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朝鮮總督府 建築機構의 建築事業과 日本人 請負業者에 關한 硏究 = (A)study on the construction business managed by Chosun governor-general and Japanese construction contracto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11467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Chosun Governor-General planned and managed development of the construction of Korea, through public works projects, during Japan’s colonial rule of Korea. Japanese contractors monopolized the awarded government contracts by making use of their ...

      The Chosun Governor-General planned and managed development of the construction of Korea, through public works projects, during Japan’s colonial rule of Korea. Japanese contractors monopolized the awarded government contracts by making use of their close relationships with the contruction bureau and its officials involved in the Chosun Governor-General's business proceedings. Thus,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organization and staff of the contruction bureau, attached to the Chosun Governor-General, and to reveal the excessive arrogance and misbehavior of these Japanese contractors during this period.
      This study approaches this topic from a social and institutional background by reviewing key historical records and documents including the Architect and Accounting ; archives of NARS (National Archives & Record Service) recorded between 1926 and 1941.
      Since the Gabo Reform(甲午改革) of 1894, the government managed contruction organization, seeking the shift into modernization throughout the country, was divided into Gungnaebu(宮內府), the traditional and architectural artisan organization, and Uejungbu(議政府). However Japan outspokenly intervened to reduce the independence and collapse Gungnaebu(宮內府), and started to make inroads to Uejungbu(議政府) by naming it as 'Lighthouse Bureau Staff for Maritime Customs(海關燈臺局). That meant to start building outspoken construction organizations to be controled for the purposes of Japan's colonial occupation.
      The Japanese government had gained experience in colonial occupation through their history with Taiwan(臺灣) and Manchuria(滿洲). They then, with these cases in mind, elaborately planned and organized the architectural organizations that anticipated the colonial occupation of Korea such as: the Architecture Office Bureau in Takjibu(度支部 建築所), the Nautical Mark Bureau(航路標識管理所) and the Naejangwon Bureau(內藏院), the Civil Engineering Bureau(土木部). When Korea was colonized by Japan in 1910, these Japanese organizations were expanded and succeeded the Chosun Governor-General's architectural organizations.
      After that, the architectural bureau of Chosun Governor-General was repeatedly named to building and repair section in the 1910's, to construction one in the 1920's, and accounting one in the 1930's according to the revision of its organization, and achieved the construction business depending on the directions of the efficient colonial policy.
      The highest level technical bureaucrat, called Gisa(技師), who belonged to the architectural bureau of the Chosun Governor-General, undertook all responsibilities for the organization's business; from design to supervision and completion.
      In 1929, the organization of the Governor Gwanbang Accounting section(總督官房 會計課) for construction and repairs did not have divisions. But in 1934, it was separated into three departments : the 1st section, the 2nd section and the 3rd section for construction and repairs which each had a representitive, 笹慶一, 齋藤忠人, 菊川靜治 and 片岡侃 who took charge of the construction and repairs.
      The third section did not do independent construction projects, but equiped the 1st and the 2nd section for construction and repairs.
      In 1940, the architectural bureau of Governor Gwanbang Accounting section(總督官房 會計課) was divided again into 5 departments : the 1st section, the 2nd section, the 3rd section and the 4th for construction and repairs, and then 'affairs section of building and repairs' added to the organization.
      Also, Korean Gisoos(韓國人技手), advanced to the architectural bureau of Chosun Governor-General since Bakgilyong(朴吉龍)'s projects in 1921, performed various tasks such as equipment management, completion-connected inspections, and those activities related to construction.
      Their roles examining documents were done by supervisors or inspectors who did usual tasks along with from design business to all construction bureaucracies of Chosun Governor-General. This shows that Koreans played the equal roles in the achievement of business compared to Japanese.
      The construction business of Chosun Governor-General was more focused on the plundering and imposing taxes, integral to the colonialization than the modernization on Korea.
      Also, the architectural bureau of Chosun Governor-General provided Japanese contractors with an institutionally preferrencial monopoly by exploiting their close relationships. This established an ongoing criminal collusion between them.
