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고유명사 표기 한자음 연구의 회고와 전망 = Retrospect and Prospect to the results of studies on the ancient Sino-Korean based on the transcriptions of Proper Noun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57578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고대 국어의 고유명사 차자 표기를 활용한 한자음 연구를 개관하고 여기서 제기된 문제점을 바탕으로 개선책을 제시한 후, 연구 성과 목록을 제시한 것이다. 다룬 연구 대상은 ①삼...

      본고는 고대 국어의 고유명사 차자 표기를 활용한 한자음 연구를 개관하고 여기서 제기된 문제점을 바탕으로 개선책을 제시한 후, 연구 성과 목록을 제시한 것이다. 다룬 연구 대상은 ①삼국 시대로부터 통일 신라 시대까지의, ②고유명사를 연구 자재로 활용한 것, ③연구 과정에 한자음이 개입된 전체로 하되, 한자음 연구에 초점을 둔 것을 주대상으로 삼았다.
      연구 성과의 정리는 한자음 연구와 관련한 주변적 연구와 한자음 연구의 두 부분으로 나누었다. 전지에서는 ①자료 교감의 연구, ②표기법과 운용법의 연구, ③어휘 단위의 연구, ④비교 언어학적 연구에 대해 기술했다. 후자에서는 ①연구사의 정리 및 방향 제시의 연구, ②한자음 음운체계 규명의 연구를 기술했다.
      기술한 연구 성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개선책을 제시했다. ①자료 교감의 정밀화, ②당대인의 문자 운용 이해, ③이표기의 다양성 이해와 어휘연구의 파편화 지양, ④전자음과 전사음의 합리적 선택과 조정 필요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critically review the results of studies on ancient Sino-Korean through the material of transcriptions borrowed from Chinese Characters in the proper nouns. Based on the critical review of those studies, the paper suggests a way of impro...

      This study is critically review the results of studies on ancient Sino-Korean through the material of transcriptions borrowed from Chinese Characters in the proper nouns. Based on the critical review of those studies, the paper suggests a way of improvement and the research list accumulated so far. The studies reviewed are 1) those from the three kingdoms to the unified Shilla Unification, 2) those dealing with proper nouns, and 3) those examining Chinese sounds.
      Research results are divided into two. One is about the correction of data, transcriptions, unit of vocabulary, and the study of comparative language. The other is about the clearance of research history,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and the phoneme system of ancient Sino-Korean.
      'This paper also suggests the research subjects of improving the studies on the sounds of ancient Sino-Korean. They are the precision of data correction, the understanding of ways of using the characters by the then people, the understanding of diversity in the different expressions of the same sound, the avoidance of the fragmented vocabulary research, the rational choice and adjustment of Jeonjaeum(轉字音: choice on the phonetic value of the original Chinese characters) and Jeonsaeum(轉寫音: reconstruction of the Sino-Korea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要約
      • 1. 서론
      • 2. 한자음 연구와 관련한 연구 성과
      • 3. 한자음 연구 성과
      • 4. 결론 : 한자음 연구의 전망
      • 要約
      • 1. 서론
      • 2. 한자음 연구와 관련한 연구 성과
      • 3. 한자음 연구 성과
      • 4. 결론 : 한자음 연구의 전망
      • 參考文獻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도수희, "「삼국유사」의 할주지명에 관한 해석 문제들" 한국언어학회 (24) : 145-164, 1999

