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프로젝트기반 수업에서 디자인사고 프로세스 단계별 학습자 반응 분석 - 공공서비스디자인 프로젝트 수업을 중심으로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33979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우리나라는 사회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사회문제 해결형 R&D를 추진하고 있다. 관(官)주도의 공공서비스디자인 관련 활동이 교육, 세미나, 워크숍, 프로젝트 등의 다양한 형...

      최근 우리나라는 사회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사회문제 해결형 R&D를 추진하고 있다. 관(官)주도의 공공서비스디자인 관련 활동이 교육, 세미나, 워크숍, 프로젝트 등의 다양한 형태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에 따라 사회문제에 대한 인식과 현대디자인 패러다임의 변화로 디자인의 힘으로 사회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활동이 다양한 곳에서 시도되고 있다. 이러한 사회의 변화를 배경으로 본 연구의 목적은 학생들이 프로젝트 기반 학습(PBL, Project based Learning)으로 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디자인사고의 통합적 사고를 실제 수업에의 적용 가능성을 모색해 보는 것이다. 적용된 사례의 분석을 통해 적용과정의 문제점을 발견하여 개선점을 논의하고자 한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프로젝트 기반 학습에서 프로젝트의 문제해결을 위한 과정은 디자인사고 프로세스에 따라 진행된다. 디자인사고 프로세스 단계별 학습유형 분석을 위해 개인별 평가에 사용된 피드백 도구인 ‘러닝카드’를 통해 교수자는 수업 방법을, 학습자는 문제를 해결하는 도구로 활용하였다. 프로젝트 수행 4단계(발견-정의-개발-전달)에서 학습자가 제출한 러닝카드를 분석하였다. 학생들은 프로젝트 기반학습으로 문제해결 과정에서 통합적 사고를 통한 창의적 사고, 융합적 사고 등 사고의 습관을 훈련할 수 있었다. 또한 팀을 이루어 프로젝트를 수행하여 팀원간 역할을 분배하여 갈등을 조정하는 등 협업에 필요한 의사소통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프로젝트를 맥락적으로 파악하는 관리 능력을 경험할 수 있었다. 그리고 학생들은 주도적으로 프로젝트를 수행함으로써 이후 다른 학습 및 문제해결을 위한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데 응용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Nowadays Korea has been promoting social problem solving pattern R&D to effectively solve social problems and issues. Public service activity design-related led by the government is conducted actively in various pattern types such as education, semina...

      Nowadays Korea has been promoting social problem solving pattern R&D to effectively solve social problems and issues. Public service activity design-related led by the government is conducted actively in various pattern types such as education, seminars, workshops, and projects. Activities to solve social problems and issues with the power of design have been attempted in various places due to the recognition of social issues and, the change of the modern design paradigm. On the backgrounds of these kind of social chang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applying the integrated thinking of design thinking to actual classes in order for students to solve social problems with Project Based Learning (PBL). Through the analysis of applied cases, problems of the application process are discovered and improvement points are to be discussed out.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according to the design thinking process the process for problem solving of the project in project-based learning proceeds. In order to analyze the learning types by every each step, in the design thinking process, the instructor used teaching methods and the learner used acceptable solving methods through the "learning card" which is a feedback tool used for individual evaluation. The learning card submitted by the learner was analyzed in the 4th stage (discovery-definition-development-delivery) of project execution. Students were able to be trained and learned their thinking habits such as the creative thinking through integrated thinking and fusion thinking in the process of problem solving through project-based learning. In addition It can be able to experience the management abilities to understand the communication required for collaboration and the project to resolve problems in context, such as coordinating conflicts by distributing roles among team members by performing projects as a team. And by mainly carrying out the project, students can apply it to other projects for learning and problem solving later.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Ⅲ. 프로젝트 기반 학습 수업 설계
      • Abstract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Ⅲ. 프로젝트 기반 학습 수업 설계
      • Ⅳ. 디자인사고 프로세스 학습유형 분석
      • Ⅴ. 결론
      • Referenc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정, "형성평가의 재등장과 교육 평가적 시사" 한국교육평가학회 26 (26): 719-738, 2013

      2 채영숙, "프로젝트 기반 학습을 적용한 게임 제작 프로젝트 수업의 운영 사례 연구" 영상문화콘텐츠연구원 (13) : 55-69, 2017

      3 이선정, "통합적 사고를 유도하는 자유학기제 디자인교육 실행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기초조형학회 17 (17): 321-330, 2016

