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맞벌이 가정의 일·가정양립과 행복수준에 관한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712164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8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18

      • 작성언어

        한국어

      • DDC

        640 판사항(22)

      • 발행국(도시)

        서울

      • 기타서명

        A study on work-family balance and happiness level of dual career families

      • 형태사항

        viii, 101 p. ;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계선자
        권말부록: 설문지
        참고문헌: p. 78-88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숙명여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오늘날 여성의 경제 활동 참여가 증가하고, 양성평등 의식이 확산됨에 따라 남성과 여성이 모두 일과 가정생활을 병행하는 시대가 되었다. 일과 가정은 개인 생애의 두 축으로서, 일과 가정의 양립은 가족의 행복을 위해 매우 중요하다. 일과 가정이라는 두 생활영역에서 비롯되는 역할을 여러 가지 이유로 인해 양립할 수 없을 때, 개인적 차원에서는 일과 가족 갈등이 생겨서 가족 문제가 나타나고, 이러한 가족문제해결을 위한 여성의 직장 포기는 여성들의 경력단절로 이어져 자신의 능력 개발을 할 수 없는 등 삶의 질 저하로 연결되어 결국 행복수준의 저하로 이어지는 것으로 나타난다. 기업의 측면에서는 일·가정양립이 어려워지면 직무만족도가 낮아지게 되고, 이로 인하여 노동력의 이탈이 생겨 기업의 생산성을 저하시킨다. 그리고 국가적 차원에서는 맞벌이 가정의 부부들이 일·가정양립의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 중의 하나로 출산을 기피하여 저출산·고령화로 이어져 생산가능인구의 감소라는 심각한 문제를 초래하게 된다.
      일·가정양립이 가정의 행복수준에 영향을 준다는 사실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맞벌이 가정을 대상으로 일·가정양립과 행복수준을 분석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요인을 파악하여, 맞벌이 가정의 일·가정양립과 행복수준 간의 구체적인 관계를 규명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맞벌이 가정의 일·가정양립 논의를 확장하고, 일·가정양립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여 정책 수립과 인식의 개선 및 확산, 그리고 행복수준의 향상을 위한 의미 있는 자료를 제공하는 데 본 연구의 의의를 둔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에 거주하며 자녀가 있는 20대, 30대, 40대 맞벌이가정의 부부로 한정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설문은 전문 온라인 리서치 기관에 의뢰하여 2017년 1월 17일부터 1월 24일까지 8일 동안 예비조사 42부를 진행하고, 이를 토대로 질문지를 수정, 보완하였다. 본 조사는 2017년 1월 31일부터 2월 15일까지 3주간 총 630명에게 실시되었다. 자료의 객관성과 타당성을 위해 성별과 직업유형을 고려한 비례할당으로 표본을 추출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부실 기재 된 설문 없이 630부의 설문지를 최종표본으로 분석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PC WIN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그 중 Cronbach's α 신뢰계수,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 VIF지수,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를 산출하였으며, t-test, 일원분산분석(ANOVA), 사후검증법(Duncan's Multiple Range Test), 위계적 회귀분석(Hierarchical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와 논의를 통해 도출된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일·가정양립 수준의 일반적인 경향을 살펴보면 전체적인 평균은 5점 만점에 3.38로, 전반적으로 보통 이상의 수준으로 나타났다. 또한 행복수준의 일반적인 경향은 5점 만점에 3.21로 나타나 비교적 행복수준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조사대상자의 사회경제적 변인에 따른 일·가정양립을 살펴본 결과, 여성이 남성보다 일·가정양립수준이 높았고, 교육수준에 따른 일·가정양립은 대졸이상집단이 다른 집단보다 하위영역인 일·가정균형수준이 높게 나왔다. 직업유형에 따른 일·가정양립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공무원집단이 다른 집단 보다 하위영역인 일·가정균형수준이 높게 나왔다. 