      2 李正龍, "「赤」系 字類의 地名表記 硏究, In 于海李炳銑敎授停年退任紀念論叢" 89-105, 1992

      3 박동규, "「秋察」의 「察」을 「」로 읽어야 하는 이유" 국어국문학회 (112) : 1-20, 1994

      4 金大植, "「獐項口縣一云古斯也忽次」에 대하여, In 于海李炳銑敎授停年退任紀念論叢" 45-53, 1992

      5 李炳銑, "「慰禮城」과「百濟」․「十濟」國名考」" 韓國語文學會 (37) : 137-161, 1978

      6 金大植, "「刀臘縣一云雉嶽城」에 대하여, In 于海李炳銑博士回甲紀念論叢" 1-14, 1987

      7 李崇寧, "「伊伐飡 ․ 舒發翰」音韻考, In 國語學硏究" 螢雪社 65-77, 1972

      8 馬淵和夫, "「三國史記」記載の「高句麗」地名より見た古代高句麗語の考察" 筑波大學紀要 4 : 1-474, 1979

      9 김무림, "「三國史記」 복수 음독 지명 자료의 음운사적 과제" 한국지명학회 2 : 39-59, 1999

      10 水野俊平, "?日本書紀? ‘百濟史料’에 의한 백제 한자음의 특징 추정" 한국일어일문학회 40 (40): 149-174, 2002

      1 도수희, "「삼국유사」의 할주지명에 관한 해석 문제들" 한국언어학회 (24) : 145-164, 1999

      2 李正龍, "「赤」系 字類의 地名表記 硏究, In 于海李炳銑敎授停年退任紀念論叢" 89-105, 1992

      3 박동규, "「秋察」의 「察」을 「」로 읽어야 하는 이유" 국어국문학회 (112) : 1-20, 1994

      4 金大植, "「獐項口縣一云古斯也忽次」에 대하여, In 于海李炳銑敎授停年退任紀念論叢" 45-53, 1992

      5 李炳銑, "「慰禮城」과「百濟」․「十濟」國名考」" 韓國語文學會 (37) : 137-161, 1978

      6 金大植, "「刀臘縣一云雉嶽城」에 대하여, In 于海李炳銑博士回甲紀念論叢" 1-14, 1987

      7 李崇寧, "「伊伐飡 ․ 舒發翰」音韻考, In 國語學硏究" 螢雪社 65-77, 1972

      8 馬淵和夫, "「三國史記」記載の「高句麗」地名より見た古代高句麗語の考察" 筑波大學紀要 4 : 1-474, 1979

      9 김무림, "「三國史記」 복수 음독 지명 자료의 음운사적 과제" 한국지명학회 2 : 39-59, 1999

      10 水野俊平, "?日本書紀? ‘百濟史料’에 의한 백제 한자음의 특징 추정" 한국일어일문학회 40 (40): 149-174, 2002

      11 이병훈, "?日本書紀』한국 고유명사의同名 異表記에 나타나는 韻尾의 대응" 한국일어일문학회 47 (47): 475-495, 2003

      12 崔南善, "六堂崔南善全集 2" 玄岩社 14-42, 1973

      13 姜信沆, "한자음의 어제와 오늘" 국어연구소 (17) : 30-50, 1989

      14 權仁瀚, "한자음의 변화, In 國語史硏究, In 田光鉉 ․ 宋敏先生의 華甲紀念 國語史硏究" 國語史硏究會 283-344, 1997

      15 엄익상, "한자음-l운미 중국 방음 기원설의 문제" 韓國中語中文學會 (29) : 21-42, 2001

      16 宋敏, "한자음, In 국어연구 어디까지 왔나" 동아출판사 146-166, 1990

      17 이장희, "한자음(日母)의 수용으로 본 고대국어의 유성마찰음" 문학과 언어연구회 15 : 47-63, 1994

      18 정경일, "한자음 연구의 현황과 과제" 建陽大學校 (3) : 9-30, 1994

      19 이장희, "한자음 설내 입성 운미의 유음화에 대하여" 언어과학회 1 (1): 285-302, 2005

      20 이지수, "한일한자차자표기에서의 설내입성운미의 수용에 대하여" 한국일어일문학회 53 (53): 289-306, 2005

      21 송민, "한국한자음과 만엽음가명 o 단모음의 음성자질" 한국언어학회 (3) : 145-175, 1977

      22 도수희, "한국의 지명, In 대우학술총서 553" 아카넷 2003

      23 金完鎭, "한국어발달사(음운사), In 한국문화사대계 Ⅴ(언어․문학사)" 고려대민족문화연구소 1967

      24 정광, "한국어 형성에서 고구려어의 위치,, In 國語史와 借字表記, In 素谷南豊鉉先生回甲紀念論叢" 太學社 501-518, 1995

      25 김동소, "한국어 변천사" 형설출판사 1998

      26 이영월, "한국 한자음자료와 중국음운학" 慶熙大學校 比較文化硏究所 10 (10): 131-148, 2006

      27 이돈주, "한국 한자음의 특성" 국립국어연구원 11 (11): 123-135, 2001

      28 박병채, "한국 한자음의 모태와 변천" 국어연구소 (8) : 6-14, 1987

      29 朴慶松, "한국 한자음에 반영된 喩四考" 중국어문학회 (22) : 249-267, 2006

      30 리득춘, "차자표기연구와 중국음운학, In ≪훈민정음≫반포 550돐 기념론문집 『말·글·얼』" 료녕민족출판사 155-176, 1996

      31 황금연, "차자 표기의"仍·芿"에 대한 해석" 國語學會 (34) : 143-166, 1999

      32 박창원, "차자 표기의 음운론" 7 (7): 79-98, 1997

      33 이강로, "차자 표기에 쓰인 內/〔예〕에 대한 연구" 한글학회 (205) : 19-51, 1989

      34 이강로, "차자 표기에 쓰인 ‘內/예’에 대한 연구(III)" 한글학회 (211) : 5-44, 1991

      35 이돈주, "지섭 한자음과 //음의 반영" 한글학회 (173) : 247-265, 1981

      36 도수희, "지명어 음운론" 한국지명학회 13 : 113-145, 2007

      37 도수희, "지명ㆍ왕명과 차자 표기" 구결학회 (13) : 245-288, 2004

      38 도수희, "지명 차자 표기 해독법" 한국지명학회 1 : 95-128, 1998

      39 嚴翼相, "중국음운학적 관점에서 본 백제한자음 성모체계" 百濟文化開發硏究院 (7) : 165-219, 2003

      40 김경숙, "중국 상고음을 통한 한국 고대한자음의 연구(2)" 한국중국언어학회 (18) : 73-96, 2004

      41 金慶淑, "중국 상고음을 통한 한국 고대한자음의 연구(1)" 중국어문학회 (15) : 329-345, 2004

      42 오세준, "중국 上古音 학설로 본 고대국어 표기 “尸”의 音價" 한국국어교육학회 (72) : 329-350, 2006

      43 이장희, "중고음 禪母와 邪母의 수용과 변모" 문학과언어학회 29 : 19-38, 2007

