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과학주의에 대한 신학적·윤리적 비판 = Theological and Ethical Critiques on the Scientis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04305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e academic society, in which dialogues between science and theology and, further, a certain form of convergence and integration of the two are hot issues, problems of the scientism don’t be treated carefully. On the one hand the scientism shows the temerity to explain everything in the world according to the scientific logics, on the other it reveals its blindness in the efforts to solve all the problems of the world scientifically. If the science is tied to such a scientism, it sets up itself as an integral science, goes beyond the territory adequately given to it, invades and at last colonizes the world of meaning and the transcendental. In order to overcome such problems of the scientism from theological and ethical viewpoints, I distinguish the language of theology from that of the science in the first step. Second, I criticize the scientism from scientific-philosophical perspectives. Third and at last, based on a theological reflection on the liberation praxis of God in the world, I suggest how to regulate science and technique in the modern society, in which a scientification of techniques and a technicalization of sciences are highly realized.
      번역하기

      In the academic society, in which dialogues between science and theology and, further, a certain form of convergence and integration of the two are hot issues, problems of the scientism don’t be treated carefully. On the one hand the scientism shows...

      In the academic society, in which dialogues between science and theology and, further, a certain form of convergence and integration of the two are hot issues, problems of the scientism don’t be treated carefully. On the one hand the scientism shows the temerity to explain everything in the world according to the scientific logics, on the other it reveals its blindness in the efforts to solve all the problems of the world scientifically. If the science is tied to such a scientism, it sets up itself as an integral science, goes beyond the territory adequately given to it, invades and at last colonizes the world of meaning and the transcendental. In order to overcome such problems of the scientism from theological and ethical viewpoints, I distinguish the language of theology from that of the science in the first step. Second, I criticize the scientism from scientific-philosophical perspectives. Third and at last, based on a theological reflection on the liberation praxis of God in the world, I suggest how to regulate science and technique in the modern society, in which a scientification of techniques and a technicalization of sciences are highly realiz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과학과 신학의 대화나 통섭, 더 나아가 둘의 통합이 활발하게 모색되고 있는 오늘의 학계에서 과학과 결부되어 나타나는 과학주의는 별로 주의 깊게 다루어지고 있지 않고 있다. 과학주의는 과학의 논리로 세상의 모든 것을 설명할 수 있다는 만용으로 나타나거나, 과학의 논리로 세상의 모든 문제들을 해결하고자 하는 맹목으로 나타난다. 그렇게 되면 과학은 제 주제를 모르고 만물을 아우르는 통합학문을 자처하거나 과학이 머물러 있어야 할 영토를 넘어서서 의미의 세계와 초월의 세계를 침략하고 그 세계들을 식민지로 삼게 될 것이다. 이러한 과학주의의 문제를 신학적, 윤리적 관점에서 비판적으로 짚고 넘어가기 위하여, 본 논문은 먼저 신학의 언어와 과학의 언어를 서로 구별하고, 그 다음 학문이론적 관점에서 과학주의를 비판하고, 마지막으로 신학적 성찰에 근거한 해방의 논리에 따라 기술의 과학화와 과학의 기술화가 구현된 오늘의 세계에서 과학과 기술을 어떻게 규율할 것인가를 다룬다.
      번역하기

      과학과 신학의 대화나 통섭, 더 나아가 둘의 통합이 활발하게 모색되고 있는 오늘의 학계에서 과학과 결부되어 나타나는 과학주의는 별로 주의 깊게 다루어지고 있지 않고 있다. 과학주의는...

