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시판 막걸리로 제조한 전통발효유 타락의 발효 특성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45378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한국 전통 발효유인 타락을 제조하기 위하여 4종의 시판 막걸리와 시판 우유를 사용한 ‘타락’을 제조하여 발효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관여 미생물을 분석하였다. 제조된 타락에서의 pH는 ...

      한국 전통 발효유인 타락을 제조하기 위하여 4종의 시판 막걸리와 시판 우유를 사용한 ‘타락’을 제조하여 발효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관여 미생물을 분석하였다. 제조된 타락에서의 pH는 발효시간에 따라 유의적으로(P<0.001) 감소되어 pH 5.56~6.49를 나타내고 산도는 유의적으로(P<0.001) 증가하여 0.17~0.40%의 값을 나타내었다. 점도는 유청이 분리되기 전까지 유의적으로(P<0.001) 증가하였다. 당도는 유의적으로(P<0.001) 감소하였다. 에탄올 함량은 시간에 따라 증가하여 발효 24시간에 0.51~0.71 mg/mL를 나타내었다. 발효산물로는 주된 유기산이 lactic acid로 발효시간에 따라 점차 증가하여 발효 24시간에서는 모든 시료에서 전체 유기산 생성량의 80% 이상을 차지하였으며 이외에 미량의 acetic acid, citric acid, succinic acid도 검출되었다. 발효와 더불어 검출된 주된 유리당은 lactose였고 소량의 glucose가 나타났다. 타락의 젖산균 수는 발효시간에 따라 증가하여 발효 24시간에는 9.87~10.41 log CFU/mL로 나타났으며 효모 수는 6.99~7.73 log CFU/mL였다. 타락에서의 분리된 균주는 효모인 Saccharomyces cerevisiae와 다양한 Pediococcus acidilactici, Lactobacillus fermentum, Leuconostoc mesenteroides 등의 다양한 젖산균이 나타났다. 따라서 타락은 효모와 젖산균이 공존하는 효모-젖산균 발효유임을 알 수 있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study, for modernization of Korean traditional fermented milk, Tarak was made using four kinds of commercial Makgeolli based on the ancient cookbook Suwoonjabbang. Samples of Tarak were periodically collected during 24 h of fermentation at 37�...

      In this study, for modernization of Korean traditional fermented milk, Tarak was made using four kinds of commercial Makgeolli based on the ancient cookbook Suwoonjabbang. Samples of Tarak were periodically collected during 24 h of fermentation at 37°C. After fermentation, changes in pH, titration acidity, and viscosity were analyzed. Fermentation metabolites, including organic acids and free sugars, were analyzed by HPLC. Numbers of yeast and lactic acid bacteria during 24 h of fermentation were measured. The pH of Tarak significantly decreased (P<0.01), whereas its acidity significantly increased (P<0.01) during fermentation. The viscosity increased during 8∼24 h of fermentation until curd was separated in Tarak. The level of ethanol increased from 0.37∼0.52 mg/mL to 0.51∼0.71 mg/mL during 24 h of fermentation. Lactic acid and lactose were the major organic acid and free sugar in Tarak, respectively. The number of lactic acid bacteria increased from 5.23∼6.25 log CFU/mL to 9.87∼10.41 log CFU/mL at the beginning during 24 h of fermentation. The number of yeast increased from 5.14∼6.47 log CFU/mL to 6.99∼7.73 at the beginning during 24 h of fermentation at 37°C. The major strains of Tarak were Pediococcus acidilactici, Lactobacillus fermentun, Lactobacillus curvatus, and Saccharomyces cerevisiae. Therefore, we concluded that Tarak was a fermented milk by both lactic acid bacteria and yeast, which was similar to koumiss or kefir.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서론
      • 재료 및 방법
      • 결과 및 고찰
      • 요약
      • ABSTRACT
      • 서론
      • 재료 및 방법
      • 결과 및 고찰
      • 요약
      • REFERENC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윤지, "쌀의 품종, 쌀의 도정도, 누룩에 따른 막걸리의 품질 특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1 (41): 1785-1791, 2012

      2 안창순, "뽕잎추출액을 첨가한 발효유의 이화학적 특성" 한국식품영양학회 22 (22): 272-278, 2009

      3 Rasic JL, "Yogurt" Technical Dairy Publishing House 215-218, 1978

      4 Kedia G, "Use of mixed cultures for the fermentation of cereal-based substrates with potential probiotic properties" 42 : 65-70, 2007

      5 Sueunjabbang Research Institute, "Sueunjabbang" Company Mayo 30-31, 2011

      6 Grunewald KK, "Serum cholesterol levels in rats fed skim milk fermented by Lactobacillus Acidophilus" 47 : 2078-2079, 1982

      7 Kim MS,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commercial yogurt in Korea" 25 : 340-344, 1993

      8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Livestock Processing Standards and Compositional Specifications"

      9 Østlie HM, "Growth and metabolism of selected strains of probiotic bacteria in milk" 87 : 17-27, 2003

      10 Chon JW,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kefir as a fermented dairy product : a review" 31 : 99-108, 2013

      1 이윤지, "쌀의 품종, 쌀의 도정도, 누룩에 따른 막걸리의 품질 특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1 (41): 1785-1791, 2012

      2 안창순, "뽕잎추출액을 첨가한 발효유의 이화학적 특성" 한국식품영양학회 22 (22): 272-278, 2009

      3 Rasic JL, "Yogurt" Technical Dairy Publishing House 215-218, 1978

      4 Kedia G, "Use of mixed cultures for the fermentation of cereal-based substrates with potential probiotic properties" 42 : 65-70, 2007

      5 Sueunjabbang Research Institute, "Sueunjabbang" Company Mayo 30-31, 2011

      6 Grunewald KK, "Serum cholesterol levels in rats fed skim milk fermented by Lactobacillus Acidophilus" 47 : 2078-2079, 1982

      7 Kim MS,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commercial yogurt in Korea" 25 : 340-344, 1993

      8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Livestock Processing Standards and Compositional Specifications"

      9 Østlie HM, "Growth and metabolism of selected strains of probiotic bacteria in milk" 87 : 17-27, 2003

      10 Chon JW,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kefir as a fermented dairy product : a review" 31 : 99-108, 2013

      11 Han YS, "Fermented food" Power Book 135-136, 2012

      12 Jeong KH, "Fermentation characteristic of kefir beverage added fruit juice" 7 (7): 35-38, 2002

      13 Kwon HY, "Factor to increase the yield of cheese" 11 : 232-242, 1989

      14 Kiyosawa H, "Effect of skim milk and yogurt on serum lipids and development of sudanophilic lesions in cholesterol-fed rabbits" 40 : 479-484, 1984

      15 Park WP, "Effect of salt concentration on kimchi fermentation" 14 : 295-297, 1991

      16 Jaspers DA, "Effect of consuming yogurts prepared with three culture strains on human serum lipoproteins" 49 : 1178-1181, 1984

      17 Lim KS, "Current market trends and prospects of functional fermented milk products in Korea" 12 (12): 20-28, 2007

      18 Kihal M, "Carbon dioxide production by Leuconostoc mesenteroides grown in single and mixed culture with Lactococcus lactis in skimmed milk" 2 : 62-68, 2007

      19 Park JK, "A study on the fermentation of Takju prepared by using Saccharomyces cerevisiae and lactic acid bacteria" 12 : 1-16, 200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4-06-24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
      영문명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KCI등재
      2014-04-02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식품영양과학회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영문명 : 미등록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3 1.03 1.1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8 1.2 1.993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