      44 도수희, "존칭접미사의 생성 발달에 대하여" 국립국어연구원 10 (10): 185-196, 2000

      45 최희수, "조선한자음연구" 흑룡강조선민족출판사 1986

      46 리득춘, "조선어 한자어음 연구" 서광학술자료사 1994

      47 안병호, "조선 한자음체계의 연구 영인본" 한국문화사 1996

      48 최윤갑, "이두음(吏讀音)에 잔존한 일부 한어(漢語)상고음(上古音)" 13 : 175-188, 1992

      49 도수희, "옛 지명 「裳, 巨老,. 買珍伊」에 관한 문제" 한국지명학회 9 : 61-81, 2003

      50 조규태, "옛 땅이름에 쓰인 ‘忽 ․ 己’에 대하여" 배달말학회 10 : 9-53, 1985

      51 김영일, "어두음(語頭音)h의 기원 문제, In 새결 박태권선생 회갑기념논총" 제일문화사 307-319, 1984

      52 최남희, "신라지명 毛火의 어휘와 성운학적 고찰" 14 : 2001

      53 이장희, "신라시대 漢字音 聲母體系의 통시적 연구" 경북대학교 2001

      54 권인한, "신라국호 이표기와 한국한자음의 관계" 울산대학교 인문대학 국어국문학부 15 : 117-132, 2001

      55 최남희, "신라 지명에 반영된 신라한자음 형성에 관한 연구" 동의대학교 국어국문학과 11 : 215-266, 1998

      56 최남희, "신라 지명 표기 한자음 형성 기층과 상고 자음 운미의 반영에 대하여" 한국지명학회 2 : 263-301, 1999

      57 김영만, "신라 지명 喙(훼)와 啄(탁)의 字音상 모순을 어떻게 볼 것인가" 한국지명학회 13 : 47-84, 2007

      58 權仁瀚, "신라 관등 이표기와 한국한자음의 관계" 震檀學會 (96) : 149-171, 2003

      59 권인한, "성씨 김(金)의 한자음 연원을 찾아서" 국립국어원 14 (14): 143-155, 2004

      60 兪昌均, "삼국시대의 漢字音, In 대우학술총서 인문사회과학53" 民音社 1991

      61 김주원, "삼국사기 지리지의 지명연구-국어계통 연구를 위하여" 서울대학교 1981

      62 송하진, "삼국사기 지리지 지명의 국어학적 연구" 동국대학교 1993

      63 권재선, "백제의 시조 이름과 나라 이름의 어원 연구, In 국어학연구의 새지평, In 성재이돈주선생화갑기념논총" 태학사 339-374, 1997

      64 미즈노슌페이, "백제와 백제 한자음 백제어" 역락 2009

      65 도수희, "백제어의 「己」에 대하여, In 새결 박태권선생 회갑기념논총" 제일문화사 367-382, 1984

      66 都守熙, "백제어의 음운변화" 충남대 어학연구소 (5) : 47-55, 1984

      67 김선기, "백제 지명속에 잇는 고대 음운 변천" (4) : 23-34, 1973

      68 閔賢植, "문자론과 차자법, In 國語史와 借字表記, In 素谷南豊鉉先生回甲紀念論叢" 太學社 455-478, 1995

      69 이병선, "머리(首․長)의 명칭과 그 쓰임, In 새결 박태권선생 회갑기념논총" 제일문화사 339-365, 1984

      70 강헌규, "국어학논문집" 공주대출판부 2000

      71 朴炳采, "국어발달사" 世英社 1989

      72 박창원, "국어 모음체계에 대한 한 가설" 국어국문학회 (95) : 641-671, 1986

      73 朴昌遠, "국어 ‘*d,*lʔ의 재구와 그 변화, In 국어학 신연구" 탑출판사 1986

      74 장세경, "광개토호태왕 비문의 성이름 연구" 漢陽大 韓國學硏究所 31 : 7-67, 1997

      75 김형주, "고대어의 고유어 표기에 나타난 [ㄱ, ㄷ, ㅂ]말음 고찰, In 于海李炳銑敎授停年退任紀念論叢" 55-67, 1992

      76 권인한, "고대국어의 치음계열에 대한 연구" 애산학회 23 : 73-107, 1999

      77 박창원, "고대국어의 치음" 國語學會 (27) : 99-130, 1996

      78 김형주, "고대국어의 어말모음 변화에 관한 고찰, In 새결 박태권선생 회갑기념논총" 제일문화사 493-510, 1984

      79 이윤동, "고대국어의 모음체계-한자음을 중심으로" 대구교육대학 교수회의실 1993

      80 박병채, "고대국어의 모음 음소체계에 대하여" 한글학회 (195) : 3-31, 1987

      81 권인한, "고대국어의 i-breaking 현상에 대한 일고찰 - ‘섬’[島]의 음운사를 중심으로" 진단학회 (100) : 165-182, 2005

      82 이장희, "고대국어/h/에 대한 역사적 연구" 한국문학언어학회 (42) : 57-98, 2005

      83 朴昌遠, "고대국어(음운)연구방법론 서설, In 國語史와 借字表記, In 素谷南豊鉉先生回甲紀念論叢" 太學社 533-550, 1995

      84 최남희, "고대국어 홀소리 아(a)의 존재에 관한 연구" 한말연구학회 25 (25): 253-290, 2005

      85 權仁瀚, "고대국어 한자음 연구의 가능성 모색-駕洛國號의 異表記들을 중심으로" 울산대학교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11 : 143-164, 1996

      86 최남희, "고대국어 표기에 쓰인 고대 한국 한자음 형성에 미친 기층음의 영향 연구" 한글학회 (243) : 5-44, 1999

      87 최남희, "고대국어 표기 한자음 연구" 도서출판 박이정 1999

      88 박창원, "고대국어 음운(1)" 태학사 2002

      89 조규태, "고대국어 음운 연구" 형설출판사 1986

      90 최남희, "고대 한국한자음 형성에 관한 연구(1)" 동의대학교 국어국문학과 (9) : 271-340, 1996

      91 최남희, "고대 한국한자음 형성에 관한 연구(1)" 동의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 : 181-244, 1997

      92 김동소, "고대 한국어의 종합적 연구" 한글학회 (227) : 5-69, 1995

      93 김종택, "고대 지명소 ‘甲,押,岬,土甲’의 형태와 의미" 국어교육학회 33 : 157-170, 2001

      94 권인한, "고대 지명 형태소 ‘本波/本彼’에 대하여" 한국목간학회 (2) : 83-95, 2008

      95 장세경, "고대 복수인명 표기의 음성·음운론적 고찰-<삼국사기〉·〈삼국유사〉인명을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1990

