초기(Ⅰ)가 위암이 50.8%, 기타 암이 43.6%, 간암이 38.2%이었다. 중기(Ⅱ) 진행 상태는 유방암 54.2%, 대장암이 41%였고, 말기(Ⅲ) 진행 상태는 폐암이 40.5%로 나타났다. 최초 진단 시에 발견된 암의 진행 상태는 암 종별로 다양하게 나타났다.
      셋째, 연구대상자의 자연치유요법이 암 환자의 생존기간 연장에 대한 인식도 조사에서 58.2%가 생존기간 연장에 도움이 되었다고 응답하였다. 자연치유요법 이용 후의 효능․효과에 대한 인식도에서는 ‘스트레스 해소’가 30.5%로 높았고, 다음은 ‘불안감 감소’가 26.4%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자연치유요법의 부작용 경험은 10.9%로 나타났으며, 이중 0.9%만이 심한 부작용이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암 진단 및 치료과정에서 달라진 생활습관은 채식주의 선호가 49.6%, 운동요법이 45.5% 등 94.9%가 생활태도의 변화가 있었다.
      다섯째, 연구대상자의 ABO 혈액형에 따른 암 환자 발생빈도는 A형(35.8%)과 O형(28.6%)이 대조군 및 B형과 AB형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발생빈도가 높았다. 암 종별 발생빈도는 A형은 폐암(41.9%), B형은 유방암(32.5%), O형은 위암(33.8%), 폐암(33.8%), 대장암(37.0%), AB형은 간암(14.7%)과 기타 암(16.3%)에서 대조군에 비하여 각각 암 발생 빈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대부분의 암 환자는 다양한 자연치유요법을 이용하였고 효과가 있었으며, 이용환자의 과반수가 생존기간 연장에 도움이 된다는 인식을 가지고 있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자연치유요법과 보완대체의학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암 환자의 치유에 활용하는 정책이나 연구를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판단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론 1
      • 1.1 연구의 필요성 1
      • 1.2 연구 목적 2
      • 1.3 용어의 정의 3
      • 2. 이론적 배경 5
      • 1. 서론 1
      • 1.1 연구의 필요성 1
      • 1.2 연구 목적 2
      • 1.3 용어의 정의 3
      • 2. 이론적 배경 5
      • 2.1 암 환자 발생 현황 5
      • 2.2 자연치유요법의 역사 7
      • 2.3 암 환자의 자연치유 13
      • 2.4 선행연구 고찰 15
      • 3. 연구방법 19
      • 3.1 연구 설계 19
      • 3.2 연구대상 및 기간 21
      • 3.3 조사방법 21
      • 3.4 설문지 조사방법 22
      • 4. 연구 결과 29
      • 4.1 연구대상자의 인구ㆍ사회학적 특성 29
      • 4.2 연구대상자의 암 종 별, 요양기관 별 특성 31
      • 4.3 암 환자의 자연치유요법의 이용행태 별 특성 32
      • 4.4 암 환자의 암 종별 자연치유요법의 이용 기관 43
      • 4.5 암 환자의 요양 기관에 따른 자연치유요법의 이용률 58
      • 4.6 암 종별 환자의 자연치유요법의 종류 별 이용 빈도 63
      • 4.7 암 환자의 ABO 혈액형에 따른 암 종별 발생 빈도 68
      • 4.8 암 환자의 사회 ․ 심리학적 스트레스 지수 분석 71
      • 4.9 암 환자의 상태-불안감 지수 분석 72
      • 5. 고 찰 74
      • 6. 결론 및 제언 83
      • 6.1 결론 83
      • 6.2 제 언 85
      • 참고문헌 87
      • 부록 9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