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날일(日)동원설(同源說)의 새로운 해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26965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proposes that the seemingly native Korean word for daytime, nac(nat) and that for day, nal are borrowings from Old Chinese (OC) pronunciation of ri (日), the character for sun. It claims that nac was the earlier form of nal because nac still preserves the consonantal coda of OC *njet, according to Wang Li's reconstruction, while nal already changed it into an -l, which is common in Sino-Korean. This article points out that Li Fang-kuei's reconstruction of ri, *njit also supports these ideas because a and i were possibly interchangeable in many languages in ancient Asia. This article claims against Li Ki-moon (1998) and Seo Cengbeom (2003) who believe that nal was derived from a Mongol word for sun, naran. It also rejects the analyses of Zheng Renjia (1983) and Jang Youngjun (2005), who proposed the same ideas before and after the current author.
      번역하기

      This article proposes that the seemingly native Korean word for daytime, nac(nat) and that for day, nal are borrowings from Old Chinese (OC) pronunciation of ri (日), the character for sun. It claims that nac was the earlier form of nal because nac s...

      This article proposes that the seemingly native Korean word for daytime, nac(nat) and that for day, nal are borrowings from Old Chinese (OC) pronunciation of ri (日), the character for sun. It claims that nac was the earlier form of nal because nac still preserves the consonantal coda of OC *njet, according to Wang Li's reconstruction, while nal already changed it into an -l, which is common in Sino-Korean. This article points out that Li Fang-kuei's reconstruction of ri, *njit also supports these ideas because a and i were possibly interchangeable in many languages in ancient Asia. This article claims against Li Ki-moon (1998) and Seo Cengbeom (2003) who believe that nal was derived from a Mongol word for sun, naran. It also rejects the analyses of Zheng Renjia (1983) and Jang Youngjun (2005), who proposed the same ideas before and after the current author.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뽑냘, "?켬?迦볶꾜刀돕?球탄붉定獨게?迦꾜충刀돨冬캡蘿긴" 憩굇: 櫓卵桔씩牘 刀喇欺桔씩杰 2002

      2 엄익상, "한자음 -l 운미 중국 방음 기원설의 문제" 29 : 21-41, 2001

      3 장영준, "한국어의 유음화와 언어 변화, 한국어 통사구조 새로 보기" 서울: 박이정 2000

      4 엄익상, "한국 고대한자 상고음설" 6 : 237-259, 1994

      5 엄익상, "중국언어학 한국식으로 하기" 서울: 한국문화사 2005

      6 장영준, "유음화규칙과 한국어 어원에 대한 고찰" 41-52, 2005a

      7 全廣鎭, "漢藏語同源詞綜探" 台北: 學生書局 1996

      8 鄭仁甲, "朝鮮語固有詞中的“漢源詞”試探" 10 : 197-222, 1983

      9 張日昇, "周法高上古音韻表" 台北: 三民書局 1973

      10 Eom, Ik-sang, "The Origin of Sino-Korean Coda -l" 11 : 114-115, 2002

      1 ??뽑냘, "?켬?迦볶꾜刀돕?球탄붉定獨게?迦꾜충刀돨冬캡蘿긴" 憩굇: 櫓卵桔씩牘 刀喇欺桔씩杰 2002

      2 엄익상, "한자음 -l 운미 중국 방음 기원설의 문제" 29 : 21-41, 2001

      3 장영준, "한국어의 유음화와 언어 변화, 한국어 통사구조 새로 보기" 서울: 박이정 2000

      4 엄익상, "한국 고대한자 상고음설" 6 : 237-259, 1994

      5 엄익상, "중국언어학 한국식으로 하기" 서울: 한국문화사 2005

      6 장영준, "유음화규칙과 한국어 어원에 대한 고찰" 41-52, 2005a

      7 全廣鎭, "漢藏語同源詞綜探" 台北: 學生書局 1996

      8 鄭仁甲, "朝鮮語固有詞中的“漢源詞”試探" 10 : 197-222, 1983

      9 張日昇, "周法高上古音韻表" 台北: 三民書局 1973

      10 Eom, Ik-sang, "The Origin of Sino-Korean Coda -l" 11 : 114-115, 2002

      11 Karlgren, Bernhard, "Compendium of Phonetics in Ancient and Archaic Chinese" 26 : 211-367, 1954

      12 Baxter, William H, "A Handbook of Old Chinese Phonology" Mouton fe Gruyter 199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3-05-21 학회명변경 한글명 : 변화없음 -> 한국중어중문학회
      영문명 : Korea Association of Chinese Language And Literature -> 미등록
      KCI등재
      2013-05-21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중어중문학회 -> 변화없음
      영문명 : The Chinese Language And Literature Society Of Korea -> Korea Association of Chinese Language And Literature
      KCI등재
      2013-05-2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Chinese Language and Literature -> Korea Journal of Chinese Language and Literature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2 0.32 0.2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6 0.22 0.575 0.1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