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노인일자리사업의 성과 예측 모형 = An Outcome Prediction Model for Participants of Job Creation Project for the Elderly: Based on Living Area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47422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구분(농촌지역과 도시지역)에 따라, 노인일자리사업 성과를 증가시키는 변인들의 조합을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의사결정나무 모형을 통해 노인일자리사업 성과...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구분(농촌지역과 도시지역)에 따라, 노인일자리사업 성과를 증가시키는 변인들의 조합을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의사결정나무 모형을 통해 노인일자리사업 성과에 대한 각 변인들의 타당성 검증의 절차를 거쳤다. 그 결과는 첫째, 농촌지역과 도시지역 노인일자리사업 성과를 가장 효과적으로 예측하는 변인은 참여자의 직무만족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인일자리사업 참여자가 직무에 대해 매우 만족한다는 조건하에 농촌지역은 (생계형/동료관계중시형/건강증진형) 모형이, 그리고 도시지역은 (공익형/건강증진형) 모형이 노인일자리사업 성과를 효과적으로 예측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함의와 제언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a valid index to measure the outcome of the Job Creation Project for the elderly, especially focusing on living areas. The decision tree analysis was used to examine validity and identify the combination of v...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a valid index to measure the outcome of the Job Creation Project for the elderly, especially focusing on living areas. The decision tree analysis was used to examine validity and identify the combination of variables that predict better outcomes of the Job Creation Project for the elderly, based on job satisfaction. Job satisfaction was the most important predictor to determine the outcome of the Job Creation Project for the elderly regardless of living areas. When the participants were very satisfied with their job, the conditions that predict the better outcome of the Job Creation Project for the elderly were different according to living areas. Participants in rural areas showed better outcomes if they spent salaries on their living expenses and utilized health care services more than three times per month, poorer outcomes if they were not satisfied with the relationship with co-workers. On the other hand, participants in urban areas showed better outcomes when they participated in public works, had disorders of the musculoskeletal system, were illiterate, or had an education level at the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level.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are provided based on the result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문제제기
      • Ⅱ. 선행연구 논의 및 이론적 고찰
      • III. 연구방법
      • IV. 분석결과
      • V. 결론
      • I. 문제제기
      • Ⅱ. 선행연구 논의 및 이론적 고찰
      • III. 연구방법
      • IV. 분석결과
      • V. 결론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