월평균소득에 따른 일·가정양립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소득수준이 높을수록(300만원~399만원집단과 400만원이상집단) 하위영역인 일·가정균형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일·여가균형수준도 소득수준이 높을수록(300만원~399만원집단과 400만원이상집단) 높게 나타났다. 심리·환경변인에 따른 일·가정양립을 살펴보면 전체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직무만족도 상집단은 일·가정균형 영역, 일·여가균형 영역, 일·개인생활균형 영역에서 다른 집단보다 일·가정양립수준이 높았다. 일·가정 양립 제도인식수준에서는 일·가정양립 제도인식수준 상집단, 중집단, 하 집단이 일·가정균형 영역 수준도 상, 중, 하의 순서로 나타났다. 일·가정양립 제도인식수준 상집단이 일·여가균형 영역과 일·개인생활균형 영역에서 각각 다른 집단보다 높게 나타났다. 부부의사소통도에서 높은 집단은 낮은 집단보다 일·가정균형수준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여 일·가정양립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조사대상자의 사회경제적 변인에 따른 행복수준을 살펴본 결과, 전체적으로 교육수준은 대졸이상 집단이, 직업유형은 공무원·공공기관종사자 집단이, 월평균소득은 소득수준이 높을수록(300만원~399만원집단과 400만원이상집단) 행복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교육수준을 살펴보면 대졸이상 집단이 다른 집단 보다 일상생활을 제외한 심리적 안정, 가족 및 결혼, 개인적 관계, 경제적 안정, 일, 건강의 영역에서 행복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직업유형의 경우에는 일상생활과 건강을 제외한 나머지 하위영역에서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공무원, 공공기관종사자집단이 다른 집단보다 심리적 안정, 가족 및 결혼, 개인적 관계, 경제적 안정, 일의 영역에서 행복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월평균소득을 살펴보면 모든 영역에서 소득수준이 높을수록(300만원~399만원집단과 400만원이상집단) 다른 집단 보다 행복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심리·환경변인에 따른 행복수준을 살펴보면, 전체적으로 모든 변인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직무만족도와 부부의사소통도가 높은 집단은 낮은 집단보다 심리적 안정, 가족 및 결혼, 개인적 관계, 일상생활, 경제적 안정, 일, 건강의 모든 영역 행복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가정양립 제도인식수준에서 심리적 안정, 가족 및 결혼, 개인적 관계, 경제적 안정, 건강의 영역에서 상집단의 행복수준이 가장 높고, 다음으로 중집단, 마지막 하집단의 순서로 행복수준이 높게 나타났으며, 일상생활과 일 영역에서는 상집단과 중집단이 하집단 보다 행복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맞벌이 가정의 일·가정양립수준과 행복수준 간에는 일·가정양립수준이 높으면 행복수준도 높아지는 유의한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다섯째, 맞벌이 가정의 행복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단계적 선택 방식의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직무만족도, 일·가정양립 제도인식, 부부의사소통도, 일·가정양립이 유의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 중에서 직무만족도는 영향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를 통해 자신의 직무에 만족하는 것과 가정의 행복수준은 상호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으므로 직무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다양한 교육 및 제도의 도입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다시 말해서 직무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가족친화적 기업환경의 조성 및 일·가정양립을 위한 정책의 개선을 통해 가정의 행복수준이 향상되면 궁극적으로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것이다.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는 한정된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기 때문에 일반화하여 해석하는 데에 한계가 따른다. 맞벌이 가정의 일·가정양립과 행복수준에 있어서 사회경제적 변인, 심리·환경 변인, 일·가정양립 변인만을 한정하여 살펴보았으므로, 그 외 다양한 변인들을 통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본 연구결과를 통해 확인된 부부의 의사소통과 직무만족, 일·가정양립 제도인식, 일·가정양립의 유의미한 영향을 기반으로 맞벌이 가정의 행복수준의 향상을 위해서 가족 친화적 제도의 조성 및 인식의 전환 그리고 시스템의 확립을 위하여 다각적인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번역하기

