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일반시민과 체류외국인의 경찰에 대한 신뢰도 비교 연구 - 중국, 몽골, 베트남 출신 체류외국인을 중심으로 - = A Comparative Study of Confidence in the Police between General Citizens and Foreigners - Focusing on Chinese, Mongolian, and Vietnamese living in South Korea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06278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ntended to compare confidence in the police between general citizens and foreigners in South Korea where multiculturalism is a social phenomena. Based on instrumental and expressive models, differences in major factors between general citizens and foreigners were investigated. Dual frames of reference theory and assimilation theory were applied to foreigners for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confidence in the police. In addition to general citizens, Chinese, Mongolian, and Vietnamese living in Korea were included in the study subjects for comparative purposes.
      Findings revealed that compared to variables under instrumental models, those under expressive models showed stronger power to confidence in the police. Interestingly, informal social control had a positive and the strongest effect on confidence in the police in all groups of analyses. Except informal social control,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factors of confidence in the police between general citizens(prior victimization, physical disorder, and social bond) and foreigners(fear of crime). There were factors unique to different groups of foreigners(prior victimization to Chinese, social disorder to Mongolian, and fear of crime to Vietnamese).
      Overall, compared to general citizens, foreigners showed higher confidence in the police, and compared to Chinese, Mongolian and Vietnamese expressed higher confidence in the police. These results supported dual frames of reference theory. As well, Korean language ability of Chinese and length of stay of Mongolian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confidence in the police, supporting assimilation theory. Implications for policies and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based on the findings.
      번역하기

      This study intended to compare confidence in the police between general citizens and foreigners in South Korea where multiculturalism is a social phenomena. Based on instrumental and expressive models, differences in major factors between general citi...

      This study intended to compare confidence in the police between general citizens and foreigners in South Korea where multiculturalism is a social phenomena. Based on instrumental and expressive models, differences in major factors between general citizens and foreigners were investigated. Dual frames of reference theory and assimilation theory were applied to foreigners for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confidence in the police. In addition to general citizens, Chinese, Mongolian, and Vietnamese living in Korea were included in the study subjects for comparative purposes.
      Findings revealed that compared to variables under instrumental models, those under expressive models showed stronger power to confidence in the police. Interestingly, informal social control had a positive and the strongest effect on confidence in the police in all groups of analyses. Except informal social control,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factors of confidence in the police between general citizens(prior victimization, physical disorder, and social bond) and foreigners(fear of crime). There were factors unique to different groups of foreigners(prior victimization to Chinese, social disorder to Mongolian, and fear of crime to Vietnamese).
      Overall, compared to general citizens, foreigners showed higher confidence in the police, and compared to Chinese, Mongolian and Vietnamese expressed higher confidence in the police. These results supported dual frames of reference theory. As well, Korean language ability of Chinese and length of stay of Mongolian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confidence in the police, supporting assimilation theory. Implications for policies and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based on the finding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이 다문화사회로 성큼 들어선 상황에서 일반시민과 체류외국인을 대상으로 경찰에 대한 신뢰도를 비교하였다. 도구적 모형과 표현적 모형의 영향력을 중심으로 두 모형에 포함된 요인들이 일반시민과 체류외국인 사이에서 어떠한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이중 참조기준 이론과 동화이론을 체류 외국인들에게 적용함으로써, 경찰 신뢰도를 설명하는 모형들에 대한 통합적인 논의가 가능한 분석의 틀을 제시하였다. 중국권, 중앙아시아권, 동남아시아권을 대표하는 중국, 몽골, 베트남 3개국의 체류외국인과 일반시민을 비교함으로써 체류외국인들의 권역별 차이까지 분석의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결과 일반시민과 체류외국인 모두에게 있어서 표현적 모형이 도구적 모형보다 경찰 신뢰도에 대한 설명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흥미로운 점은 비공식 사회통제가 모든 분석대상의 경찰 신뢰도 형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전 변수들을 통틀어 가장 강력한 영향력을 보였다는 것이다. 비공식 사회통제를 제외한 분석대상별 영향요인의 차이에 있어서는 범죄피해경험, 물리적 무질서, 지역사회 유대는 일반시민의 경찰 신뢰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 반면에, 범죄두려움은 체류외국인의 경찰 신뢰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었다. 출신국가별로는 중국출신의 경우 범죄피해경험, 몽골출신은 사회적 무질서, 베트남출신은 범죄두려움이 경찰 신뢰도 형성에 유의미한 변수들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체류외국인이 일반시민들에 비해 더 높은 경찰 신뢰도를 보이고, 중국 출신에 비해 몽골과 베트남 출신 외국인들의 경찰 신뢰도가 더 높게 형성되어 이중 참조기준 이론을 지지하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아울러 중국출신 외국인의 한국어 능력 및 몽골출신 외국인의 체류기간과 경찰 신뢰도가 정적인 관계를 형성하여 동화이론을 지지하는 결과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정책대안과 후속연구에 대한 시사점을 논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한국이 다문화사회로 성큼 들어선 상황에서 일반시민과 체류외국인을 대상으로 경찰에 대한 신뢰도를 비교하였다. 도구적 모형과 표현적 모형의 영향력을 중심으로 두 모형에 포...

