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증례 : 대장 샘암종 환자에서 이시성으로 발생한 간의 샘편평세포암종 1예 = Case Reports : An adenosquamous carcinoma of the Liver that developed metachronously in a patient with a colon adenocarcinom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37294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간의 원발성 샘편평세포암종은 드물게 발생하며, 간의 다른 원발성 종양보다 불량한 예후를 가지고 있다. 저자들은 상행결장암으로 수술 후 항암화학요법 중 우연히 발견된 간의 원발성 샘...

      간의 원발성 샘편평세포암종은 드물게 발생하며, 간의 다른 원발성 종양보다 불량한 예후를 가지고 있다. 저자들은 상행결장암으로 수술 후 항암화학요법 중 우연히 발견된 간의 원발성 샘편평세포암종을 경험하였기에 보고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 primary adenosquamous carcinoma of the liver is a rare subtype of a cholangiocarcinoma. Adenosquamous carcinoma is known to have an aggressive biologic behavior and is associated with a poor prognosis. Recently, we experienced a case of a primary ad...

      A primary adenosquamous carcinoma of the liver is a rare subtype of a cholangiocarcinoma. Adenosquamous carcinoma is known to have an aggressive biologic behavior and is associated with a poor prognosis. Recently, we experienced a case of a primary adenosquamous carcinoma of the liver. A 69-year-old man was subjected to a right hemicolectomy five months ago due to an ascending colon cancer. At a periodic check-up, abdominal ultrasonography and magnetic resonance imaging showed a ~1.1 cm-sized hepatic mass which was highly suspicious of being a hepatic metastasis from the ascending colon cancer. A hepatic segmentectomy was performed. The tumor was microscopically composed of an adenocarcinoma and a squamous cell carcinoma, and it was different from the previous colon cancer as determined by immunohistochemistry. Three months after the hepatic segmentectomy, multiple hepatic metastasis was found and the patient has been treated as an outpatient with capecitabine. (Korean J Med 72:74-78, 2007)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전윤경, "결장암의 해부학적 위치에 따른 Cytokeratin 7과 20의 발현 양상 및 담관암종과의 감별 진단" 대한병리학회 36 (36): 146-153, 2002

      2 이순진, "간의 선편평상피암: 1예 보고" 36 : 129-131, 1997

      3 구미진, "간에 발생한 원발성 샘편평세포암종 1예" 대한간학회 11 (11): 86-89, 2005

      4 안국찬, "간에 발생한 Adenosquamoous Carcinoma 1예" 47 : 1034-1037, 1994

      5 이영두, "간농양의 임상양상을 보인 간의 원발성 선편평상피암종 1예" 5 (5): 103-, 1999

      6 Demir G, "Primary adenosquamous carcinoma of the liver: case with the longest survival" 39 : 924-925, 2005

      7 Suzuki E, "Primary adenosquamous carcinoma of the liver: case report" 9 : 769-773, 2002

      8 Takahashi H, "Primary adenosquamous carcinoma of liver resected by right trisegmemtectomy: report of a case and review of the literature" 32 : 843-847, 1997

      9 Yeh CN, "Adenosquamous carcinoma of the liver: clinicopathologic study of 10 surgicallly treated cases" 27 : 168-172, 2003

      10 Maeda T, "Adenosquamous carcinoma of the liver: clinicopathologic characteristics and cytokeratin profile" 80 : 364-371, 1997

      1 전윤경, "결장암의 해부학적 위치에 따른 Cytokeratin 7과 20의 발현 양상 및 담관암종과의 감별 진단" 대한병리학회 36 (36): 146-153, 2002

      2 이순진, "간의 선편평상피암: 1예 보고" 36 : 129-131, 1997

      3 구미진, "간에 발생한 원발성 샘편평세포암종 1예" 대한간학회 11 (11): 86-89, 2005

      4 안국찬, "간에 발생한 Adenosquamoous Carcinoma 1예" 47 : 1034-1037, 1994

      5 이영두, "간농양의 임상양상을 보인 간의 원발성 선편평상피암종 1예" 5 (5): 103-, 1999

      6 Demir G, "Primary adenosquamous carcinoma of the liver: case with the longest survival" 39 : 924-925, 2005

      7 Suzuki E, "Primary adenosquamous carcinoma of the liver: case report" 9 : 769-773, 2002

      8 Takahashi H, "Primary adenosquamous carcinoma of liver resected by right trisegmemtectomy: report of a case and review of the literature" 32 : 843-847, 1997

      9 Yeh CN, "Adenosquamous carcinoma of the liver: clinicopathologic study of 10 surgicallly treated cases" 27 : 168-172, 2003

      10 Maeda T, "Adenosquamous carcinoma of the liver: clinicopathologic characteristics and cytokeratin profile" 80 : 364-371, 1997

      11 Tomioka T, "Adenosquamous carcinoma of the liver" 82 : 1203-1206, 1987

      12 Petrelli NJ, "Adenosquamous carcinoma of colon and rectum" 39 : 1265-1268, 1996

      13 Nakajima T, "A histopathologic study of 102 cases of intrahepatic cholangiocarcinoma: histologic classification and modeds of spreading" 19 : 1228-1234, 1988

      14 Kobayashi M, "A clinicopathologic study of primary adenosquamous carcinoma of the liver" 39 : 544-548, 2005

      15 Nakajima T, "A clinicopathologic study of intrahepatic cholangiocarcinoma containing a component of SCC" 65 : 1401-1404, 1990

      16 Kwon OS, "A case of primary adenosquamous carcinoma of the liver presented with liver abscesses" 16 : 270-273, 200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계속평가)
      202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8-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5-15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Medicine -> The Korean Journal of Medicine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1 0.1 0.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11 0.1 0.259 0.0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