      오늘날 여성의 경제 활동 참여가 증가하고, 양성평등 의식이 확산됨에 따라 남성과 여성이 모두 일과 가정생활을 병행하는 시대가 되었다. 일과 가정은 개인 생애의 두 축으로서, 일과 가정...

      오늘날 여성의 경제 활동 참여가 증가하고, 양성평등 의식이 확산됨에 따라 남성과 여성이 모두 일과 가정생활을 병행하는 시대가 되었다. 일과 가정은 개인 생애의 두 축으로서, 일과 가정의 양립은 가족의 행복을 위해 매우 중요하다. 일과 가정이라는 두 생활영역에서 비롯되는 역할을 여러 가지 이유로 인해 양립할 수 없을 때, 개인적 차원에서는 일과 가족 갈등이 생겨서 가족 문제가 나타나고, 이러한 가족문제해결을 위한 여성의 직장 포기는 여성들의 경력단절로 이어져 자신의 능력 개발을 할 수 없는 등 삶의 질 저하로 연결되어 결국 행복수준의 저하로 이어지는 것으로 나타난다. 기업의 측면에서는 일·가정양립이 어려워지면 직무만족도가 낮아지게 되고, 이로 인하여 노동력의 이탈이 생겨 기업의 생산성을 저하시킨다. 그리고 국가적 차원에서는 맞벌이 가정의 부부들이 일·가정양립의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 중의 하나로 출산을 기피하여 저출산·고령화로 이어져 생산가능인구의 감소라는 심각한 문제를 초래하게 된다.
      일·가정양립이 가정의 행복수준에 영향을 준다는 사실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맞벌이 가정을 대상으로 일·가정양립과 행복수준을 분석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요인을 파악하여, 맞벌이 가정의 일·가정양립과 행복수준 간의 구체적인 관계를 규명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맞벌이 가정의 일·가정양립 논의를 확장하고, 일·가정양립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여 정책 수립과 인식의 개선 및 확산, 그리고 행복수준의 향상을 위한 의미 있는 자료를 제공하는 데 본 연구의 의의를 둔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에 거주하며 자녀가 있는 20대, 30대, 40대 맞벌이가정의 부부로 한정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설문은 전문 온라인 리서치 기관에 의뢰하여 2017년 1월 17일부터 1월 24일까지 8일 동안 예비조사 42부를 진행하고, 이를 토대로 질문지를 수정, 보완하였다. 본 조사는 2017년 1월 31일부터 2월 15일까지 3주간 총 630명에게 실시되었다. 자료의 객관성과 타당성을 위해 성별과 직업유형을 고려한 비례할당으로 표본을 추출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부실 기재 된 설문 없이 630부의 설문지를 최종표본으로 분석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PC WIN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그 중 Cronbach's α 신뢰계수,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 VIF지수,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를 산출하였으며, t-test, 일원분산분석(ANOVA), 사후검증법(Duncan's Multiple Range Test), 위계적 회귀분석(Hierarchical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와 논의를 통해 도출된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일·가정양립 수준의 일반적인 경향을 살펴보면 전체적인 평균은 5점 만점에 3.38로, 전반적으로 보통 이상의 수준으로 나타났다. 또한 행복수준의 일반적인 경향은 5점 만점에 3.21로 나타나 비교적 행복수준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조사대상자의 사회경제적 변인에 따른 일·가정양립을 살펴본 결과, 여성이 남성보다 일·가정양립수준이 높았고, 교육수준에 따른 일·가정양립은 대졸이상집단이 다른 집단보다 하위영역인 일·가정균형수준이 높게 나왔다. 직업유형에 따른 일·가정양립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공무원집단이 다른 집단 보다 하위영역인 일·가정균형수준이 높게 나왔다. 월평균소득에 따른 일·가정양립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소득수준이 높을수록(300만원~399만원집단과 400만원이상집단) 하위영역인 일·가정균형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일·여가균형수준도 소득수준이 높을수록(300만원~399만원집단과 400만원이상집단) 높게 나타났다. 심리·환경변인에 따른 일·가정양립을 살펴보면 전체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직무만족도 상집단은 일·가정균형 영역, 일·여가균형 영역, 일·개인생활균형 영역에서 다른 집단보다 일·가정양립수준이 높았다. 일·가정 양립 제도인식수준에서는 일·가정양립 제도인식수준 상집단, 중집단, 하 집단이 일·가정균형 영역 수준도 상, 중, 하의 순서로 나타났다. 일·가정양립 제도인식수준 상집단이 일·여가균형 영역과 일·개인생활균형 영역에서 각각 다른 집단보다 높게 나타났다. 부부의사소통도에서 높은 집단은 낮은 집단보다 일·가정균형수준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여 일·가정양립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조사대상자의 사회경제적 변인에 따른 행복수준을 살펴본 결과, 전체적으로 교육수준은 대졸이상 집단이, 직업유형은 공무원·공공기관종사자 집단이, 월평균소득은 소득수준이 높을수록(300만원~399만원집단과 400만원이상집단) 행복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교육수준을 살펴보면 대졸이상 집단이 다른 집단 보다 일상생활을 제외한 심리적 안정, 가족 및 결혼, 개인적 관계, 경제적 안정, 일, 건강의 영역에서 행복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직업유형의 경우에는 일상생활과 건강을 제외한 나머지 