      본 연구는 한국이 다문화사회로 성큼 들어선 상황에서 일반시민과 체류외국인을 대상으로 경찰에 대한 신뢰도를 비교하였다. 도구적 모형과 표현적 모형의 영향력을 중심으로 두 모형에 포함된 요인들이 일반시민과 체류외국인 사이에서 어떠한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이중 참조기준 이론과 동화이론을 체류 외국인들에게 적용함으로써, 경찰 신뢰도를 설명하는 모형들에 대한 통합적인 논의가 가능한 분석의 틀을 제시하였다. 중국권, 중앙아시아권, 동남아시아권을 대표하는 중국, 몽골, 베트남 3개국의 체류외국인과 일반시민을 비교함으로써 체류외국인들의 권역별 차이까지 분석의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결과 일반시민과 체류외국인 모두에게 있어서 표현적 모형이 도구적 모형보다 경찰 신뢰도에 대한 설명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흥미로운 점은 비공식 사회통제가 모든 분석대상의 경찰 신뢰도 형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전 변수들을 통틀어 가장 강력한 영향력을 보였다는 것이다. 비공식 사회통제를 제외한 분석대상별 영향요인의 차이에 있어서는 범죄피해경험, 물리적 무질서, 지역사회 유대는 일반시민의 경찰 신뢰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 반면에, 범죄두려움은 체류외국인의 경찰 신뢰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었다. 출신국가별로는 중국출신의 경우 범죄피해경험, 몽골출신은 사회적 무질서, 베트남출신은 범죄두려움이 경찰 신뢰도 형성에 유의미한 변수들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체류외국인이 일반시민들에 비해 더 높은 경찰 신뢰도를 보이고, 중국 출신에 비해 몽골과 베트남 출신 외국인들의 경찰 신뢰도가 더 높게 형성되어 이중 참조기준 이론을 지지하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아울러 중국출신 외국인의 한국어 능력 및 몽골출신 외국인의 체류기간과 경찰 신뢰도가 정적인 관계를 형성하여 동화이론을 지지하는 결과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정책대안과 후속연구에 대한 시사점을 논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여수경, "한국체류 조선족의 갈등과 적응" 인문과학연구소 (48) : 243-278, 2005

      2 고남정, "학교 재학과 학교 밖 기관 이용 여부가중도입국 청소년의 한국어 능력에 미치는 영향" 교육연구소 22 (22): 271-289, 2016

      3 행정안전부, "지방자치단체외국인주민현황"

      4 최수형, "전국범죄피해조사 2016" 형사정책연구원 2017

      5 장현석, "일반시민의 경찰에 대한 신뢰도 연구: 표현적 시각의 경찰신뢰도 설명을 중심으로" 한국경찰연구학회 12 (12): 213-236, 2013

      6 장현석, "우리나라 국민과 국내거주 중국인의 한국 경찰에 대한신뢰도 비교 연구" 대한범죄학회 12 (12): 81-94, 2018

      7 신상철, "외국인(중국, 베트남, 인도네시아) 선원노동자 근로환경과 범죄에 대한 연구" 한국아시아학회 17 (17): 161-192, 2014

