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초등학교 영어수업 분석을 통한 영어로 진행하는 영어수업(TEE) 평가도구의 적용가능성 연구 = A study of applicability of the Teaching English in English(TEE) assessment tool through an analysis of the elementary school level English clas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53604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aimed to identify the applicability of the TEE tool by implementing the TEE in an elementary English teaching context and to promote an improvement of a classroom English teaching by providing a chance to examine English teachers’ TEE ability in terms of evaluating TEE. More specifically, this study tested whether the TEE assessment tool postulated by Lee, Kim, Lee, Lee, and Jang (2009), was applicable to elementary school level English classes. Five Korean and five English native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eighteen TEE video clips were measured using the TEE assessment tool. Our findings revealed that while those assessment elements are observable and feasible, redundancy of the assessment elements were observed. In addition, while the TEE assessment tool was fully reliable and valid within the participants, it had only partially different results. The results are discussed in terms of exploring new possible directions in elementary-level assessment, and evaluation of the TEE implementation in various levels of the elementary English education system as well as the overall development of TEE proficiency and the role of implementation in elementary English teaching context.
      번역하기

      This study is aimed to identify the applicability of the TEE tool by implementing the TEE in an elementary English teaching context and to promote an improvement of a classroom English teaching by providing a chance to examine English teachers’ TEE ...

      This study is aimed to identify the applicability of the TEE tool by implementing the TEE in an elementary English teaching context and to promote an improvement of a classroom English teaching by providing a chance to examine English teachers’ TEE ability in terms of evaluating TEE. More specifically, this study tested whether the TEE assessment tool postulated by Lee, Kim, Lee, Lee, and Jang (2009), was applicable to elementary school level English classes. Five Korean and five English native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eighteen TEE video clips were measured using the TEE assessment tool. Our findings revealed that while those assessment elements are observable and feasible, redundancy of the assessment elements were observed. In addition, while the TEE assessment tool was fully reliable and valid within the participants, it had only partially different results. The results are discussed in terms of exploring new possible directions in elementary-level assessment, and evaluation of the TEE implementation in various levels of the elementary English education system as well as the overall development of TEE proficiency and the role of implementation in elementary English teaching contex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선행연구
      • Ⅲ. 연구 방법
      • Ⅳ. 연구결과
      • Ⅴ. 결론 및 제언
      • Ⅰ. 서론
      • Ⅱ. 선행연구
      • Ⅲ. 연구 방법
      • Ⅳ. 연구결과
      • Ⅴ. 결론 및 제언
      • 참고 문헌
      • 〈부록 1〉 TEE 수업 평가도구(한국인 평가자용)
      • 〈부록 2〉 TEE 수업 평가도구(원어민 평가자용)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우충환, "현장 영어 교육을 위한 체계적 관찰 도구 및 기법에 관한 연구" 54 (54): 109-131, 1999

      2 KAPEE Newsletter, "한국초등영어교육학회 소식지"

      3 이윤, "초등 영어 수업의 평가 방안" 6 : 197-222, 1999

      4 진경애, "중등 영어 교수 능력 진단 프로그램 개발 연구"

      5 황윤환, "우수교사 인증제 실태 분석 및 발전 방안 연구"

      6 부산광역시 교육청, "영어수업능력 인증제"

      7 임찬빈, "영어로 진행하는 초등영어 수업평가 도구 개발 연구"

      8 맹은경, "영어로 진행하는 영어수업에 대한 초등교사 및 학생들의 인식 조사" 현대영어교육학회 10 (10): 177-206, 2009

      9 이병천, "영어로 진행하는 영어수업(TEE)평가도구개발"

      10 박준언, "영어로 진행하는 영어수업(TEE) 진단 매뉴얼 개발및 활성화 방안 모색"

      1 우충환, "현장 영어 교육을 위한 체계적 관찰 도구 및 기법에 관한 연구" 54 (54): 109-131, 1999

      2 KAPEE Newsletter, "한국초등영어교육학회 소식지"

      3 이윤, "초등 영어 수업의 평가 방안" 6 : 197-222, 1999

      4 진경애, "중등 영어 교수 능력 진단 프로그램 개발 연구"

      5 황윤환, "우수교사 인증제 실태 분석 및 발전 방안 연구"

      6 부산광역시 교육청, "영어수업능력 인증제"

      7 임찬빈, "영어로 진행하는 초등영어 수업평가 도구 개발 연구"

      8 맹은경, "영어로 진행하는 영어수업에 대한 초등교사 및 학생들의 인식 조사" 현대영어교육학회 10 (10): 177-206, 2009

      9 이병천, "영어로 진행하는 영어수업(TEE)평가도구개발"

      10 박준언, "영어로 진행하는 영어수업(TEE) 진단 매뉴얼 개발및 활성화 방안 모색"

      11 인천광역시 교육청, "영어교사 영어 수업 능력 신장을 위한 영어교사 TEE 인증제 실시 계획"

      12 교육과학기술부, "영어교사 수업 전문성 신장 지원 방안"

      13 김선동, "연수분야 현장 개선 우수 제안: 영어교사의 TEE(영어로 진행하는 영어수업)능력 향상을 위한 영어연수 개선 방안"

      14 임찬빈, "수업평가 기준 개발 연구(Ⅱ): 일반 및 교과(영어,도덕, 체육) 기준 상세화"

      15 임찬빈, "수업평가 기준 개발 연구(Ⅰ): 일반기준 및 교과(사회, 과학, 영어) 기준 개발"

      16 서울특별시 교육청, "서울 영어교사 수업능력 신장을 위한 2010 ‘영어교사 TEE 인증제’ 시행 계획"

      17 교육과학기술부, "사교육비 경감대책"

      18 고정민, "교수방법과 TETE 수업을 중심으로 살펴본 중학교 영어교육" 한국외국어교육학회 15 (15): 383-407, 2008

      19 진경애, "TEE 진단평가 도구 개발" 팬코리아영어교육학회 21 (21): 315-334, 2009

      20 충청북도 교육청, "TEE 인증제"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7-03-10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 Association Of Primary English Education -> The Korea Association of Primary English Education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2 0.72 0.8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4 0.92 1.442 0.1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