하위영역에서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공무원, 공공기관종사자집단이 다른 집단보다 심리적 안정, 가족 및 결혼, 개인적 관계, 경제적 안정, 일의 영역에서 행복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월평균소득을 살펴보면 모든 영역에서 소득수준이 높을수록(300만원~399만원집단과 400만원이상집단) 다른 집단 보다 행복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심리·환경변인에 따른 행복수준을 살펴보면, 전체적으로 모든 변인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직무만족도와 부부의사소통도가 높은 집단은 낮은 집단보다 심리적 안정, 가족 및 결혼, 개인적 관계, 일상생활, 경제적 안정, 일, 건강의 모든 영역 행복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가정양립 제도인식수준에서 심리적 안정, 가족 및 결혼, 개인적 관계, 경제적 안정, 건강의 영역에서 상집단의 행복수준이 가장 높고, 다음으로 중집단, 마지막 하집단의 순서로 행복수준이 높게 나타났으며, 일상생활과 일 영역에서는 상집단과 중집단이 하집단 보다 행복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맞벌이 가정의 일·가정양립수준과 행복수준 간에는 일·가정양립수준이 높으면 행복수준도 높아지는 유의한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다섯째, 맞벌이 가정의 행복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단계적 선택 방식의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직무만족도, 일·가정양립 제도인식, 부부의사소통도, 일·가정양립이 유의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 중에서 직무만족도는 영향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를 통해 자신의 직무에 만족하는 것과 가정의 행복수준은 상호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으므로 직무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다양한 교육 및 제도의 도입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다시 말해서 직무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가족친화적 기업환경의 조성 및 일·가정양립을 위한 정책의 개선을 통해 가정의 행복수준이 향상되면 궁극적으로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것이다.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는 한정된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기 때문에 일반화하여 해석하는 데에 한계가 따른다. 맞벌이 가정의 일·가정양립과 행복수준에 있어서 사회경제적 변인, 심리·환경 변인, 일·가정양립 변인만을 한정하여 살펴보았으므로, 그 외 다양한 변인들을 통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본 연구결과를 통해 확인된 부부의 의사소통과 직무만족, 일·가정양립 제도인식, 일·가정양립의 유의미한 영향을 기반으로 맞벌이 가정의 행복수준의 향상을 위해서 가족 친화적 제도의 조성 및 인식의 전환 그리고 시스템의 확립을 위하여 다각적인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 = 1
      • 2. 연구의 목적 = 4
      • Ⅱ. 이론적 배경 = 6
      • 1. 맞벌이 가정의 의미와 현황 = 6
      • Ⅰ.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 = 1
      • 2. 연구의 목적 = 4
      • Ⅱ. 이론적 배경 = 6
      • 1. 맞벌이 가정의 의미와 현황 = 6
      • 1) 맞벌이 가정의 의미 = 6
      • 2) 맞벌이 가정 현황 = 7
      • 2. 일가정양립의 개념과 정의 및 선행연구 = 9
      • 1) 일가정양립의 개념과 정의 = 9
      • 2) 맞벌이 가정의 일가정양립에 관한 선행연구 = 10
      • 3. 맞벌이 가정의 일가정양립 관한 정책 및 지원제도 = 12
      • 1) 맞벌이 가정의 일가정양립에 관한 정책 = 12
      • 2) 일가정양립 지원제도 = 20
      • 4. 맞벌이 가정의 행복수준 = 24
      • 1) 행복의 개념 및 구성요소 = 24
      • 2) 맞벌이 가정의 행복수준에 관한 실태 및 연구 = 29
      • 5. 맞벌이 가정의 행복수준에 영향을 주는 제 변인 = 32
      • 1) 사회경제적 요인 = 32
      • 2) 부부의사소통도 요인 = 34
      • 3) 직무만족도 요인 = 35
      • 3) 일가정양립 제도인식 요인 = 36
      • Ⅲ. 연구문제 및 연구모형의 구성 = 37
      • 1. 연구문제 = 37
      • 2. 연구모형 = 38
      • 3. 용어의 정의 = 39
      • Ⅳ. 연구방법 = 41
      • 1. 조사도구의 구성 = 41
      • 2. 조사도구의 신뢰도 = 45
      • 3. 조사대상 및 자료수집 = 46
      • 4. 자료의 분석방법 = 46
      • Ⅴ. 연구결과 = 48
      • 1. 조사대상자의 특성 = 48
      • 2. 맞벌이 가정의 일가정양립 및 행복수준의 일반적 수준 = 50
      • 3. 맞벌이 가정의 배경변인에 따른 일가정양립 = 51
      • 4. 맞벌이 가정의 행복수준 = 56
      • 5. 일가정양립과 행복수준간의 상관관계 = 61
      • 6. 맞벌이 가정의 행복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제 변인군의 상대적 영향력 = 62
      • Ⅵ. 결론 및 제언 = 66
      • 1. 요약 = 66
      • 2. 결론 = 69
      • 3. 연구의 제한점 및 제언 = 76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슈브리핑, 변재일, 민주정책연구원, 13, 2-7, , 2014