      8 최영신, "외국인 폭력범죄에 관한 연구" 형사정책연구원 2016

      9 이영관, "베트남 문화와 도이 머이 정책 이후 베트남 경제 발전과 지속가능성에 대한 논의" 한국사상문화학회 (97) : 49-76, 2019

      10 김성진, "베트남 국제이주의 현황과 시사점" 한국인문사회과학회 40 (40): 171-200, 2016

      1 여수경, "한국체류 조선족의 갈등과 적응" 인문과학연구소 (48) : 243-278, 2005

      2 고남정, "학교 재학과 학교 밖 기관 이용 여부가중도입국 청소년의 한국어 능력에 미치는 영향" 교육연구소 22 (22): 271-289, 2016

      3 행정안전부, "지방자치단체외국인주민현황"

      4 최수형, "전국범죄피해조사 2016" 형사정책연구원 2017

      5 장현석, "일반시민의 경찰에 대한 신뢰도 연구: 표현적 시각의 경찰신뢰도 설명을 중심으로" 한국경찰연구학회 12 (12): 213-236, 2013

      6 장현석, "우리나라 국민과 국내거주 중국인의 한국 경찰에 대한신뢰도 비교 연구" 대한범죄학회 12 (12): 81-94, 2018

      7 신상철, "외국인(중국, 베트남, 인도네시아) 선원노동자 근로환경과 범죄에 대한 연구" 한국아시아학회 17 (17): 161-192, 2014

      8 최영신, "외국인 폭력범죄에 관한 연구" 형사정책연구원 2016

      9 이영관, "베트남 문화와 도이 머이 정책 이후 베트남 경제 발전과 지속가능성에 대한 논의" 한국사상문화학회 (97) : 49-76, 2019

      10 김성진, "베트남 국제이주의 현황과 시사점" 한국인문사회과학회 40 (40): 171-200, 2016

      11 심수진, "민주주의 요인이 경찰신뢰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주요 법체계국가 간 비교연구" 한국테러학회 11 (11): 117-139, 2018

      12 김석준, "다문화가족 청소년의 특성이 차별경험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2012년 전국 다문화가족 실태조사 자료를 중심으로" 아세아문제연구원 58 (58): 6-41, 2015

      13 홍명기, "다문화 청소년의 한국어 능력이 비행피해 두려움에 미치는영향에 있어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에 관한 연구" 대한범죄학회 12 (12): 39-53, 2018

      14 임광순, "국내 조선족 범죄의 실제와 방향성" 역사문제연구소 (111) : 358-384, 2015

      15 신상철, "국내 베트남 범죄조직의 범죄유형분석" 한국경찰학회 17 (17): 165-201, 2015

      16 황의갑, "경찰에 대한 신뢰도에 영향을 미치는 표현적·도구적 요인: 한국과 몽골 시민들 간의 비교연구" 한국경찰연구학회 15 (15): 317-342, 2016

      17 장현석, "경찰에 대한 신뢰도 결정요인: 도구적 시각과 표현적 시각의 비교" 한국공안행정학회 23 (23): 239-262, 2014

      18 Tyler, T. R., "Why people obey the law"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6

      19 Jackson, J., "What is trust and confidence in the police?" 4 (4): 241-248, 2010

      20 장현석, "Trust in the Police in a Transitional Society: the Case of Mongolia" 대한범죄학회 9 (9): 279-308, 2015

      21 Roth, J. A., "Trends in the adoption of community policing" 3-29, 2004

      22 Pomfret, R., "Transition and democracy in Mongolia" 52 (52): 149-160, 2000

      23 Weitzer, R., "The puzzling neglect of Hispanic Americans in research on police–citizen relations" 37 (37): 1995-2013, 2014

      24 Ferraro, K. F., "The measurement of fear of crime" 57 (57): 70-97, 1987

      25 Sung, H. E., "Structural determinants of police effectiveness in market democracies" 9 (9): 3-19, 2006

      26 Park, R. E., "Social change and social disorganization" 5 : 71-74, 1925

      27 Cao, L., "Shades of blue : Confidence in the police in the world" 40 (40): 40-49, 2012

      28 Skogan, W. G., "Representing the community in community policing" 3 (3): 4-45, 2004

      29 Cao, L., "Race, community context and confidence in the police" 15 (15): 3-22, 1996

      30 Park, R. E., "Race and culture" Duke University Press 1950

      31 Sun, I. Y., "Public trust in the police in Taiwan: A test of instrumental and expressive models" 47 (47): 123-140, 2014