      4 전은화, "진로 구성주의와 디자인씽킹에 기반을 둔 대학생 진로교육 교과목 개발 및 효과 분석"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10 (10): 767-782, 2019

      5 이석재, "생애능력 측정도구 개발 연구: 의사소통능력, 문제해결능력,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개발원 2003

      6 이명희, "문헌정보학의 프로젝트기반 학습이 자기주도적 학습과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비블리아학회 29 (29): 89-109, 2018

      7 Roger Martin, "디자인씽킹" 엘도라도 2010

      8 박기용, "디자인 사고의 본질을 반영한 수업설계모형 개발연구" 한국교육공학회 32 (32): 837-866, 2016

      9 변현정, "디자인 사고과정(Design Thinking Process)의 경험이 대학생 창의성 계발에 미치는 영향" 한국창의력교육학회 15 (15): 149-167, 2015

      10 정윤숙, "대학의 프로젝트 기반 학습 평가를 위한 프로젝트 수행 역량 평가틀 개발: 설계기반연구" 한국교육평가학회 33 (33): 455-486, 2020

      1 박정, "형성평가의 재등장과 교육 평가적 시사" 한국교육평가학회 26 (26): 719-738, 2013

      2 채영숙, "프로젝트 기반 학습을 적용한 게임 제작 프로젝트 수업의 운영 사례 연구" 영상문화콘텐츠연구원 (13) : 55-69, 2017

      3 이선정, "통합적 사고를 유도하는 자유학기제 디자인교육 실행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기초조형학회 17 (17): 321-330, 2016

      4 전은화, "진로 구성주의와 디자인씽킹에 기반을 둔 대학생 진로교육 교과목 개발 및 효과 분석"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10 (10): 767-782, 2019

      5 이석재, "생애능력 측정도구 개발 연구: 의사소통능력, 문제해결능력,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개발원 2003

      6 이명희, "문헌정보학의 프로젝트기반 학습이 자기주도적 학습과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비블리아학회 29 (29): 89-109, 2018

      7 Roger Martin, "디자인씽킹" 엘도라도 2010

      8 박기용, "디자인 사고의 본질을 반영한 수업설계모형 개발연구" 한국교육공학회 32 (32): 837-866, 2016

      9 변현정, "디자인 사고과정(Design Thinking Process)의 경험이 대학생 창의성 계발에 미치는 영향" 한국창의력교육학회 15 (15): 149-167, 2015

      10 정윤숙, "대학의 프로젝트 기반 학습 평가를 위한 프로젝트 수행 역량 평가틀 개발: 설계기반연구" 한국교육평가학회 33 (33): 455-486, 2020

      11 서응교, "대학생 창의역량 개발을 위한 디자인씽킹 기반 강좌 개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6 (16): 693-718, 2016

      12 Riverdale, IDEO, "교육자를 위한디자인사고 툴킷" 에딧더월드/MYSC 2014

      13 김문수, "공학교육에서 문제 및 프로젝트기반학습의 비교 고찰과 적용 방안" 한국공학교육학회 18 (18): 65-76, 2015

      14 강환수, "공학교육 내실화를 위한 교과목 포트폴리오 사례 연구"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14 (14): 545-555, 2013

      15 한국디자인진흥원, "공공정책, 책상에서현장으로" 한국디자인진흥원 2013

      16 안전행정부, "공공서비스디자인 사용설명서" 한국디자인진흥원 2014

      17 한국디자인진흥원, "Service Design TOOLKIT 서비스디자인 워킹그룹 방법론 도구모음" 한국디자인진흥원 2013

      18 정경숙, "PBL(Problem Based Learning)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내디자인 설계수업의 사례와 분석 D대학 3학년 설계수업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기초조형학회 15 (15): 551-561, 2014

      19 Furtak Erin, "Learning Progressions, Formative Assessment,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Results of a Longitudinal Study" National Association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015

      20 Klapwijk R. M, "Handbook of Technology Education" 2017

      21 "Formative Assessment IS Design Thinking"

      22 Portnoy L., "Designed to Learn: Using Design Thinking to Bring Purpose and Passion to the Classroom" Association for Supervision & Curriculum Development 2019

      23 Stobart G, "Assessment and Learning" 201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 0.6 0.5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2 0.5 0.732 0.0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