      2. 『결혼과 가족』, 옥선화, 하우, 서울 : 하우, , 2006

      3. 맞벌이가족의 일-가족양립 지원, 홍승아, 참여연대사회복지위원회, 복지동향, 137호, 18-21, , 2010

      4. 남성의 일-가정 양립 실태와 요구도, 송혜림,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6(2), 1-18, , 2012

      5. 여성의 우울과 삶의 질에 관한 연구, 조미영,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석사 학위논문, , 2000

      6. 한국에서 ‘워킹맘’으로 살아가기, 노성숙, 한영주, 유성경, 한국심리학회, 한국심리 학회지, 24(2), 365-395, , 2012

      7. 시장은 정말 우리를 행복하게 하는가, 이정전, 한길사, , 2002

      8. 직장인의 성공에 대한 인식과 시사점, 조희경,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2014

      9. 서울시민의 행복과 사회자본 관계 분석, 김미현(Mi Hyeon Kim), 정명은(Myung Eun Jeong), 장용석(Yong Suk Jang), 서울연구원, 서울 도시연구, 15(1), 163-186, , 2014

      10. 여성취업자 증가원인의 분석 및 시사점, 이찬영, SERI경제포커스, 제352호. 삼성경제연구소, , 2011

      11. 육아휴직제도의 활용 실태와 개선 방향, 이동선, 이화여자대학교 정책과학대학원,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2007

      12. 저출산·고령화시대의 일가정 양립정책, 김혜원, 노동리뷰, 64, 5-22, , 2010

      13. 지속가능한 발전과 일가정양립 정책연구, 김태홍, 한국여성정책연구원, 1-36, , 2009

      14. 인간의 행복지수와 녹색정책에 관한 연구, 유영초, 석사학위논문, 한국외국어대 학교 정치행정언론대학원 공공정책학과, , 2012

      15. 부부 성역할이 결혼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이철인, 대구한의대학 교 박사학위논문, , 2010

      16. 육아기 맞벌이 남성의 일.가정 양립 경험 연구, 채화영, 서울대학교 대학원,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2012

      17. 기혼여성의 재량시간 활용과 시간관리 실태연구, 박 건, 서울시여성가족재단, 서울시여성 가족재단, , 2016

      18. 20-40대 직장여성의 일과 여가 그리고 행복의 관계, 오세숙, 김종순, 윤소영, 여가문화학회, 여가학연구, 14(4), 67-85, , 2016

      19. 기혼직장인의 직장-가정의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이기영, 정수인, 서울대학교 대학원, 서울대 학교 석사학위논문, , 2006

      20. 남녀대학생의 강점, 가족건강성과 행복과의 관계, 김민경, 한국가족관계학회, 한국가 족관계학회지, 16(4), 47-68, , 2012

      21. 농촌지역 특성을 고려한 행복지수 개발방안 연구, 김동용, 배웅규, 윤용우, 정동섭, 한국도시설계학회, 한국도시설계학회지, 14(5), 113-126, , 2013

      22. 소도시 환경적 특성을 고려한 행복지수 분석연구, 김동용, 중앙대학교 대학원,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2014

      23. 직장 유형에 따른 취업주부의 일-가족 균형 지 각, 진미정, 성미애, 한국가정관리학회,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0(4), 13-24, , 2012

      24. 근로자의 일-생활 균형과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심지양, 울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2011

      25. 기혼여성의 직장, 가정균형과 삶의 질의 상호관계, 권태희, 김난주, 여성연구, 76(1), 43-70, , 2009

      26. “일∙가정 양립을 위한 근로시간관련법제 연구”, 선민정,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2009

      27. 노인과 예비노인의 가정건강성과 행복에 관한 연구, 곽인숙, 대한가정학회, 대한 가정학회지, 51(1), 1-18, , 2013

      28. 직장인의 일과 가족의 균형 및 갈등과 삶의 질 연구, 류현주, 울 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2011

      29. 돈 버는 여자, 애 못 보는 남자 : 양육지원 정책 제언, 김선미, 2005 한국가정관리학회 37차 춘계학술대회, 119-141, , 2005

      30. 시간적 차원에서 본 베이비붐 세대의 행복수준 연구, 박미려,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2015

      31. 일가족양립정책의 국제비교연구 및 한국의 정책과제, 송다영, 류연규, 김현숙, 홍승아, 김영미, 최숙희, 한국여성정책연구원(구 한국여성개발원), 한국여성정책연구원, , 2008

      32. 한국 성인의 행복한 삶의 구성요인 탐색 및 척도개발, 차경호, 김혜원, 김명소, 한영석, 임지영, 한국심리학회, 한국심리학회지 : 건강, 8(2), 415-442, , 2003

      33. “한국인의 행복 결정요인과 행복지수에관한 연구.”, 김승권, 한국보건사회연구원, 한국보건사회 연구원 연구보고서, , 2008

      34. 성평등 관점에서 본 한국 일가정양립정책의 발전과제, 홍승아, 한 국사회복지정책학회, 30-46, , 2014

      35. 맞벌이부부의 가정-직장 균형과 여가활동에 관한 연구, 윤대혁,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인적자원관리연구, 15(1), 87-109, , 2008