      96 이장희, "고대 국어의 치음 체계에 대하여" 문학과 언어학회 27 : 25-44, 2005

      97 도수희, "고대 국어의 음운 변화에 대하여" 한글학회 (244) : 5-44, 1999

      98 이장희, "고대 국어의 /ŋ/에 대하여" 언어과학회 34 (34): 195-220, 2005

      99 김종택, "고대 국어 지명접미사 ‘-pǝl’의 분포 양상" 한국지명학회 5 : 29-46, 2001

      100 이장희, "고대 국어 자료 오류의 비정" 한국지명학회 8 : 113-137, 2002

      101 김무림, "고대 국어 음운, In 국어의 시대별 변천 연구3 -고대 국어" 국립국어연구원 7-39, 1998

      102 林炳俊, "고구려의 언어에 대하여" 高句麗硏究會 (9) : 141-229, 2000

      103 최남희, "고구려어의 홀소리 연구" 한말연구학회 (16) : 215-246, 2005

      104 이장희, "고구려어의 자음체계에 대한 연구, In 國語史와 漢字音" 박이정 397-457, 2006

      105 이장희, "고구려어의 음절 구조에 대하여" 한국어문학회 (87) : 175-200, 2005

      106 이장희, "고구려어의 어말모음 교체와 속격조사" 국어국문학회 (145) : 171-198, 2007

      107 이장희, "고구려어의 어말모음 교체에 대하여" 언어과학회 (39) : 1-26, 2006

      108 이근수, "고구려어와 신라어는 다른 언어인가" 한글학회 (177) : 39-60, 1982

      109 최남희, "고구려어 표기 한자음의 형성 기층과 그 어휘 연구" 한글학회 (249) : 87-137, 2000

      110 최남희, "고구려어 표기 한자음 형성 자질과 그 어휘 연구" 한글학회 262 : 5-61, 2003

      111 최남희, "고구려어 표기 한자음 형성 배경과 그 어휘 연구" 한글학회 258 : 5-54, 2002

      112 최남희, "고구려어 표기 한자음 형성 과정과 그 어휘 연구" 한글학회 (254) : 5-50, 2001

      113 鄭光, "고구려어 일본을 대륙과 연결시켜 주는 언어" 박이정 2006

      114 최남희, "고구려어 연구" 도서출판 박이정 2005

      115 이장희, "고구려어 어말모음의 교체 원인" 한국어문학회 (95) : 243-280, 2007

      116 최중호, "고구려 지명 ‘首知衣’ 연구" 한국지명학회 14 : 253-277, 2008

      117 李基文, "高句麗의 言語와 그 特徵" 白山學會 (4) : 101-142, 1968

      118 宋敏, "高句麗語의 Apocope에 對하여" 聖心女大國語國文學科 1 : 17-22, 1966

      119 金完鎭, "高句麗語에 있어서의 t口蓋音化現象에 對하여, In 李崇寧博士頌壽紀念論叢" 乙酉文化社 135-141, 1968

      120 村山七郞, "高句麗語と 朝鮮語との 關係に 關する考察" 朝鮮學會 26 : 25-34, 1963

      121 兪昌均, "高句麗地名表記 用字에 대한 檢討, In 又村姜馥樹博士回甲紀念論文集" 형설사 1976

      122 櫻井芳郞, "高句麗の 言語について" 歷史地理學 4 : 25-31, 1953

      123 今西春秋, "高句麗の 城:溝漊と 忽" 朝鮮學會 59 : 1-12, 1971

      124 손명기, "高句麗 漢字音의 母音硏究" 대전대학 국어국문학회 9 : 69-87, 1992

      125 金武林, "高句麗 漢字音 考察(1)" 홍익대학교 국어교육과 홍익어문연구회 10 : 61-76, 1992

      126 兪昌均, "高句麗 人名表記에 나타난 用字法의 檢討" 檀國大 東洋學硏究所 (5) : 85-97, 1975

      127 白鳥庫吉, "韓語城邑の稱呼たゐ忽(kol)の原義に就いて" 東京帝大 史學會 17 (17): 10-32, 1906

      128 白鳥庫吉, "韓語城邑の稱呼たゐ忽(kol)の原義に就いて" 東京帝大 史學會 17 (17): 15-30, 1906

      129 白鳥庫吉, "韓語城邑の稱呼たゐ忽(kol)の原義に就いて" 東京帝大 史學會 16 (16): 1-15, 1905

      130 白鳥庫吉, "韓語城邑の稱呼たゐ忽(kol)の原義に就いて" 東京帝大 史學會 17 (17): 58-72, 1906

      131 金澤庄三郞, "韓日語比較雜考" 朝鮮學會 (8) : 21-31, 1955

      132 李炳銑, "韓日古代地名考, In 국어학연구의 새지평, In 성재이돈주선생화갑기념논총" 태학사 551-562, 1997

      133 金芳漢, "韓國語의 系統" 民音社 1983

      134 金東昭, "韓國語와 TUNGUS語의 音韻 比較 硏究" 曉星女子大學校 出版部 1981

      135 金芳漢, "韓國語 語頭 h-의 起源 및 語頭子音群語와 旁點" 한국언어학회 (2) : 9-24, 1977