      과학과 신학의 대화나 통섭, 더 나아가 둘의 통합이 활발하게 모색되고 있는 오늘의 학계에서 과학과 결부되어 나타나는 과학주의는 별로 주의 깊게 다루어지고 있지 않고 있다. 과학주의는 과학의 논리로 세상의 모든 것을 설명할 수 있다는 만용으로 나타나거나, 과학의 논리로 세상의 모든 문제들을 해결하고자 하는 맹목으로 나타난다. 그렇게 되면 과학은 제 주제를 모르고 만물을 아우르는 통합학문을 자처하거나 과학이 머물러 있어야 할 영토를 넘어서서 의미의 세계와 초월의 세계를 침략하고 그 세계들을 식민지로 삼게 될 것이다. 이러한 과학주의의 문제를 신학적, 윤리적 관점에서 비판적으로 짚고 넘어가기 위하여, 본 논문은 먼저 신학의 언어와 과학의 언어를 서로 구별하고, 그 다음 학문이론적 관점에서 과학주의를 비판하고, 마지막으로 신학적 성찰에 근거한 해방의 논리에 따라 기술의 과학화와 과학의 기술화가 구현된 오늘의 세계에서 과학과 기술을 어떻게 규율할 것인가를 다룬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양명수, "토마스 아퀴나스의 신학대전 읽기" 세창출판사 2014

      2 이형목, "중력파와 천문학" 26 (26): 71-87, 2011

      3 Weizsäcker, "자연의 역사" 삼성출판사 1972

      4 김선희, "우주 급팽창이론 첫 증거 찾았다" 44-51, 2014

      5 김상기, "우연인가 창조인가 창세기 1장 다시 읽기" 72-81, 2011

      6 홍성욱, "생산력과 문화로서의 과학 기술" 문학과지성사 1999

      7 도킨스, R, "만들어진 신: 신은 과연 인간을 창조했는가" 김영사 2007

      8 임홍빈, "기술문명과 철학" 문예출판사 1995

      9 토머스 S. 쿤, "과학혁명의 구조 11쇄" 까치 2004

      10 박희제, "과학자들의 연구주제 선택 결정 요인들" 비판사회학회 (85) : 211-236, 2010

      1 양명수, "토마스 아퀴나스의 신학대전 읽기" 세창출판사 2014

      2 이형목, "중력파와 천문학" 26 (26): 71-87, 2011

      3 Weizsäcker, "자연의 역사" 삼성출판사 1972

      4 김선희, "우주 급팽창이론 첫 증거 찾았다" 44-51, 2014

      5 김상기, "우연인가 창조인가 창세기 1장 다시 읽기" 72-81, 2011

      6 홍성욱, "생산력과 문화로서의 과학 기술" 문학과지성사 1999

      7 도킨스, R, "만들어진 신: 신은 과연 인간을 창조했는가" 김영사 2007

      8 임홍빈, "기술문명과 철학" 문예출판사 1995

      9 토머스 S. 쿤, "과학혁명의 구조 11쇄" 까치 2004

      10 박희제, "과학자들의 연구주제 선택 결정 요인들" 비판사회학회 (85) : 211-236, 2010

      11 박희제, "과학의 상업화와 과학자사회 규범구조의 변화:공유성과 이해관계의 초월규범을 중심으로" 한국사회학회 40 (40): 19-47, 2006

      12 이상욱, "과학연구의 역사성과 합리성: 소칼 논쟁을 중심으로"

      13 권용혁, "공학윤리: 기술공학시대의 윤리적 문제들" 철학과현실사 2003

      14 Bacon, F, "with Introduction, Notes. etc. by Th. Fowler. 2. corrected and revised" Clarendon Press 1889

      15 Bertalanffy, L, "von/W.Beier/R.Laue, Biophysik des Fließgleichgewichts. 2" Vieweg 1977

      16 Habermas, J, "der Gesellschaft oder Sozialtechnologie: Was leistet die Systemforschung" Suhrkamp 1971

      17 Adorno, Th, "Zur Metakritik der Erkenntnistheorie" Suhrkamp 1972

      18 Meyer-Abich, "Wissenschaft für die Zukunft: Holistisches Denken in ökologischer und gesellschaftlicher Verantwortung" Beck 1988

      19 Goethe, J. W. von, "Werke, Hamburger Ausgabe in 14 Baenden, Bd. XIII. hg. von E. Trunz. 10. Aufl" Dt. Taschenbuch-Verl. 1981

