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Effect of Organic and Inorganic Zinc Sources on Zinc Availability under Flooded Soil Condition = 담수토양의 아연 유효도에 미치는 아연비종별 효과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75169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order to evaluate effectiveness of zinc source on uptake of zinc by rice plant, a pot experiment carried out using ZnEDTA and $ZnSO_4$ in a glasshouse. The results obtained were summarized as follows: The effectiveness of zinc source on uptake of z...

      In order to evaluate effectiveness of zinc source on uptake of zinc by rice plant, a pot experiment carried out using ZnEDTA and $ZnSO_4$ in a glasshouse. The results obtained were summarized as follows: The effectiveness of zinc source on uptake of zinc by rice plants was different with different soil. Namely ZnEDTA was more efficient than $ZnSO_4$ in increasing yield of zinc and concentration of zinc in the plant grown on Jecheon calcareous soil. In case of Keumgok acid soil, however, no superiority of ZnEDTA treatment was found. The plant growing status of ZnEDTA treated calcareous soil was also shown that larger number of tillers per hill, bigger height of the plant and good yield of dry matter production than those of the plant grown on $ZnSO_4$ treatment. Regardless of the zinc source, smaller number of tillers per hill, shorter height of the plant, and the lowest yield of dry matter were shown in the treatment of zinc and straw mixed with both soils. It seemed that more applied zinc was to be fixed by the straw application resulting in poor zinc yield. The extent of the zinc fixation showed markedly in Jecheon calcareous soil.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아연비료로서 ZnEDTA와 $ZnSO_4$의 유효도를 평가하기 위해서 수도의 아연흡수 실험을 시도했다. 수도의 아연흡수에 있어서 급원별(給源別) 아연 유효도는 토양에 따라서 차이(差異)가 있었다. p...

      아연비료로서 ZnEDTA와 $ZnSO_4$의 유효도를 평가하기 위해서 수도의 아연흡수 실험을 시도했다. 수도의 아연흡수에 있어서 급원별(給源別) 아연 유효도는 토양에 따라서 차이(差異)가 있었다. pH가 높은 제천(提川) 석회암질(石灰岩質) 토양에서는 ZnEDTA가 $ZnSO_4$보다 수도체아연 농도(濃度)와 아연 흡수량(吸收量)을 증가시키는데 더 유효했다. 그러나 산성(酸性)인 금곡토양의 경우도 ZnEDTA의 유효성이 인정(認定)되지 않았다. ZnEDTA를 처리(處理)한 제천(提川) 석회암질(石灰岩質) 토양에서 생육(生育)한 수도는 $ZnSO_4$ 처리구 수도보다 분얼수와 초장(草丈)이 컸고 건물생산량(建物生産量)도 높았다. 아연급원에 관계없이 아연와 유기물(有機物) 처리구에서 자란 수도의 분얼수, 초장(草丈), 건물생산량(建物生産量)은 모두 다 적었다. 이것은 유기물(有機物)을 첨가(添加)하므로서 시비(施肥) 아연의 고정(固定)이 더 일어나서 수도체의 아연수율이 적기 때문이라고 본다. 아연고정 정도(程度)는 제천(提川) 석회암질(石灰岩質) 토양에서 컸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