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 치매예방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관한 메타분석: 인지, 자극, 통합 프로그램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07323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의 정상인지 노인과 경도인지장애 노인 대상 치매예방 프로그램들의 전체 효과크기와 조절변인에 따른 효과크기를 알아보는데 있다. 분석대상은 2000년 1월부터 2019년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의 정상인지 노인과 경도인지장애 노인 대상 치매예방 프로그램들의 전체 효과크기와 조절변인에 따른 효과크기를 알아보는데 있다. 분석대상은 2000년 1월부터 2019년 4월까지의 국내 학위논문과 학술지논문 77편에서 추출된 총 184개의 효과크기이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치매예방 프로그램의 전체 효과크기는 큰 효과크기(g=0.85)로 나타났다. 둘째, 접근법에 따른 치매예방 프로그램의 효과크기를 분석한 결과, 자극중심 접근법, 통합적 접근법은 큰 효과크기에 해당하였고, 인지중심 접근법은 중간 효과크기에 해당하였다. 셋째, 종속변인에 따른 효과크기는 인지중심 접근법과 통합적 접근법은 자아존중감에서, 자극중심 접근법은 치매예방행위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넷째, 조절효과 분석 결과, 인지중심 접근법은 회기 당 교육시간이 90분 이상-120분 미만일 때 가장 효과적이었다. 자극중심 접근법은 총 교육기간이 17주 이상일 때, 총 회기 수가 41회기 이상일 때, 회기 당 교육시간이 90분 이상-120분 미만일 때 가장 효과적이었다. 통합적 접근법은 주당회기 수가 주 2회일 때, 회기 당 교육시간이 90분 이상-120분 미만일 때 가장 효과적이었다. 이러한 결과에 따른 제언은 첫째, 치매예방 프로그램의 정책적 활성화와 둘째, 자극중심 접근법이 우선되어야 한다는 점과, 셋째, 치매예방 프로그램의 접근법에 따라 참가자 특성, 프로그램 운영 특성을 고려해야 한다는 점이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size of overall effect and moderator variable-dependent effects of dementia prevention programs for old people with normal cognition and mild cognitive impairment in Korea. To this end, we analyzed total 184 effect s...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size of overall effect and moderator variable-dependent effects of dementia prevention programs for old people with normal cognition and mild cognitive impairment in Korea. To this end, we analyzed total 184 effect sizes extracted from 77 dissertations and academic journal papers published in Korea from January, 2000 to April, 2019. First, we found that the overall effect size of the dementia prevention programs was large (g=0.85). Second, by comparing the effect sizes of the dementia prevention programs across approaches, we found that the stimulation-oriented and the integrated approaches led to a large effect size and the cognition-oriented approach led to a intermediate effect size. Third, by comparing the sizes of effects on dependent variables across approaches, we found that the cognition-oriented and the integrated approaches resulted in the largest effect on self-esteem, whereas the stimulation-oriented approach resulted in the largest effect on dementia prevention behavior. Fourth, by comparing the effects across the duration of education for each approach, we found that the cognition-oriented approach was the most effective when the duration of each session was 90-120 minutes; the stimulation-oriented approach was the most effective when the total duration of education was 17 weeks or longer, the total number of sessions was 41 or more, and the duration of each session was 90-120 minutes; the integrated approach was the most effective when the number of sessions per week was two and the duration of each session was 90-120 minutes. Collectively, these results provide three lessons: 1) dementia prevention programs should be activated in policy level; 2) a priority should be placed on the stimulation-oriented approach; and 3) the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and program management should be considered depending on the approaches of dementia prevention program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Ⅲ. 연구방법
      • Ⅳ. 연구 결과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Ⅲ. 연구방법
      • Ⅳ. 연구 결과
      • Ⅴ.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송후승, "후기노인을 위한 치매예방 통합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고신대학교 대학원 2017

      2 박미희, "협응이동훈련이 경도인지장애노인의 낙상관련체력과 균형에 미치는 영향" 호남대학교 대학원 2019

      3 김경윤, "한국 경도인지장애 노인을 위한 인지기능 향상 프로그램의 효과: 메타분석" 한국성인간호학회 29 (29): 177-189, 2017

      4 임춘옥, "퍼즐 프로그램이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인지기능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 청운대학교 대학원 2017

      5 공은숙, "통합적 인지훈련프로그램의 노인 인지기능에 미치는 효과" 한국콘텐츠학회 14 (14): 332-342, 2014

      6 천정민, "통합예술치료를 활용한 그룹 언어중재 프로그램이 경도 신경인지장애 노인의 의사소통과 인지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언어치료학회 25 (25): 165-185, 2016

      7 서은경, "토피어리요법이경도인지장애를가진요양병원노인의인지기능, 우울및일상생활행동에 미치는 효과" 인제대학교 2017

      8 김승배, "태권도 품새 수련이 고령자의 치매인자 및 운동능력에 미치는 영향" 동아대학교 대학원 2009

      9 문대성, "태권도 운동이 허약 고령자의 건강체력과 인지능력 및 치매유발인자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 19 (19): 875-887, 2010

      10 전찬복, "탄성밴드 운동이 경도인지장애 고령여성의 치매척도 및 심혈관계 위험 인자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 23 (23): 1201-1213, 2014

      1 송후승, "후기노인을 위한 치매예방 통합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고신대학교 대학원 2017

      2 박미희, "협응이동훈련이 경도인지장애노인의 낙상관련체력과 균형에 미치는 영향" 호남대학교 대학원 2019

      3 김경윤, "한국 경도인지장애 노인을 위한 인지기능 향상 프로그램의 효과: 메타분석" 한국성인간호학회 29 (29): 177-189, 2017

      4 임춘옥, "퍼즐 프로그램이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인지기능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 청운대학교 대학원 2017