      136 金芳漢, "韓國語 系統硏究의 問題點 -方法論과 非알타이語 要素" 한국언어학회 (01) : 3-24, 1976

      137 姜信沆, "韓國漢字音과 漢語上古音과의 對應可能性에 관하여" 檀國大學校 東洋學硏究所 (17) : 1-26, 1987

      138 姜信沆, "韓國漢字音(高麗譯音)의 舌內入聲韻尾-t>-l에 對하여, In 梧堂趙恒瑾先生華甲紀念論叢" 보고사 23-40, 1997

      139 崔範勳, "韓國地名學 硏究 序說" 국어국문학회 (42) : 131-154, 1969

      140 兪昌均, "韓國古代漢字音의 硏究 -其二, 新羅 景德王代 漢字音의 性格" 靑丘大學 新羅伽倻文化硏究院 (2) : 1-62, 1970

      141 李丙燾, "韓國古代史硏究" 螢雪出版社 1976

      142 朱星一, "韓國 漢字音 終聲/-ㄹ/에 관한 再考" 國際言語文學會 (3) : 145-157, 2001

      143 兪昌均, "韓國 漢字音 硏究의 動向, In 肯浦趙奎卨敎授 華甲紀念國語學論叢" 螢雪出版社 47-60, 1982

      144 千素英, "韓國 地名語 硏究" 以會文化社 2003

      145 이정용, "韓國 古地名 借字表記 硏究" 경인문화사 2002

      146 金永鎭, "韓國 古代語의 流音에 대하여" 大田大學校 12 (12): 7-21, 1993

      147 金永鎭, "韓國 古代語의 *-ɣ에 對하여" 慶南大學校 2 : 65-82, 1983

      148 兪昌均, "韓國 古代漢字音의 硏究Ⅱ" 啓明大學校出版部 1983

      149 兪昌均, "韓國 古代漢字音의 硏究Ⅰ" 啓明大學校出版部 1980

      150 兪昌均, "韓國 古代漢字音의 硏究-<其一, 漢字 借用의 方法과 그 傾向>" 大邱大學校 東洋文化硏究所 (8) : 21-80, 1969

      151 兪昌均, "韓國 古代漢字音의 硏究(其三)" 韓國語文學會 (24) : 15-54, 1971

      152 엄익상, "韓國 古代漢字音 有聲音聲母의 存在與否" 강원대학교 어학교육원 1 : 127-138, 1994

      153 李炳銑, "韓國 古代國名 地名硏究" 螢雪社 1982

      154 李敦柱, "韓中漢字音硏究" 태학사 2003

      155 정재영, "金石文과 古文書에 나타난 지명 자료에 대하여-新羅와 統一新羅時代를 중심으로" 한국외대 한국어문학연구회 13 : 221-240, 2001

      156 兪昌均, "鄕歌의 ‘知’에 對하여, In 常山李在秀博士還曆紀念論文集" 螢雪社 353-362, 1972

      157 兪昌均, "鄕歌의 ‘支․只․知’에 대한 解釋試論, In 國語學論攷" 啓明大出版部 1984

      158 兪昌均, "鄕歌의 ‘支’字 表記에 對하여, In 藏菴池憲英先生華甲紀念論叢" 同刊行會 557-582, 1971

      159 兪昌均, "鄕歌의 ‘只’字 表記에 對하여, In 淸溪金思燁博士頌壽紀念論叢" 學文社 193-218, 1973

      160 金完鎭, "鄕歌解讀法硏究" 서울대 출판사 1982

      161 兪昌均, "鄕歌批解" 형설출판사 1994

      162 白斗鉉, "蔚珍鳳坪新羅碑의 地名에 대한 語學的 考察, In 韓國古代社會와 蔚珍地方" 蔚珍郡 ․ 韓國古代史學會 125-157, 1999

      163 崔南善, "稽古箚存" (14) : 1918

      164 都守熙, "百濟의 國號에 관한 몇 問題" 忠南大 百濟硏究所 (22) : 27-51, 1991

      165 都守熙, "百濟의 前期版圖와 그 言語資料" 忠南大百濟硏究所 (26) : 107-123, 1996

      166 都守熙, "百濟語의 「白․熊․泗沘․伎伐」에 對하여" 忠南大 百濟硏究所 (14) : 15-32, 1983

      167 姜吉云, "百濟語의 系統論Ⅰ" 忠南大 百濟硏究所 (8) : 45-61, 1977

      168 姜吉云, "百濟語의 硏究(系統論)Ⅱ" 忠南大 百濟硏究所 (9) : 41-85, 1978

      169 이숭녕, "百濟語硏究와 資料面의 問題點-特히 地名의 考察을 中心으로 하여" 忠南大學校 博物館 (2) : 157-166, 1971

      170 都守熙, "百濟語硏究" 忠南大 百濟硏究所 (7) : 9-49, 1976

      171 都守熙, "百濟語 語彙 硏究" 제이앤씨 2005

      172 兪昌均, "百濟漢字音의 韻尾子音에 대한 考察" 忠北大學校 師範大學 國語敎育科 (1) : 161-186, 1981

      173 김주원, "百濟地名語 ‘己 ․ 只’에 대하여" 嶺南大 民族文化硏究所 2 : 93-113, 1982

      174 洪思俊, "百濟地名考" 忠南大 博物館 (1) : 29-36, 1970

      175 都守熙, "百濟地名硏究" 忠南大 百濟硏究所 (11) : 5-125, 1980

      176 都守熙, "百濟地名硏究" 忠南大 百濟硏究所 (10) : 121-142, 1979

      177 朴恩用, "百濟 建國說話의 吏讀文的인 考察-"百濟=溫祚=廣/寬"에 對하여-, In 常山 李在秀博士 還曆紀念 論文集" 219-238, 1972

