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청소년지도자의청소년활동 안전의식 평가척도 개발 및 타당화 =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Safety Consciousness Scale of the Youth Activity for Youth Work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08383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지도자의 청소년활동 안전의식 평가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 것이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이다. 첫째, 청소년활동 안전의식의 개념 정의를 제시하였...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지도자의 청소년활동 안전의식 평가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 것이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이다. 첫째, 청소년활동 안전의식의 개념 정의를 제시하였다. 이제까지는 청소년활동, 안전, 안전의식에 대한 각각의 정의만 있을 뿐 청소년활동 안전의식의 정의는 논의되지 않았으나 이 연구를 통하여 이에 대한 개념적 정의가 도출되었다. 둘째, 청소년지도자용 청소년활동 안전의식 평가척도가 개발되고 타당화되었다. 그 과정을 간략하게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문헌고찰, 전문가 협의회, 내용타당도를 실시함으로써 청소년활동 안전의식을 측정하기 위하여 69문항을 잠정적으로 도출하였다. 이후 청소년지도자 374명을 대상으로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7개요인 38문항을 최종적으로 확정하였다. 이에 대한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이론적으로 설정한 연구모형인 38문항에 대한 7개의 요인구조는 χ2 값, NFI, CFI, TLI, RMSEA 등과 같은 모형적합도 지수를 통하여 경험적 자료와 일치함을 보였다. 논의에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을 논의하였고 후속 연구의 방향을 제안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the safety consciousness scale of the youth activity for youth workers. Sixty nine items were drawn by reviewing previous studies, performing expert discussion, and conducting content validity. 374 yout...

      The purpose of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the safety consciousness scale of the youth activity for youth workers. Sixty nine items were drawn by reviewing previous studies, performing expert discussion, and conducting content validity. 374 youth workers participated in the study. 7 factors and 38 items were identified by conducting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In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goodness of fitness indexes such as χ2 value, NFI, CFI, TLI, and RMSEA were appropriate.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definition of the safety consciousness of youth activity was suggested. In other words, this study created the integrated definition of youth activity, youth safety, and the safety consciousness of youth activity, three of which indeed have been defined separately. Second, the safety consciousness scale of the youth activity for youth workers was developed and validated. Importance and limitation of the study were provided, and the direction for the future study was propose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소방방재청, "행동변화 모델 및 안전의식지수 개발 연구 용역" 소방방재청 2007

      2 이종열, "학생 안전의식지수 개발을 위한 연구용역보고서" 교육부 2014

      3 교육부, "학생 안전의식지수 개발보고서" 교육부 2014

      4 교육부, "학교안전사고 예방 및 보상에 관한 법률"

      5 여성가족부, "청소년활동 진흥법"

      6 여성가족부, "청소년수련활동 안전종합매뉴얼" 여성가족부, 한국청소년활동진흥원 2014

      7 권봉안, "청소년수련원의 실태조사를 통한 청소년 안전교육 필요성의 고찰" 4 (4): 101-117, 2001

      8 김창현, "청소년 수련활동 중 안전사고예방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복지학회 10 (10): 75-99, 2008

      9 박경옥, "우리나라 제조업체들의 안전문화 수준과 관련된 산업장의 안전보건교육 및 관리활동 특성" 사단법인 대한보건협회 32 (32): 75-83, 2006

      10 김혜원, "안전의식 측정 척도 개발 연구: 서울시 일부 중학생을 중심으로"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 19 (19): 87-107, 2002

      1 소방방재청, "행동변화 모델 및 안전의식지수 개발 연구 용역" 소방방재청 2007

      2 이종열, "학생 안전의식지수 개발을 위한 연구용역보고서" 교육부 2014

      3 교육부, "학생 안전의식지수 개발보고서" 교육부 2014

      4 교육부, "학교안전사고 예방 및 보상에 관한 법률"

      5 여성가족부, "청소년활동 진흥법"

      6 여성가족부, "청소년수련활동 안전종합매뉴얼" 여성가족부, 한국청소년활동진흥원 2014

      7 권봉안, "청소년수련원의 실태조사를 통한 청소년 안전교육 필요성의 고찰" 4 (4): 101-117, 2001

      8 김창현, "청소년 수련활동 중 안전사고예방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복지학회 10 (10): 75-99, 2008

      9 박경옥, "우리나라 제조업체들의 안전문화 수준과 관련된 산업장의 안전보건교육 및 관리활동 특성" 사단법인 대한보건협회 32 (32): 75-83, 2006

      10 김혜원, "안전의식 측정 척도 개발 연구: 서울시 일부 중학생을 중심으로"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 19 (19): 87-107, 2002

      11 문기섭, "안전분위기 구성요소에 관한 실증적 연구" 한국노동연구원 14 (14): 131-154, 2014

      12 한국산업안전관리공단, "안전문화 정착 및 활성화방안 연구"

      13 우종필, "구조방정식 모델 개념과 이해" 한나래 아카데미 2015

      14 Gairin, J., "Safety in schools: An integral approach" 14 (14): 457-474, 2011

      15 Zohar D, "Safety Climate in Industrial Organizations : Theoretical and applied implications" 65 (65): 96-102, 1980

      16 Waltz, C. F., "Nursing research: Design, statistics, and computer analysis" Davis company 1981

      17 Sparks, S. M., "Modification of the diagnostic content validity model" 5 (5): 31-35, 1994

      18 이종열, "2007년 행동변화 모델 및 안전의식 지수 개발 연구" 소방방재청 200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51 2.51 2.5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84 2.89 3.162 0.4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