      Therefore, positively and institutionally supported by Chosun Governor-General. Japanese contractors infiltrated the various industries of Chosun through the opening of treaty ports and railroad businesses, eventually dominating construction business of the Korea Peninsula. While they accumulated capital and technology and grew as international corporations, the construction industry of colonialized Chosun in a germinal stage of development lost all potential to grow like them. Consequently, the Korean construction industry could not become competitive yet and was even prevented from competition in the domestic industries.
      In conclusion, during Japan’s colonial rule of Korea, the Chosun Governor-General and Japanese contractors have left a negative legacy for the Korean construction industry such ascorrupted bureaucracy, collusion between politics and business , illegal and nefarious contracts. Today, there are many problems awaiting solutions within the Korean construction. For the future of Korea, it is necessary that this negative legacy be overcom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식민지 한국의 관영건축 생산을 주도하였던 조선총독부 건축기구와 건축사업의 실체 및 일본인 청부업자로 하여금 공사의 독점적인 수주를 가능케 해 준 제도적, 구조적 모순점...

      이 논문은 식민지 한국의 관영건축 생산을 주도하였던 조선총독부 건축기구와 건축사업의 실체 및 일본인 청부업자로 하여금 공사의 독점적인 수주를 가능케 해 준 제도적, 구조적 모순점을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범위는 당시 건축생산을 주도한 조선총독부 건축기구가 남긴『建築·會計』문건을 주 대상으로 하며, 시간적으로는 일제강점기로 한정한다. 연구의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갑오개혁 이후 왕실과 행정의 분리 방침 아래 단행된 관영 공사기구의 이원화는 일제의 집요한 개입과 잠식 아래 왜곡되기 시작하였다. 왕실의 건축사업을 맡았던 宮內府 소속의 전통건축생산조직은 그 활동이 극도로 축소되다가, 1906년 9월 度支部 建築所의 개소로 그 입지를 완전히 상실하였다. 또한 議政府 산하의 건축기구도 ‘해관등대부’ 설치를 직접적인 계기로 일본인들에게 잠식되기 시작하였다. 議政府 工務衙門 각 局의 업무는 청일전쟁과 러일전쟁 이후 內部 土木局이나 度支部 관할 하 海關燈臺局, 建築所 등과 같은 세분화되고 전문화된 식민 건축생산 기구로 파생되어 갔다.
      둘째, 일본인 건축관료들의 건축기구 장악과 함께 來韓한 일본인 청부업자들은 식민지 한국의 건설업계를 잠식하기 시작하였을 뿐만 아니라, 統監府와 朝鮮總督府로 이어지는 권력의 비호 속에서 그 활동 무대를 대만과 만주에까지 넓혀나가는 비약적 발전을 이루었다.
      셋째, 일본 및 臺灣總督府, 關東都督府, 關東廳 등의 식민지경영 경험을 토대로 출발한 조선총독부 건축기구는 1910년대의 영선과, 1920년대의 건축과, 1930년대의 회계과로 명명되는 관제개정과 개편을 거듭하며 효율적인 식민정책 수행을 위한 건축사업에 주력하였다.
      넷째, 조선총독부의 공사발주는 몇 차례에 걸친 회계법의 개정에도 불구하고 정무총감의 專橫, 수의계약이나 지명경쟁입찰 등과 같이 매우 제한적이고 배타적으로 운용되었다. 그러나 일본인 청부업자들은 각종 협의체를 구성하여 관료들과의 유착관계를 유지하고 자신들의 이익보전을 위한 의견을 개진하는 등 제도적 지원과 특혜를 받았다.
      다섯째, 일본인 건설청부업자 간에 공공연하게 행해진 담합청부 행태는 강점기간 내내 이어졌으며, 각종 부실공사와 노동자들에 대한 임금 수탈로 이어지는 사회적 폐해를 낳았다. 이는 오늘날까지도 한국 건설업계의 건전한 성장을 위해 청산해야 할 숙제로 남아있다.