      178 都守熙, "百濟 前期의 言語에 關한 硏究" (1) : 61-109, 1985

      179 白鳥庫吉, "白鳥庫吉全集 3卷(일명"朝鮮史硏究")" 岩波書店 1970

      180 兪昌均, "現代 韓國 漢字音의 性格과 體系, In 國語學論攷" 啓明大出版部 1984

      181 金完鎭, "特異한 音讀字 및 訓讀字에 대한 硏究" 檀國大 東洋學硏究所 (15) : 1-17, 1985

      182 文璇奎, "漢字音攷(下)" 全北大學校 3 : 55-124, 1960

      183 文璇奎, "漢字音攷(上)" 全北大學校 2 : 81-134, 1958

      184 이준환, "漢字音 有氣音化의 濁音淸化와의 관련성 再考와 類型別 分類" 국어학회 (53) : 3-33, 2008

      185 都守熙, "漢字借用表記의 轉訛에 대하여" 韓南大國語國文學會 13 : 613-622, 1987

      186 김무림, "漢字 ‘內’의 國語 音韻史的 考察" 국어학회 41 : 123-143, 2003

      187 南廣祐, "東國正韻式漢字音硏究, In 韓國硏究叢書6" 韓國硏究院 1966

      188 兪昌均, "朴赫居世居西干의 語源에 대한 一考察, In 于亭朴恩用博士 回甲紀念論叢" 曉星女大出版部 381-395, 1987

      189 白鳥庫吉, "朝鮮語とUral-Altai語との比較硏究" 東洋協會調査部 6 (6): 293-328, 1916

      190 白鳥庫吉, "朝鮮語とUral-Altai語との比較硏究" 東洋協會調査部 5 (5): 1915

      191 白鳥庫吉, "朝鮮語とUral-Altai語との比較硏究" 東洋協會調査部 5 (5): 1915

      192 白鳥庫吉, "朝鮮語とUral-Altai語との比較硏究" 東洋協會調査部 5 (5): 1915

      193 白鳥庫吉, "朝鮮語とUral-Altai語との比較硏究" 東洋協會調査部 6 (6): 145-184, 1916

      194 金澤庄三郞, "朝鮮硏究と日本書紀" 朝鮮學會 (1) : 69-91, 1950

      195 河野六郞, "朝鮮漢字音의 硏究" 天理大 1968

      196 申采浩, "朝鮮史硏究草" 朝鮮圖書株式會社 1929

      197 金澤庄三郞, "朝鮮古地名の硏究" 朝鮮學會 (6) : 1-21, 1951

      198 白鳥庫吉, "朝鮮古代諸國名稱考" 東京帝大 史學會 6 (6): 36-44, 1895

      199 白鳥庫吉, "朝鮮古代王號考" 東京帝大 史學會 7 (7): 26-44, 1896

      200 白鳥庫吉, "朝鮮古代官名考" 東京帝大 史學會 7 (7): 37-61, 1896

      201 白鳥庫吉, "朝鮮古代地名考" 東京帝大 史學會 8 (8): 19-35, 1896

      202 白鳥庫吉, "朝鮮古代地名考" 東京帝大 史學會 6 (6): 30-41, 1895

      203 白鳥庫吉, "朝鮮古代地名考" 東京帝大 史學會 6 (6): 35-51, 1895

      204 安在鴻, "朝鮮上古史鑑 上" 民友社 1947

      205 南廣祐, "朝鮮(李朝)漢字音硏究" 一潮閣 1973

      206 李海雨, "日母字를 통해 본 韓國 漢字音의 기원 문제" (5) : 229-250, 1996

      207 村山七郞, "日本語及び高句麗語の數詞-日本語系統問題に寄せて" 國語學會編輯 48 : 1-11, 1962

      208 李基文, "新訂版 國語史槪說" 태학사 1998

      209 李娟子, "新羅의 一部軍制가 地名에 미친 影響에 對하여 -十停과 地名과의 關係" 蕙苑邊德珍先生 還曆紀念特輯號 (5) : 357-378, 1976

      210 姜錫潤, "新羅語 固有名詞의 一考察" 중앙대학교 1982

      211 金大植, "新羅語 *sär[新]의 變遷과 그 表記-‘元曉’와 新羅 國號의 起源과 관련하여" 成均館大 大東文化硏究院 (20) : 25-44, 1986

      212 李崇寧, "新羅時代의 表記法體系에 관한 試論" 塔出版社 1955

      213 권인한, "新羅國號 異表記와 古代韓國語 音韻現象의 展開" 구결학회 (20) : 179-212, 2008

      214 兪昌均, "新羅人名 表記用字에 對한 檢討" (35) : 187-206, 1976

      215 文旋奎, "新羅 國號音 假定, In 성봉김성배박사회갑기념논문집" 형설사 29-45, 1977

      216 李基文, "改訂版 國語史槪說" 塔出版社 1972

      217 김종택, "押梁/押督․奴斯火/其火 연구 - 경산지역의 옛지명을 중심으로 -" 한국지명학회 3 : 5-26, 2000

      218 都守熙, "弁韓 ․ 辰韓語에 關한 硏究(Ⅰ)" 檀國大學校東洋學硏究所 (20) : 31-69, 1990

      219 兪昌均, "弁辰韓의 地名에 대한 考察, In 羨烏堂金炯基先生八耋紀念國語學論叢" 創學社 311-325, 1985

      220 兪昌均, "弁․辰韓地域에 殘存하는 若干의 語彙에 대하여-中國側 古史書의 記錄을 中心으로-, In 素堂千時權博士華甲紀念國語學論叢" 螢雪社 629-647, 1985

      221 뷰조, 애드리안, "廣開土大王陵碑에 나타난 固有名詞 表記字의 起源" 단국대학교 1981

      222 李丞宰, "屬格 形態 ‘ㅅ’의 形成過程" 聖心女大國語國文學科 (10) : 79-93, 1987

      223 Werner Sasse, "尸 as a Phonogram in Early Korean Writing" Linguistics in the morning Calm 709-719, 1981

      224 酒井改藏, "好太王碑面の地名について" 朝鮮學會 (8) : 49-61, 1955

      225 梁柱東, "增訂 古歌硏究" 一潮閣 1965

      226 강병윤, "地名語 硏究史 ―1990年代 前半期까지를 중심으로―" 한국지명학회 1 : 219-276, 1998

      227 李熙昇, "地名硏究의 必要" 한글학회 1 (1): 46-49, 1932

      228 김완진, "國語音韻體系의 硏究" 一潮閣 1971

      229 金裕範, "國語 流音의 音韻史的 硏究" 고려대학교 1995

      230 朴炳采, "國語 漢字音의 母胎論攷" (10) : 33-81, 1971

      231 金永鎭, "國語 未破化의 通時的 考察" 서울대학교 2000

      232 金洪坤, "固有語表記에 使用된 「叱」字의 音價變移에 對한 考察" 국어국문학회 (75) : 164-188, 1978

      233 兪昌均, "固有名詞의 漢字借用表記" (6) : 20-29, 1986

      234 宋基中, "唐代 突厥語의 假借 表記와 國語漢字音의 終聲, In 國語史와 借字表記, In 素谷南豊鉉先生回甲紀念論叢" 太學社 519-531, 1995