      32 Jackson, J., "Public Confidence in Policing : a Neo-Durkheimian Perspective" 47 (47): 214-233, 2007

      33 Cheurprakobkit, S., "Police work and the police profession : Assessing attitudes of city officials, Spanish-speaking Hispanics, and their English-speaking counterparts" 27 (27): 87-100, 1999

      34 Sun, I. Y., "One country, three populations: Trust in police among migrants, villagers, and urbanites in China" 42 (42): 1737-1749, 2013

      35 Röder, A., "Low expectations or different evaluations: what explains immigrants' high levels of trust in host-country institutions?" 38 (38): 777-792, 2012

      36 Ren, L., "Linking confidence in the police with the performance of the police: Community policing can make a difference" 33 (33): 55-66, 2005

      37 Sampson, R. J., "Legal cynicism and (subcultural) tolerance of deviance: the neighborhood context of racial difference" 32 (32): 777-804, 1998

      38 Barrick, K., "Latino confidence in the police : The role of immigration enforcement, assimilation, and immigration status" 12 (12): 289-307, 2014

      39 Herbst, L., "Language barriers in the delivery of police services: A study of police and Hispanic interactions in a midwestern city" 29 (29): 329-340, 2001

      40 Davis, R. C., "Immigrants and law enforcement : a comparison of native-born and foreign-born Americans’ opinions of the police" 14 (14): 81-94, 2007

      41 Elise Barboza, G., "Group consciousness, identity and perceptions of unfair police treatment among Mexican Americans" 35 (35): 505-527, 2012

      42 Lee, M. S., "Fear of crime among Korean Americans in Chicago communities" 38 (38): 1173-1206, 2000

      43 Reisig, M. D., "Experience, quality of life, and neighborhood context: A hierarchical analysis of satisfaction with police" 17 (17): 607-630, 2000

      44 Jackson, J., "Experience and expression: Social and cultural significance in the fear of crime" 44 : 946-966, 2004

      45 Tyler, T. R., "Enhancing police legitimacy" 593 (593): 84-99, 2004

      46 Davis, R., "Effective police management affects citizen perceptions" 7 : 24-25, 2000

      47 Jang, H., "Determinants of public confidence in police: An international perspective" 38 (38): 57-68, 2010

      48 Correia, M. E., "Determinants of attitudes toward police of Latino immigrants and non-immigrants" 38 : 99-107, 2010

      49 Jackson, J., "Crime, policing and social order : on the expressive nature of public confidence in policing" 60 (60): 493-521, 2009

      50 Jang, H., "Confidence in the police among immigrants in South Korea: An examination of the dual frames of reference theory" 42 (42): 767-784, 2019

      51 Jang, H., "Confidence in the police among Korean people : An expressive model versus an instrumental model" 42 (42): 306-323, 2014

      52 Skogan, W. G., "Concern about crime and confidence in the police: Reassurance or accountability?" 12 (12): 301-318, 2009

      53 엔트볼트 밧제백, "Comparative Study of the Confidence in the Police among Mongolian Koreans and Native Mongolian : A Test of Instrumental and Expressive Models" 경기대학교 대학원 2016

      54 Skogan, W. G., "Citizen satisfaction with police encounters" 8 (8): 298-321, 2005

      55 Portes, A., "Assimilation or consciousness : Perceptions of US society among recent Latin American immigrants to the United States" 59 (59): 200-224, 1980

      56 Taylor, R. B., "An integrated contextual model of confidence in local police" 15 (15): 414-445, 2012

      57 Freiberg, A., "Affective versus effective justice : Instrumentalism and emotionalism in criminal justice" 3 (3): 265-278, 2001

      58 Cao, L., "A comparison of confidence in the police in China and in the United States" 29 (29): 87-99, 2001

      59 법무부, "2018년 12월호 출입국·외국인정책 통계월보"

      60 법무부, "2016년 출입국·외국인정책 통계연보"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7-0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경찰발전연구학회보 -> 한국경찰연구 KCI등재후보
      2009-03-16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경찰발전연구학회 -> 한국경찰연구학회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4 0.94 1.0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3 0.99 1.04 0.2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