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일본어 중급독해의 수업 방안 -독해 전 학습자 주도적 활동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73542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Nowadays, Reading comprehension focuses on the content based second language instruction. This paper investigates what kind of information leaners collect as pre-reading activity, and how this information activates learner’s schema at Japanese reading class. Reading process can be divided into 3 steps, which are pre-task, reading activity and follow up. If leaners have background knowledge about Japanese literature or cultures before reading, it will be easy to understand contents of the text. Textbook for reading comprehension does not have much information about literature or authors. So, teacher make leaners to investigate about author’s information (including background of life, view of the world, writing style), related materials, or story of literature. This activity can be effective as follows. •Leaners can feel interest in Japanese literature by introducing familiar things. •Author’s view of the world can help learners to understand literature. •Leaners can formulate hypothesis before reading. After the semester, teacher surveyed leaner’s satisfaction about pre-reading activities and the result shows high level of leaner’s satisfaction.
      번역하기

      Nowadays, Reading comprehension focuses on the content based second language instruction. This paper investigates what kind of information leaners collect as pre-reading activity, and how this information activates learner’s schema at Japanese readi...

      Nowadays, Reading comprehension focuses on the content based second language instruction. This paper investigates what kind of information leaners collect as pre-reading activity, and how this information activates learner’s schema at Japanese reading class. Reading process can be divided into 3 steps, which are pre-task, reading activity and follow up. If leaners have background knowledge about Japanese literature or cultures before reading, it will be easy to understand contents of the text. Textbook for reading comprehension does not have much information about literature or authors. So, teacher make leaners to investigate about author’s information (including background of life, view of the world, writing style), related materials, or story of literature. This activity can be effective as follows. •Leaners can feel interest in Japanese literature by introducing familiar things. •Author’s view of the world can help learners to understand literature. •Leaners can formulate hypothesis before reading. After the semester, teacher surveyed leaner’s satisfaction about pre-reading activities and the result shows high level of leaner’s satisfac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론
      • 2. 선행연구
      • 2.1 독해・스키마에 관한 연구
      • 2.2 독해활동에 관한 연구
      • 3. 중급 독해 수업의 개요
      • 1. 서론
      • 2. 선행연구
      • 2.1 독해・스키마에 관한 연구
      • 2.2 독해활동에 관한 연구
      • 3. 중급 독해 수업의 개요
      • 3.1 교재의 구성과 학습목표
      • 3.2 수업의 흐름
      • 4. 독해 전 활동의 내용
      • 5. 독해 전 활동의 기대효과
      • 6. 학습자의 만족도
      • 7. 맺음말
      • [參考文獻]
      • <要旨>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효과적인 독해교육" 한국일본어교육학회 10 : 63-76, 2006

      2 한국외국어대학교 일본어학술도서편찬위원회, "일본어명문감상" 한국외국어대학교 출판부 2013

      3 윤강구, "일본어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지식과 교양 232-, 2011

      4 이경규, "일본어 독해 교육에 관한 일고찰 - 중급 이상의 독해 교육을 중심으로 -" 한국일본근대학회 (19) : 5-16, 2008

      5 国際交流基金, "読むことを教える" ひつじ書房 28-, 2006

      6 岡崎眸, "読み方の指導―ボトムアップ的読み方から相互交流的読み方へ―" (49) : 205-218, 1996

      7 岡崎敏雄, "日本語教育における学習の分析とデザイン―言語習得過程の視点から見た日本語教育" 凡人社 27-54, 2001

      8 岡崎敏雄, "日本語教育におけるコミュカティブ・アプローチ" 凡人社 147-, 1990

      1 "효과적인 독해교육" 한국일본어교육학회 10 : 63-76, 2006

      2 한국외국어대학교 일본어학술도서편찬위원회, "일본어명문감상" 한국외국어대학교 출판부 2013

      3 윤강구, "일본어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지식과 교양 232-, 2011

      4 이경규, "일본어 독해 교육에 관한 일고찰 - 중급 이상의 독해 교육을 중심으로 -" 한국일본근대학회 (19) : 5-16, 2008

      5 国際交流基金, "読むことを教える" ひつじ書房 28-, 2006

      6 岡崎眸, "読み方の指導―ボトムアップ的読み方から相互交流的読み方へ―" (49) : 205-218, 1996

      7 岡崎敏雄, "日本語教育における学習の分析とデザイン―言語習得過程の視点から見た日本語教育" 凡人社 27-54, 2001

      8 岡崎敏雄, "日本語教育におけるコミュカティブ・アプローチ" 凡人社 147-, 199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19 학회명변경 한글명 : 일본언어문화학회 -> 한국일본언어문화학회
      영문명 : 미등록 -> Japanese Language & Culture Association of Korea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1 0.31 0.2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6 0.25 0.547 0.0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