      235 권인한, "咸安 城山山城 木簡 속의 고유명사 표기에 대하여" 수선사학회 (31) : 39-62, 2008

      236 도수희, "古地名 訛誤表記의 해독문제, In 金英培先生回甲紀念論叢" 219-229, 1991

      237 김경숙, "古代韓語 再構에 있어서 中國上古音의 중요성" 24 : 69-86, 1999

      238 배재석, "古代韓國漢字音的分期" 慶熙大學校比較文化硏究所 9 (9): 2005

      239 文璇奎, "古代漢字音" 漢陽大學校 (13) : 1-12, 1979

      240 宋敏, "古代日本語에 미친 韓語의 影響" 韓國日本學會 1 : 29-57, 1973

      241 유창균, "古代地名表記 字音의 上古音的 特徵" 한국지명학회 4 : 139-164, 2000

      242 李丞宰, "古代地名 ‘古尸’에 대하여, In 牧泉兪昌均博士華甲紀念論文集" 계명대출판부 481-492, 1984

      243 都守熙, "古代國語의 音韻變化, In 于亭朴恩用博士 回甲紀念論叢" 曉星女大出版部 219-229, 1987

      244 金亨柱, "古代國語의 音節終聲 ㄱ[kˈ],ㄷ[tˈ],ㅂ[pˈ]音考" 東亞大學校 石堂傳統文化硏究院 (14) : 21-38, 1988

      245 千素英, "古代國語의 音節末子音에 대한 考察" 홍익대 홍익어문연구회 2 : 1983

      246 姜信沆, "古代國語의 音節末子音에 대하여" 成均館大 大東文化硏究院 (25) : 7-28, 1990

      247 千素英, "古代國語의 語彙硏究" 高麗大學校民族文化硏究所 1990

      248 朴炳采, "古代國語의 硏究 音韻篇" 高麗大學校 出版部 1971

      249 朴炳采, "古代國語의 漢字音硏究" 高麗大學校亞細亞問題硏究所 9 (9): 1-70, 1966

      250 權在善, "古代國語의 漢字 韻尾音에 대한 考察" 語文學會 (29) : 1-18, 1973

      251 金永鎭, "古代國語의 母音體系 硏究" 서울大學校 國語硏究會 35 : 1976

      252 千素英, "古代國語硏究에 대한 一考-고유명사표기법 연구 序說" 水源大學 國語國文學會 (4) : 107-120, 1990

      253 宋基中, "古代國語 漢字音에 관련된 몇 가지 관찰, In 韓日語學論叢" 國學資料院 449-468, 1995

      254 千素英, "古代固有名詞 借用表記 硏究" 고려대학교 1987

      255 趙大夏, "古代 韓日漢字音에 대한 小考 -「支」字의 古音을 中心으로" 한국일어일문학회 47 (47): 441-456, 2003

      256 도수희, "古代 地名의 改定과 그 功過" 한국어문교육연구회 37 (37): 7-27, 2009

      257 김종학, "古代 地名語素 ‘忽’에 대하여" 한국지명학회 3 : 27-43, 2000

      258 兪昌均, "古代 地名 表記의 聲母 體系 -主로 三國史記의 地理志를 中心으로" 靑丘大學校 (3) : 17-54, 1960

      259 兪昌均, "古代 地名 表記의 母音 體系-三國史記 地理志를 中心으로" (6) : 11-54, 1960

      260 李炳銑, "古代 入聲韻尾 t의 r音化" 高麗大國語國文學硏究會 24 : 389-411, 1993

      261 朴炳采, "古代 三國의 地名語彙攷-三國史記 地理志의 複數地名을 中心으로" 白山學會 (5) : 51-129, 1968

      262 도수희, "厭髑(異次頓)의 해독 문제" 國語學會 (32) : 1-20, 1998

      263 이강로, "加知奈, 加乙奈→市津의 해독에 대하여" 한국지명학회 5 : 47-66, 2001

      264 鄭喆, "借用表記의 史的 考察, In 肯浦趙奎卨敎授 華甲紀念國語學論叢" 螢雪出版社 597-612, 1982

      265 兪昌均, "借用文字의 表記에 대한 考察-特히 高句麗側表記法을 中心으로" 國語學會 (9) : 135-149, 1980

      266 李正龍, "借字表記「德」에 對하여" 전단학회 (7) : 1-17, 2001

      267 南豊鉉, "借字表記와 古代國語의 語形" 정신문화연구원 2 : 87-99, 1993

      268 南豊鉉, "借字表記法의 ‘巴’字에 대하여, In 金芳漢先生華甲紀念論文集" 전예원 15-21, 1985

      269 南豊鉉, "借字表記法硏究, In 學術叢書6" 檀國大學校出版部 1986

      270 南豊鉉, "借字表記法硏究" 檀國大出版部 1981

      271 정재영, "借字表記 연구의 흐름과 방향" 국립국어연구원 7 (7): 31-59, 1997

      272 千素英, "借字表記 硏究史" 水源大學 國語國文學會 (6) : 21-60, 1991

      273 裵大溫, "借字表記 ‘只’字에 대하여" (13) : 157-167, 1986

      274 朴喜植, "借子表記의 硏究" 홍익대학교 홍익어문연구회 1 : 145-164, 1982

      275 姜吉云, "伽耶語와 드라비다語와의 比較(Ⅰ)" 충남대 부설언어훈련원 (3) : 173-188, 1982

      276 崔範勳, "丹陽 眞興王 赤城碑에 나타난 人名 試讀, In 余泉徐炳國博士華甲紀念論文集" 333-351, 1979

      277 李潤東, "中期 韓國漢字音의 硏究" 계명대학교 1988

      278 朴恩用, "中國語가 韓國語에 미친 影響-音韻篇-, In 曉大論文集" 曉星女子大學校 9-86, 1970

      279 趙大夏, "上代漢字音에 있어서 韻尾에 대한 一考察-韓日地名表記字에 있어서의 韻尾를 中心으로" 韓國日語日文學會 (37) : 249-265, 2000

