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SCOPUS KCI등재

      화장품에 의한 접촉피부염 환자에서의 첩포시험 결과에 대한 고찰 = Review of the Patch Test Results in patients with the Cosmetic Contact Dermatitis화장품에 의한 접촉피부염 환자에서의 첩포시험 결과에 대한 고찰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328864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화장품은 1993년 유럽연합(EU)에 의하여 정의된 바에 의하면, 표피와 모발, 조갑, 구순 및 이음부와 같은 체표면과 구강내 치아 및 구강점막에 대하여 청결히 하거나 향기를 좋게 하고 보호하...

      화장품은 1993년 유럽연합(EU)에 의하여 정의된 바에 의하면, 표피와 모발, 조갑, 구순 및 이음부와 같은 체표면과 구강내 치아 및 구강점막에 대하여 청결히 하거나 향기를 좋게 하고 보호하는 목적이외에, 모습을 바꾸거나 체취를 교정하는 목적으로 이용되는 모든 물질과 제품들을 의미하는 용어로 기술된 바 있다.
      화장품에 의한 피부 질환은 일반인에서 흔히 발생하는데, 사용자의 2%미만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이중 알레르기성 접촉피부염은 화장품에 의한 부작용의 5-10%를 차지하며, 피부과를 방문하는 환자의 0.3-3%정도로 보고되고 있다. 이와 같은 화장품에 의한 피부염에 대해, 피부과 의사와 화장품 회사들에 의하여, 화자품의 성분표시(cosmetic labelling), 원인 항원의 발견 및 조절(allergen controlled system), 저알러지성 화장품(hypoallergic cosmetics)의 이용 등으로 발생빈도를 줄이려는 노력이 있어 왔다.
      국내에서는 최근 20여년간 화장품에 의한 접촉피부염에 대한 여러 역학적 연구가 이루어졌으며 다수의 화장품과 관련된 증례보고가 있어왔다. 저자들은 최근의 화장품 산업의 발전과 시대의 변화에 따른 화장품의 성분 및 종류의 다양화와 화장품을 사용하는 인구가 늘어남에 따른 화장품에 의한 알레르기성 접촉피부염의 변화된 양상을 관찰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시기를 구분하고 이에 따른 첩포시험 성적의 양성률의 변화과정과 알레르겐의 양성빈도를 시기별로 비교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ackground:Contact dermatitis is frequently caused by cosmetics. Detection of causative allergens is important in prevention and treatment of cosmetic contact dermatitis. Patch test has been accepted as the only reliable diagnostic method to detect al...

      Background:Contact dermatitis is frequently caused by cosmetics. Detection of causative allergens is important in prevention and treatment of cosmetic contact dermatitis. Patch test has been accepted as the only reliable diagnostic method to detect allergens. Objective: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clarify evoluting trends of positive patch tests and to compare the positive frequencies of various allergens between different time sequences. Materials and methods:We reviewed patch test results of the 806 cosmetic contact dermatitis patients, who had visited our clinic from 1982 to 1997. We divided the patients into three groups as follows;Ⅰgroup:1982-1987, Ⅱ group:1988-1992, Ⅲ group :1993-1997 and compared the test results. The patch tests were performed with standard batteries, cosmetic-related allergens and the patients’s own cosmetics. Results:The results of the studie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rends of increasing positivity in cosmetic-induced dermatitis was noted in a chronologic point of view. Among the patients, an increased proportion of males was notable. 2. In age distribution, a decreasing proportion of patients at the third & the fourth decades was observed. Contrary to this, the proportion of patients over the fifth decades was increased. 3. Among standard allergens, nickel sulphate showed the highest positive rate in all defined triple periods, whereas positive rates of neomycin sulphate & balsam the highest positive rate in all defined triple periods, whereas positive rates of meomycin sulphate & balsam of Peru were diminishing sequentially. Among fragrance allergens, cinnamic alcohol & cinnamic aldehyde revealed the highest positive rates. 4. In as is test, skin care products showed the highest positive rate, followed by toiletries and makeup products. Increasing positive rates of the toiletry products were observed in order of time. In fragrance products, positive rates reached their peak in the second period and declined in the third period. Conclusion:This study showed that perfume components were the most frequent allergens in cosmetics followed by preservative agents. Our study showed that cosmetic allergies in men seems to have increased.(Korean J Dermatol 1999;37(8):1009~101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