      36. 성인의 평생학습을 통한 행복과 행복요인의 관계 분석, 고은현, 이성, 한국교육방법학회, 교육방법연구, 26(4), 851-870, , 2014

      37. 가족 친화적 정책이 출산율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나진구,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2009

      38. 기혼근로자의 일 가정 양립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김은하,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2014

      39. 맞벌이부부의 가사노동시간과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이기영, 한국가정관리학회,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2(5), 265-281, , 2004

      40. 일, 가정 양립지원정책의 통합적 정책설계에 대한 제안, 김미경, 상명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상명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5, 1-21, , 2008

      41. 한국 사회에서 삶의 질을 구성하는 요인들에 대한 탐구, 박영신, 김의철,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한국심리학회지, 12(5), 1-28, , 2006

      42. 지역별 기혼여성의 일가족양립갈등에 대한 탐색적 연구, 이진숙, 신지연, 충남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충남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사회과학연구, 21(3), 107-132, , 2010

      43. 여성근로자의 일 가정 양립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황미라,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2010

      44. 『맞벌이 부부의 시간배분을 통해 본 일-생활 유형 연구』, 김주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서울대 학교 박사학위논문, , 2012

      45. 재화소비와 경험소비에서 나타나는 소비자행복 수준 비교, 김난도, 전미영,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소비자정책교육연구, 7(2), 55-75, , 2011

      46. 신입사원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영향을 주는 요인 분석, 성갑영, 울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2014

      47. 여성근로자의 육아휴직제도 활용 및 근로지속에 관한 연구, 계민지,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2017

      48. 일 가정양립 출산장려정책이 출산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정희,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2015

      49. 일가족양립 정도에 대한 인식:집단간 비교 분석을 중심으로, 송다영, 김은지, 장수정, 한국사회복지학회, 한국사회복지학회지, 61(2), 349-370, , 2009

      50. 초과근무에 의한 직장-가정 갈등이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 이두영, 서강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2003

      51. 한국의 복지체제와 젠더 : 일가족양립정책 개혁을 중심으로, 김영미, 한국사회보장학회, 사회 과학연구, 25(4), 281-305, , 2009

      52. 유아교육기관에서의 부모교육 실태와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도미향, 마미정, 한국부모교육학회, 부모교육연구, 2(1), 23-37, , 2005

      53. 『기혼여성의 출산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박현주,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2006

      54. 기혼 취업 여성의 일-가족 전이에 대한 연령계층별 차이 연구, 류임량, 한국여성연구소, 9(2), , 2009

      55. “복지국가의 탈가족화와 출산율의 관계에 대한 비교 연 구”, 류연규,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2005

      56. 개인특성, 스트레스 및 부부간 의사소통과 결혼만족도의 관계, 이정은, 이영호, 한국심리학회, 한국심리학회지, 19(3), 531-548, , 2000

      57. 육아휴직의 사용과 인식에 관한 연구 : 공무원과 회사원의 비교, 윤정민,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2005

      58. 사티어 성장모델의 일치성이 부부의 결혼만족도에 미치 는 영향, 김세련, 이인수, 한국가족치료학회, 상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2010

      59. 부부의 경제 및 가사역할의 수행과 인식 수준에 따른 결혼만족도, 김현주, 한국가족학회, 가족과문화, 15(1), 97-130, , 2003

      60. 신정이 자녀를 둔 맞벌이부부의 역할갈등과 삶의 질에 관한 연구, 황혜원, 한국가족복지학, 14(1), 45-71, , 2009

      61. 기혼 남성의 삶의 질에 관한 연구 - 직업 및 가족 변인을 중심으로, 이숙현, 서혜영, 한국가족학회, 가족과 문화, 14(2), 3-30, , 2002

      62. 맞벌이 가정의 부모교육 요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 한 연구, 박정임,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경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2017

      63. 맞벌이부부의 일상활동정서와 행복 : 플로우(Flow)경험을 중심으로, 이규호, 서울대학교 대학원,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2011

      64. 일 가정 양립지원정책의 개선에 관란 연구 : 육아지원을 중심으로, 이정현,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2011

      65. 기혼남녀근로자의 일 가족 균형과 관련요인 : 남녀차이를 중심으로, 한경혜, 장미나, 가족과 문화, 21(1), 85-115, , 2009

      66. 기혼취업여성의 일-가족 균형감과 지원용이도 요 구도에 관한 연구, 정영금, 한국가정관리학회,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4(2). 107-118, , 2006

