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회복적 생활교육을 아들러 심리학의 관점에서 이해하고, 회복적 생활교육과 아들러 심리학이 어떻게 연결될 수 있는지 그 유사점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를 통해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5057684
광주 :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학위논문(석사) --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 초등상담교육 , 2019. 2
2019
한국어
광주
89 ; 26 cm
지도교수: 오익수
I804:24002-200000182963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회복적 생활교육을 아들러 심리학의 관점에서 이해하고, 회복적 생활교육과 아들러 심리학이 어떻게 연결될 수 있는지 그 유사점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를 통해 ...
본 연구에서는 회복적 생활교육을 아들러 심리학의 관점에서 이해하고, 회복적 생활교육과 아들러 심리학이 어떻게 연결될 수 있는지 그 유사점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를 통해 어떤 교육적 시사점을 얻을 수 있는지 탐색하였다.
회복적 생활교육과 아들러 심리학은 존중, 책임, 관계, 평등 등 핵심가치가 같고, 민주적 공동체를 지향하는 동일한 목표를 가진다. 서클과 학급회의는 둘 다 존중과 평등을 전제로 하여 공동체적 접근으로 문제를 해결한다. 회복대화와 격려대화는 공감과 경청으로 열린 질문을 사용하고, 비난 없이 솔직하게 자신을 표현하는 대화 방법임을 알 수 있다.
주요이슈에서는 회복적 생활교육의 책임과 아들러심리학의 논리적 결과 모두 학생들이 더 긍정적인 선택을 할 수 있도록 기회를 제공하는 방식이다. 회복적 정의 패러다임 안에서 학생들이 그릇된 행동에 대한 책임을 논리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도록 체계적인 교육이 학교 안에서 통합적으로 이루어 질 때 책임도 함께 배우게 된다. 이렇게 볼 때 논리적 결과는 처벌의 대체기술이 아닌 회복적 정의를 실현하는 대안적인 가치에 합당하다. 즉 회복적 정의의 가치와 일치하는 좀 더 체계적인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
다음으로 회복적 생활교육의 공동체성과 아들러 심리학의 사회적 관심은 자신이 속한 공동체의 한 구성원으로서 다른 구성원들과 협력하고 공동체에 공헌하는 삶을 사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존중과 평등을 바탕으로 문제를 함께 공유하고 해결하는 서클과 학급회의의 실천들을 통해 공동체성과 사회적 관심은 같은 의미임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회복적 생활교육에 대한 아들러 심리학의 교육적 시사점을 다음과 같이 도출하였다. 회복적 생활교육의 교육적 이론기반의 형성, 사회적 평등을 추구하는 민주적인 공동체 문화로의 변화, ‘자기돌봄 회복대화’를 통한 사회적으로 유용한 life style의 추구, 학생의 잘못된 목적을 수정하는 ‘목적회복서클’의 제안이다. 이러한 시사점은 회복적 생활교육을 아들러 심리학에 접목한 시도로 회복적 생활교육의 새로운 확장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주요어 : 회복적 생활교육, 아들러 심리학, 회복적 정의, 교육적 시사점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resent study discusses restorative practices in school from the viewpoint of Adlerian psychology and explores the possibility of combining restorative practices and Adlerian psychology by focusing on their similarities, followed by the educationa...
The present study discusses restorative practices in school from the viewpoint of Adlerian psychology and explores the possibility of combining restorative practices and Adlerian psychology by focusing on their similarities, followed by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ese considerations.
Restorative practices in school and Adlerian psychology share the same core values, such as respect, responsibility, relationship, and equality, and the same goal of promoting a democratic community. Both circles and class meetings resolve issues through a communal approach informed by respect and equality. Restorative and encouraging dialogue enables one to use open-ended questions based on empathy and willingness to listen to others and express oneself without blame.
Both the responsibility of restorative practices and the logical consequence of Adlerian psychology provide a way for students to make more positive choices on major issues. Embracing systematic education in school under the paradigm of restorative justice will teach students a sense of responsibility by allowing them to logically accept their responsibility for wrong behavior. Thus, the logical consequence represents an alternative value that realizes restorative justice, not a substitute for punitive discipline. That is, it is a more systematic concept consistent with the value of restorative justice.
Next, the community spirit in restorative practices and the social interest of Adlerian psychology enable a life as a member of one's own community, cooperating with other members and contributing to the community. The present study argued that, through the circles and class meetings, which share and solve problems based on respect and equality, community and social interest have the same meaning.
Lastly, Adlerian psychology has the following implications for restorative practices: formation of educational theoretical basis of restorative practices; transition to a more democratic community culture devoted to social equality; pursuit of a socially useful lifestyle through “self-care restorative dialogue”; and proposal for a “purpose-restoring circle” that corrects a student's misguided purpose. These implications represent the possibility of expanding restorative practices into new realms through their integration with Adlerian psychology.
Keywords: Restorative practices in school, Adlerian psychology, Restorative justice, Educational implications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