      20 Link, Chr, "Welt als Geheimnis: Studien zum Problem der natürlichen Theologie" Kaiser 1976

      21 Descartes, R, "Von der Methode des richtigen Vernunftsgebrauchs und der wissenschaftlichen Forschung" Meiner 1960

      22 Moltmann, J, "Trinität und Reich Gottes : Zur Gotteslehre" Kaiser 1980

      23 Wittgenstein, L, "Tractatus logico-philosophicus. 14. Aufl" Suhrkamp 1992

      24 Habermas, J, "Theorie des kommunikativen Handelns, Bd. 2: Zur Kritik der funktionalistischen Vernunft" Suhrkamp 1981

      25 Rad, G. von, "Theologie des Alten Testaments, Bd. I" Kaiser 1957

      26 Reichenbach, H, "The Rise of Scientific Philosophy. 14. Printing"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73

      27 Hughes, Austin L, "The Folly of Scientism" 37 : 32-70, 2012

      28 Habermas, J, "Technik und Wissenschaft als ‘Ideologie.' 8. Aufl" Suhrkamp 1976

      29 Pannenberg, W, "Systematische Theologie, Bd.2" Vandenhoeck & Ruprecht 1991

      30 Ritschl, D, "Story" als Rohmaterial der Theologie" Kaiser 1976

      31 Cobb, J. B, "Prozess-Theologie: Eine einführende Darstellung" Vandenhoeck & Ruprecht 1979

      32 Odum, Eugene P, "Prinzipien der Ökologie: Lebensräume, Stoffkreisläufe, Wachstumsgrenzen" Spektrum der Wissenschaft 1991

      33 Aristoteles, "Metaphysik. übers. von Hermann Bonitz" Rowohlt Taschenbuchverl 1994

      34 Chardin, Teilhard, "Mein Glaube" Walter 1972

      35 Popper, Karl R, "Logik der Forschung. 11. Aufl" Mohr Siebeck 2005

      36 Kant, I, "Kritik der reinen Vernunft. hg. erlaüt. u. mit einer Lebensbeschreibung Kant's versehen v" Heimann 1868

      37 Barth, K, "Kirchliche Dogmatik, Bd. I/1" Evang. Verl 1932

      38 Barbour, Ian G, "Issues in Science and Religion" Harper & Row 1971

      39 Link, Chr, "Handbuch Systematischer Theologie, Bd. 7/2" Gerd Mohn 1991

      40 Pannenberg, W, "Gott und die Natur: Zur Geschichte der Auseinandersetzungen zwischen Theologie und Naturwissenschaft" 58 : 1983

      41 Moltmann, J, "Gott in der Schöpfung: Ökologische Schöpfungslehre. 3. Aufl" Kaiser 1987

      42 Sohn-Rethel, Alfred, "Geistige und körperliche Arbeit: Zur Theorie der gesellschaftlichen Synthese. 1. Aufl. der revid. und ergän" Suhrkamp 1972

      43 Käsemann, E, "Exegetische Versuche und Besinnungen, Bd. II., 2.Aufl" Vandenhoeck & Ruprecht 1965

      44 Habermas, J, "Erkenntnis und Interesse" Suhrkamp 1968

      45 Zenger, E. u. a, "Einleitung in das Alte Testament. 5. Aufl" Kohlhammer 1995

      46 Apel, K.-O, "Diskurs und Verantwortung: Das Problem des Uebergangs zur postkonventionellen Moral. 2. Aufl" Suhrkamp 1992

      47 Moltmann, J, "Der gekreuzigte Gott: Das Kreuz Christi als Grund und Kritik christlicher Theologie" Kaiser 1972

      48 Conzelmann, H, "Der erste Brief an die Korinther, KEK 5" Vandenhoeck & Ruprecht 1969

      49 Ritschl, D, "D. Zur Logik der Theologie: Kurze Darstellung der Zusammenhänge theologischer Grundgedanken" Kaiser 198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5 0.25 0.2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8 0.27 0.486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