      67. 성별에 따른 농촌부부의 행복정도와 가족건강성 변인의 효과 연 구, 양순미, 한국가족관계학회, 한국가족관계학회지, 9(2), 153-172, , 2004

      68. 맞벌이 부부의 가사분담이 남편과 부인의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유계숙, 이주현, 강수향, 오아림,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15(1), 117-136, , 2011

      69. 맞벌이 부부의 가족친화적환경과 가정건강성이 행복에 미 치는 영향, 류승남, 충남대학교 대학원, 충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2014

      70. 기혼 취업여성의 일-가정 양립과 양육부담이 출산의도에 미치는 영향, 김삼례, 서울사회복지대학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2014

      71. 기혼직장여성의 개인 가족 및 직장 변인이 일 가정양립에 미치는 영향, 정순애,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2012

      72. 유자녀 취업여성이 경험하는 일-가정 균형에 관련된 변인에 대한 연구, 권보라, 박정윤, 장영은, 이승미, 한국가정관리학회,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9(2), 63-72, , 2011

      73. 남성과 여성의 행복감에 영향을 주는 요인 비교 - 부산지역을 중심으로, 최말옥,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사회과학연구, 27(2), 19-40, , 2011

      74. 가족친화제도와 남성근로자의 일-가족 갈등, 직무만족 도 및 생활만족도, 이옥순, 전남대학교 대학원, 전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2011

      75.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에 따른 여행사리더십과 조직유효성에 관한 연구, 김용구, 경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2008

      76. 『부부간 가사노동 분담과 공평성 인지도가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홍윤정,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1996

      77. 요양보호사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전라남도 지역을 중심으로, 김혜영, 한국사회복지연구회, 사회복지연구, 42(4), 35-59, , 2011

      78. 일 가정양립지원정책이 양육부담과 출산태도에 미치는 영 향에 관한 연구, 박길진, 명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2007

      79. “가족생활 주기에 따른 맞벌이 남녀의 성역할 태도와 결혼 만족도 연구”, 김은희,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한국가족복지학, 10, 99-119, , 2002

      80. 정부내 가족친화 고용정책 개선방안 : 출산휴가 육아휴직 제도를 중심으로, 문미경, 한국여성정책연구원, , 2009

      81. 맞벌이 가정의 일-가정 균형을 위한 기업의 가족친화정책 실시, 활용 및 요구, 김하늬, 윤소영, 고선강,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3(1), 1-21, , 2009

      82. 기혼 남성들의 가사노동 참여 유형에 관한 사례연구 : 맞벌이 부부를 중심으로, 문숙재, 조성은, 대한가정학회, 대한가정학회지, 36(1), 35-47, , 1998

      83. 노인의 여가활동 함가유형과 가족의 건강성 무력감, 자긍 심 및 행복감의 관계, 김경호, 국민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2004

      84. 중년 직장 남성의 가족관계, 가족외 관계 및 직무만족이 행복심리에 미치는 영향, 곽금주, 김경은, 최지영, 민하영, 전숙영, 한국인간발달학회, 인간 발달연구, 18(3), 115-133, , 2011

      85. 직장여성의 여가활동 참여동기 요인과 여가활동 특성이 행복수준에 미치는 영향, 한학진, 오평석, 강혜숙, 대한관광경영학회, 관광연구, 26(5), 495-513, , 2011

      86. 맞벌이 부부의 가사 및 자녀 양육 분담에 관한 연 구-억제 및 촉진 요인을 중심으로, 유계숙, 강학중, 한국가족학회, 가족과 문화, 17(3), 187-219, , 2005

      87. 도시주부의 재정 스트레스, 대처행동 및 경제복지감 연구 : 중류층 가계를 중심으로, 유을용,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2002

      88. 사회적 지원이 일-가정 상호관계 및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 향: 성별차이를 중심으로, 박지원,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2007

      89. 초등학생이 지각한 가족건강성과 주관적 행복감 수준에 따른 학교 생활적응의 차이, 김미영, 계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2011

      90. 육아휴직제도 이용실태 및 장애요인에 관한 연구 : 공공부문의 기혼여성을 중심으로, 김은정, 경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2005

      91. 가족친화적 조직문화가 직장-가정갈등과 직장 및 가정 생활 에 미치는 경로효과 검증, 방묘진,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2006

      92. 기혼여성의 일-가정 양립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사회적 지원의 효과를 중심으로, 김준기, 양지숙, 서울대학교 한국행정연구소, 행정논총, 50(4), 251-280, , 2012

