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청소년 행복감에 관한 연구 = 청소년탄력성모델(Adolescent Resilience Model)의 적용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6013975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건강과 탄력성의 중요성에 초점을 둔 청소년탄력성모델(Adolescent Resilience Model)을 검증하여 청소년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건강과 탄력성의 중요성에 초점을 둔 청소년탄력성모델(Adolescent Resilience Model)을 검증하여 청소년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 청소년탄력성모델의 한국청소년에의 적용가능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청소년정책 연구원의 한국 아동?청소년패널조사(KCYPS)의 중학교 1학년과 그들의 학부모 각각 2,351명 데이터를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 건강 요인 중 주관적 건강과 행복감 사이에서 탄력성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매개효과를 가짐이 발견되었다. 둘째, 자아존중감은 탄력성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탄력성을 매개로 행복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 가족요인인 부모의 양육행동은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통하여 탄력성에 미치는 간접효과가 정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넷째, 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요인인 또래관계 및 교사관계, 지역사회관계가 자아존중감과 탄력성에 이르는 경로가 정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매개효과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분석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청소년의 행복감에 탄력성과 관련된 다양한 요인의 영향 중에서, 특히 청소년의 건강요인이 탄력성을 통해 행복감에 영향을 미침을 보여준다. 청소년의 행복감 증진을 위해 건강 상태와 탄력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 및 직접적인 개입 노력이 필요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plore the factors affecting the happiness of adolescents by examining the Adolescent Resilience Model (ARM), which focuses on the importance of health and resilience among factors affecting happiness among adolesc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plore the factors affecting the happiness of adolescents by examining the Adolescent Resilience Model (ARM), which focuses on the importance of health and resilience among factors affecting happiness among adolescents, and to examine the applicability of the ARM among Korean adolescents. The data, consisting of 2,351 first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and 2,351 of their parents/guardians was taken from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KCYPS) of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of South Korea. The data was then analyzed us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results indicate that: First, resilience was foun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from subjective health to happiness. Second, self?esteem had a positively significant impact on resilience and had a positive impact on happiness. Third, parenting behaviors, a family factor that affects resilience, affected resilience through self?esteem as a mediator. Fourth, the pathways of relationships with peers, teachers, and communities, all of which are social factors that affect resilience, were positively significant in regards to self?esteem and resilience. The mediating effect of resilience toward happiness was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se findings imply that among the various resilience?related factors which impact upon the level of adolescent happiness, health factors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happiness through the mediating effect of resilience. To promote greater happiness amongst adolescents, program and intervention efforts need to be directed at improving both their health conditions and resilience level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초록
      • I. 서론
      • II.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고찰
      • III. 연구 방법
      • IV. 연구 결과
      • 초록
      • I. 서론
      • II.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고찰
      • III. 연구 방법
      • IV. 연구 결과
      • V. 결론 및 논의
      • 참고문헌
      • ABSTRACTS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