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1920-30년대 현모양처에 관한 연구 = 현모양처의 두 얼굴, 되어야만 하는 ‘賢母’ 되고 싶은 ‘良妻’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Ⅰ. 들어가며
      • Ⅱ. 신여성, 현모양처 되다
      • Ⅲ. 신여성의 다른 이름, 賢母와 良妻
      • Ⅳ. 현모양처, 신여성의 막힌 출구
      • 〈Abstract〉
      • Ⅰ. 들어가며
      • Ⅱ. 신여성, 현모양처 되다
      • Ⅲ. 신여성의 다른 이름, 賢母와 良妻
      • Ⅳ. 현모양처, 신여성의 막힌 출구
      • Ⅴ. 나오며: 현모양처와 가부장제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아동의 탄생 청탑』과 1920-30년대 한국 여성 문학론. 여성문화의 새로운 시각"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03

      2 "근대 계몽기 서사물에 나타난 ‘신체’인식과 그 형상화에 관한 연구. ." 2000

      3 "굽 높흔 저 여자가 누구뇨." 한겨레출판사 2004

      4 "搖らぐ家族神話. <靑鞜>を 讀む." 學藝書林 1998

      5 "<戀愛と結婚>(.エレン · ケイ)と セクンロジー.<靑鞜>を 讀む" 學藝書林. 1998

      6 ". 한국 근대 사회의 형성에서 전통과 근대 가족과 여성 관념을 중심으로. 사회와 역사" 11-42, 1988

      7 ". 초기 ‘신여성’의 사회진출과 여성교육 1910-1920년대 초반 여자 일본유학생을 중심으로." 11 : 46-63, 2000

      8 ". 조선과 일본에서의 현모양처 사상에 관한 비교연구 개화기로부터 1940년대 전반을 중심으로. ." 1998

      9 ". 조선 ‘신여성’의 연애관과 결혼관의 변혁.외. ." 청년사 2003

      10 ". 조선 ‘신여성’의 내셔널리즘과 젠더.." 청년사. 2003

      1 "아동의 탄생 청탑』과 1920-30년대 한국 여성 문학론. 여성문화의 새로운 시각"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03

      2 "근대 계몽기 서사물에 나타난 ‘신체’인식과 그 형상화에 관한 연구. ." 2000

      3 "굽 높흔 저 여자가 누구뇨." 한겨레출판사 2004

      4 "搖らぐ家族神話. <靑鞜>を 讀む." 學藝書林 1998

      5 "<戀愛と結婚>(.エレン · ケイ)と セクンロジー.<靑鞜>を 讀む" 學藝書林. 1998

      6 ". 한국 근대 사회의 형성에서 전통과 근대 가족과 여성 관념을 중심으로. 사회와 역사" 11-42, 1988

      7 ". 초기 ‘신여성’의 사회진출과 여성교육 1910-1920년대 초반 여자 일본유학생을 중심으로." 11 : 46-63, 2000

      8 ". 조선과 일본에서의 현모양처 사상에 관한 비교연구 개화기로부터 1940년대 전반을 중심으로. ." 1998

      9 ". 조선 ‘신여성’의 연애관과 결혼관의 변혁.외. ." 청년사 2003

      10 ". 조선 ‘신여성’의 내셔널리즘과 젠더.." 청년사. 2003

      11 ". 일제하 모성에 관한 연구 전시체제와 모성의 식민화를 중심으로. ." 2001

      12 ". 일제하 ‘어린이기’의 형성과 가족변화에 관한 연구. ." 1998

      13 ". 일제하 ‘신여성’과 가부장제 근대성과 여성성에 대한 식민담론의 재조명." 8 : 161-207, 1995

      14 ". 일제하 ‘신여성’ 담론에 관한 분석 여성주체 형성과정을 중심으로. ." 1999

      15 ". 일제시대 한국에서의 의료체계의 변화와 그 사회적 성격. ." 1997

      16 ". 일제시기 조선의 ‘현모양처’ 여성관의 연구. ." 1997

      17 ". 일제 식민지시기 조선의 출산통제 담론의 연구." 1999

      18 ". 연애의 시대. 현실문화사." 2003

      19 ". 여성운동과 모성담론." 7 (7): 47-64, 1997

      20 ". 식민지 여성교육과 지식의 식민지성 식민 권력과 근대성의 각축." 59 : 83-109, 2001

      21 ". 식민지 여성교육 사례연구 경성여자고등보통학교를 중심으로. ." 1998

      22 ". 식민지 시기 가족에 대한 계보학적 연구 어린이. 모성 형성을 중심으로." 71-105, 2000

      23 ". 개화기 ‘남녀동등’ 담론에 나타난 여성에 대한 계몽의 시각." 20 (20): 87-101, 2002

      24 ". 개항기 개신교 의료선교와 몸에 대한 인식틀의‘근대적’ 전환.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4

      25 ". 가사노동담론과 한국근대가족 1920. 30년대를 중심으로." 15 (15): 153-184, 1999

      26 ". 가부장제와 자본주의. 녹두." 1994

      27 ". ‘신여성’. 열려있는 과거. 멎어 있는 현재로서의 역사쓰기." 11 : 6-28, 2000

      28 ". 1920년대 여성담론 형성에 관한 연구 ‘신여성’의 주체형성 과정을 중심으로. ." 2003

      29 ". 1920년대 신여성 연구 『신여자』와 『신여성』을 중심으로. 여성. ." 국학자료원 2001

      30 ". 1920-30년대 ‘신여성’과 사회주의 신여성에서 프로 여성으로. 한국민족운동사연구" 101-128, 199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12-3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가정관리학회지 -> 가정과삶의질연구
      외국어명 : J.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 Journal of Families and Better Life
      KCI등재
      2020-12-16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가정관리학회 -> 가정과삶의질학회
      영문명 : The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 Association of Families and Better Life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6-15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47 1.47 1.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42 1.47 1.767 0.1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