      한국근대건축사 연구 중 아직 미개척분야로 남아있는 일제강점기의 건축생산사를 다루고 있다는 점에서 이 논문은 매우 중요한 의의를 갖는다. 특히 조선총독부 건축기구가 남긴 직접적인 사료인 국가기록원의 『建築·會計』문건을 통한 실증적인 접근으로 근대건축사 연구의 새로운 모색을 가능하게 해 줄 것이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第1章. 序論 = 1
      • 1-1. 연구의 배경과 목적 = 1
      • 1-1-1. 연구의 배경 = 1
      • 1-1-2. 연구의 목적 = 3
      • 1-2. 연구의 방법과 범위 = 4
      • 第1章. 序論 = 1
      • 1-1. 연구의 배경과 목적 = 1
      • 1-1-1. 연구의 배경 = 1
      • 1-1-2. 연구의 목적 = 3
      • 1-2. 연구의 방법과 범위 = 4
      • 1-2-1. 연구의 방법 = 4
      • 1-2-2. 연구의 범위와 내용 = 5
      • 1-3. 선행연구의 검토 = 16
      • 第2章. 舊韓末 日帝의 建築事業 侵奪과 日本人 請負業者의 進出 = 20
      • 2-1. 구한국정부 건축사업에 대한 개입과 잠식 = 20
      • 2-1-1. 궁내부 건축조직의 축소와 해체 = 21
      • 2-1-2. 의정부를 통한 건축조직의 장악 = 27
      • 2-2. 신규 건축사업과 일본인 청부업자의 진출 = 31
      • 2-2-1. 건축기구의 신설과 건축사업 장악 = 32
      • 2-2-2. 일본인 청부업자의 진출과 공사 청부 = 40
      • 第3章. 朝鮮總督府 建築機構와 請負制 = 49
      • 3-1. 조선총독부 건축기구와 업무분장 = 49
      • 3-1-1. 시기 및 건축사업별 건축기구의 편제 = 50
      • 3-1-2. 건축기구의 직제와 업무분장 = 69
      • 3-1-3. 일제하 대만·만주지역 건축기구와 비교 = 82
      • 3-2. 일본인 건축관료와 청부업 관변단체 = 112
      • 3-2-1. 건축조직 내 일본인 건축행정관료와 건축기술관료 = 112
      • 3-2-2. 한국인 건축관료와 그 한계 = 124
      • 3-2-3. 건축관료와 청부업 관변단체의 유착 = 143
      • 3-3. 건축사업 추진방식과 일본식 청부업제도 = 159
      • 3-3-1. 계속사업에 대한 예산 집중 = 159
      • 3-3-2. 공사입찰방식과 일본식 청부제도 = 180
      • 3-3-3. 일본인 청부업자의 대거진출 = 190
      • 第4章. 朝鮮總督府 建築事業과 日本人 請負業者 = 193
      • 4-1. 일본인 청부업자에 대한 특혜와 관변단체의 로비 = 193
      • 4-1-1. 회계법에 따른 공사입찰방식 = 194
      • 4-1-2. 입찰자격 제한에 따른 특혜 = 200
      • 4-1-3. 관변단체의 입찰 개입과 로비 = 210
      • 4-2. 일본인 청부업자의 수주독점 심화 = 213
      • 4-2-1. 일본인 청부업자의 공종별 수주 양상 = 213
      • 4-2-2. 일부 청부업자에게로의 이익 집중 = 235
      • 4-2-3. 한국인 청부업자의 수주기회 상실 = 238
      • 第5章. 日本人 請負業者間 受注競爭 過熱과 談合請負 不正 = 245
      • 5-1. 소수 독과점체제로 조성된 담합청부 여건 = 245
      • 5-1-1. 지명청부인조서와 수의계약 = 246
      • 5-1-2. 예정가격조서와 입찰가 = 248
      • 5-2. 일본식 담합청부의 만연과 법정시비 = 250
      • 5-2-1. 일본식 담합청부의 유입과 확산 = 255
      • 5-2-2. 담합청부 부정사건과 사법처리 = 260
      • 5-3. 일본인 청부업자의 담합청부로 인한 폐해 = 288
      • 5-3-1. 한국인 청부업자의 도태 = 288
      • 5-3-2. 한국인 건설노동자의 고용구조 왜곡 = 291
      • 第6章. 結論 = 310
      • 참고문헌 = 318
      • ABSTRACT = 328
      • 부록 = 33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