      93. 기혼여성의 직장-가정 갈등과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감성리 더십의 매개효과 검증, 이숙정, 부산대학교 여성연구소, 여성학연구, 21(2), 81-112, , 2011

      94. 가족친화적 조직문화와 직무만족의 영향관계 실증연구 : 한중일 3개국 비교연구학위논문, 김은정, 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2011

      95. 일-생활균형정도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대구지역 비영리기관 종사자를 중심으로, 서종수, 대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2009

      96. 가족정책의 성 통합적 재구조화: 노동주체의 관점에 근거한 일과 가족의 양립을 중심으로, 윤홍식(Yoon Hong-Sik), 한국사회복지학회, 한국사회복지학, 57(4), 291-319, , 2005

      97. 불규칙 근무 직종 근로자의 일-가족 갈등, 직무 스트레스, 가족친화제도 이용에 관한 연구, 안은진,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2009

      98. 부부의 역할태도가 부부의 가사노동시간 및 노동공평성 인지에 미치는 상호작용적 영향력, 차성란, 대한가정학회지, 36(9), 122-139, , 1998

      99. 한국 성인남녀가 행복에 이르는 길: 직업성 취, 자녀성공, 정서적 지원과 자기효능감의 영향, 김의철, 박영신, 한국심리학회, 한국심리학회지, 15(3), 467-495, , 2009

      100. 맞벌이 부부의 일-가정 균형 인식과 가정의 건강성 인식 의 관계성 연구 : 남녀비교를 중심으로, 김혜진, 가톨릭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2013

      101. 취업기혼여성의 일 - 가정갈등과 직업 및 생활만족도 - 생산직과 사무직 기혼여성을 중심으로 -, 조희금 ( Hee Keum Cho ), 대한가정학회, 대한가정학회지, 37(2), 147-158, , 1999

      102. 변혁적 리더십이 호텔종사원의 임파워먼트와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권형섭, 안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2007

      103. 성취동기와 가족친화제도가 기혼 여성의 직장-가정 갈등과 경력몰입에 미치는 조절변인의 효과, 강혜련, 임희정, 한국심리학회, 한국심리학회지, 5(2), 1-14, , 2000

      104. 변혁적 리더십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직무 및 개인특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김창규, 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2009

      105. 일 가정양립을 위한 지원정책 강화방안에 관한 연구 : 충 청북도 산하 출자 출현기관을 중심으로, 고선주, 충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2017

      106. 기혼 직장인의 직장-가정갈등이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 경력계획과 성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김오현, 임효창, 이봉세, 대한경영학회, 대한경영학회지, 18(1), 421-442, , 2005

      107. 맞벌이 가정의 일-가정 균형을 위한 가정생활 영역의 정 책적 요구 : 자녀돌봄 및 가사노동을 중심으로, 서지원, 조희금,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한국가족자원 경영학회지, 13(1), 61-81, , 2009

      108. 사회 경제적 요인과 기혼여성 행복 간 관계:개별성-관계성의 조절효과 및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검증, 노안영, 정은의, 한국심리학회, 한국심리 학회지, 26(1), 59-82, , 2007

      109. 직장에서 경험한 강한 감정의 전이(spilover)와 교차전이 (crossover) : 시카고 지역 맞벌이 부부를 중심으로, 김여진, 한국사회복 지학, 60(3). 253-274, , 2008

      110. 기혼여성 근로자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 일 가정양립갈등인식의 조절절효과를 중심으로, 양준영,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2017

      111. 청소년기 자녀를 둔 맞벌이 중년기 부부의 직업, 부모자녀 관계, 부부관계 변인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정상미, 상명대학교 대학원, 상명대학교 석사학 위논문, , 2013

      112. 기혼 취업 여성의 사회적 지지와 일-가족 갈등 및 향상의 관계에서 문제-중심 대처와 우울정서의 매개효과, 조윤진, 유성경, 한국심리학회, 한국심리학회지, 24(2), 441-463, , 2012

      113. 가족친화적 기업정책이 근로자의 일-가족 조화, 인적자원성과,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경로모형 검증, 유계숙 ( Gye Sook Yoo ), 최성일 ( Sung Il Choi ), 한국가족관계학회,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2(2), 1-26, , 2007

      114. 육아휴직제도 인식과 회사태도가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 향에 관한 연구 : 금융업계 여성근로자를 중심으로, 김경준, 서강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2014

      115. 직장여성의 직장-가정갈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연구 : 가족친화적 조직문화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김미숙, 제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2012

      116. 맞벌이 부부의 가정과 직장 간 역할갈등이 결혼만족도와 직무 몰입에 미치는 영향 : 개인특성 및 가족과 직정지원의 조절효과 중심, 최은영,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4(3), 29-60, , 200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