      280 兪昌均, "三韓國名表記가 보여주는 母音調和의 傾向, In 于雲朴炳采博士還曆紀念論文集" 319-334, 1985

      281 鮎貝房之進, "三韓古地名考補正を讀む" 東京帝大 史學會 36 (36): 46-59, 1925

      282 前間恭作, "三韓古地名考補正" 東京帝大 史學會 36 (36): 1-38, 1925

      283 坪井九馬三, "三韓古地名考 (3回)" 東京帝大 史學會 36 (36): 17-41, 1925

      284 坪井九馬三, "三韓古地名考 (2回)" 東京帝大 史學會 36 (36): 29-46, 1925

      285 坪井九馬三, "三韓古地名考 (1回)" 東京帝大 史學會 35 (35): 1-23, 1924

      286 朴恩用, "三國遺事에 收錄된 固有語의 異表記硏究" 曉星女子大學校 韓國傳統文化硏究所 (4) : 91-116, 1988

      287 文暻鉉, "三國遺事所載 未鄒王攷, In 三國遺事硏究 (上)" 영남대출판부 11-24, 1983

      288 兪昌均, "三國時代의 文字生活과 그 性格" 啓明大韓國學硏究所 (21) : 5-33, 1995

      289 都守熙, "三國史記의 固有語에 관한 硏究" 檀國大 東洋學硏究所 (20) : 1-24, 1996

      290 馬淵和夫, "三國史記記載の百濟地名より見たる古代百濟語の考察" 筑波大學紀要 3 : 73-127, 1978

      291 辛兌鉉, "三國史記 地理志의 硏究" 宇鍾社 1959

      292 宋河振, "三國史記 地理志의 地名語 硏究 : 音韻 및 借字表記上의 特色究明" 전남대학교 1983

      293 姜炅求, "三國史記 原典硏究 : 借字表記體系的 檢討" 學硏文化社 1997

      294 池憲英, "『豆良尹城』에 對하여" (3) : 11-46, 1972

      295 이병훈, "『日本書記』한국 고유명사의 同名 異表記에 나타나는 ?母의 대응에 관하여" 일본어문학회 (23) : 241-268, 2003

      296 미즈노 슌페이, "『日本書紀』의 고대 한국어 표기 연구-특히 고유명사차자표기의 한자음을 중심으로" 전남대학교 2001

      297 김무림, "『三國遺事』의 國語學的 宿題" 민족어문학회 47 : 31-62, 2003

      298 金亨奎, "『三國史記』의 地名考" 震檀學會 16 : 171-181, 1949

      299 권인한, "『三國史記』·『三國遺事』 자료 연구의 방법과 실제 ― 고유명사 異表記에 의한 고대 한국한자음 연구를 중심으로 ―" 규장각한국학연구원 (42) : 253-275, 2008

      300 김영일, "《삼국사기 지리지》의 지명 고찰" 한글학회 257 : 103-127, 2002

      301 都守熙, "‘한’(韓)의 두 뿌리를 찾아서" 震檀學會 (88) : 503-520, 1999

      302 김정태, "‘바위(岩)’ 소재 지명어의 명명 근거와 전부지명소(2)" 한국지명학회 13 : 85-111, 2007

      303 吳世畯, "‘금’의 韓國 漢字音에 關하여" 한국국어교육학회 (52) : 279-291, 1996

      304 都守熙, "‘所夫里’攷" 忠南大學校 文理科大學 語文硏究會 3 (3): 382-405, 1975

      305 김종택, "‘居昌郡本居烈郡 或云 居陁’ 연구" 한국지명학회 1 : 187-200, 1998

      306 金裕範, "‘尸’의 二重的 音價 문제에 대한 해명을 위하여" 4 : 207-219, 1996

      307 박동규, "‘借音異寫字’類를 通한 古代國語의 初聲子音 硏究" 중앙대학교 1991

      308 이장희, "‘-干支’系 신라관명의 변화" 언어과학회 18 : 235-256, 2000

      309 李炳銑, "tɔrɔ(山)의 表記와 分布에 對하여, In 肯浦趙奎卨敎授 華甲紀念國語學論叢" 螢雪出版社 531-549, 1982

      310 이병선, "tara(城)語와 多羅地名에 대하여 - KBS 歷史스페셜의 玉田古墳의 多羅里를 중심으로 -" 한국지명학회 5 : 67-95, 2001

      311 이부오, "[三國史記] 地理志에 기재된 삼국 지명 분포의 역사적 배경 - 漢山州, 熊川州, 尙州를 중심으로 -" 한국지명학회 14 : 151-186, 2008

      312 정재영, "The Use of Chinese Characters in Ancient Korea: With a Focus on Texts Transcribed with Chinese-Borrowed Characters" 유네스코한국위원회 50 (50): 35-71, 2010

      313 Lee, Haewoo, "The Origin of Sino-Korean" International Circle of Korean Linguistics 8 : 207-222, 1994

      314 권인한, "The Evolution of Ancient East Asian Writing Systems as Observed through Early Korean and Japanese Wooden Tablets" 유네스코한국위원회 50 (50): 124-157, 2010

      315 Lee, K-M, "A Genetic View of Japanese" 朝鮮學會 (27) : 94-105, 1963

      316 Lee, K-M, "A Comparative Study of Manchu and Korean" Wiesbaden 30 (30): 104-120, 1958

      317 이은규, "<삼국사기> 지리지의 지명 표기 용자례" 한국말글학회 19 : 291-404, 2002

      318 김영일, "<삼국사기 지리지>에 관련된 국어학적 문제" 한국어문학회 78 : 1-20, 2002

      319 이장희, "6세기 신라 금석문의 인명 접사 연구" 언어과학회 26 : 227-252, 2003

      320 이장희, "6세기 금석문의 공시적 이표기와 그 의미" 문학과언어학회 (26) : 49-86, 2004

      321 엄익상, "(백제에서 현대까지)한국한자음 중국식으로 보기" 한국문화사 2008

      322 都守熙, ""三國史記"의 國語史 資料와 관련된 몇 問題, in 梧堂趙恒瑾先生華甲紀念論叢" 보고사 151-171, 1997

      323 文璇奎, ""/-t/入聲音의 /-l/音化攷"-高麗以前의 漢字音에 對한 一考-" 漢陽大學校 6 : 39-83, 197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4-12-09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Society Of Kugyol -> The Society for Kugyol Studies KCI등재
      2014-12-0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Kugyol Studies -> Kugyol Studies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6-17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Kugyol Studies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4 0.74 0.7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1 0.61 1.719 0.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