      5 공은숙, "통합적 인지훈련프로그램의 노인 인지기능에 미치는 효과" 한국콘텐츠학회 14 (14): 332-342, 2014

      6 천정민, "통합예술치료를 활용한 그룹 언어중재 프로그램이 경도 신경인지장애 노인의 의사소통과 인지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언어치료학회 25 (25): 165-185, 2016

      7 서은경, "토피어리요법이경도인지장애를가진요양병원노인의인지기능, 우울및일상생활행동에 미치는 효과" 인제대학교 2017

      8 김승배, "태권도 품새 수련이 고령자의 치매인자 및 운동능력에 미치는 영향" 동아대학교 대학원 2009

      9 문대성, "태권도 운동이 허약 고령자의 건강체력과 인지능력 및 치매유발인자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 19 (19): 875-887, 2010

      10 전찬복, "탄성밴드 운동이 경도인지장애 고령여성의 치매척도 및 심혈관계 위험 인자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 23 (23): 1201-1213, 2014

      11 김명숙, "컴퓨터 인지강화 프로그램이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인지기능, 우울, 자아존중감 및 일상생활 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성인간호학회 28 (28): 691-700, 2016

      12 김수연, "치매환자를 위한 운동프로그램의 제공 현황과 개선방안" 한국여성체육학회 31 (31): 131-152, 2017

      13 김석선, "치매예방프로그램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국내문헌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18 (18): 89-98, 2018

      14 박금숙, "치매예방을 위한 활동 프로그램이 지역사회 노인의 우울, 인지기능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대한한방신경정신과학회 24 (24): 353-362, 2013

      15 이윤미, "치매예방 통합프로그램이 경증인지 장애노인의 인지기능, 우울, 자아 존중감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한국성인간호학회 19 (19): 787-796, 2007

      16 양은혜, "치매예방 통합운동 프로그램이 노인여성의 인지기능, 건강체력 및 심장∙뇌혈관계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대학원 2016

      17 박주홍, "치매박사 박주홍의 뇌 건강법" 학지사 2017

      18 김연희, "치매노인대상미술치료프로그램의인지기능증진효과에대한메타분석" 원광대학교 대학원 2018

      19 김소영, "치매노인 가족의 부양부담과 부양자의 삶의 질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정책·산업대학원 2013

      20 김은영, "치매 환자의 문제행동을 위한 자극지향적 중재의 효과 연구: 체계적 고찰과 메타분석" 한국간호과학회 46 (46): 475-489, 2016

      21 신미경, "체력에 따른 그룹별 맞춤형 운동 프로그램이 노인의 지각된 건강 상태, 체력, 우울 및 인지기능에 미치는 효과" 한국성인간호학회 20 (20): 613-625, 2008

      22 김영희, "집단미술치료가 치매위험군 노인의 기억 및 우울에 미치는 효과"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23 김준수, "집단미술치료가 경도 신경인지장애 노인의 의사소통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미술치료학회 25 (25): 21-39, 2018

      24 이주연, "짐볼 운동 프로그램이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하지기능과 우울증에 미치는 효과"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2012

      25 박상미, "지역사회에 거주하는초기치매 및 경도인지장애 환자의 인지재활치료에 관한 체계적 고찰" 6 (6): 39-63, 2017

      26 양경희, "지역사회노인의 인지기능과 정서수준에 대한 치매예방통합프로그램의 효과" 한국자료분석학회 19 (19): 2159-2173, 2017

      27 차유진, "지역사회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작업회상치료 프로그램의 효과" 한국산학기술학회 17 (17): 605-614, 2016

      28 최연희, "지역 주민 건강리더를 활용한 자조운동 프로그램이 노인의 체력, 인지기능, 우울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한국지역사회간호학회 24 (24): 346-357, 2013

      29 홍순국, "저항성운동이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뇌파 및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3

      30 송낙훈, "저항성 운동이 경도인지장애 노인여성의 인지기능 및 치매위험요인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학회 14 (14): 305-315, 2016

      31 한영란, "재가 노인을 위한 집단인지기능향상프로그램이 인지기능, 우울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한국간호과학회 40 (40): 724-735, 2010

      32 박외정, "재가 노인을 위한 인지행동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 : 치매불안노인을 대상으로" 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2012

      33 김연화, "재가 노인을 위한 인지강화 노-노(No-老) 프로그램의 효과"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6 (6): 231-240, 2016

      34 허성진, "작업기억훈련이경도인지장애환자의인지기능에미치는영향" 경운대학교대학원 2016

      35 박정희, "임상미술치료가 경도인지장애(MCI)고위험군의 신경심리학적 기능에 미치는영향" 차의과학대학교 대학원 2012

      36 이민수, "인지기능 향상프로그램이 치매위험군 노인의 인지기능 및 우울지수에 미치는영향" 중부대학교 대학원 2016

      37 김갑묵, "인지강화훈련이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인지기능과 우울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2016

      38 박장덕, "인지-운동프로그램 참여가노인들의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울산대학교대학원 2017

      39 김권민, "이중과제운동이 경도인지장애환자의 보행기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 26 (26): 1065-1073, 2017

      40 정민기, "이중과제 운동프로그램이 경도인지장애 환자의 인지기능 및 체력에 미치는 영향"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6

      41 조아람, "음악치료 프로그램이 치매노인에게 미치는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5

      42 오혜원, "융합형 맞춤 작업치료 활동프로그램이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심리 안정과 사회참여에 미치는 영향"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4 (14): 449-457, 2016

      43 박경순, "웹 기반의 치매 예방 융합교육 프로그램이 지역사회 노인의 인지기능, 우울, 치매예방 행위에 미치는 효과" 11 (11): 3-15, 2016

      44 김경아, "운동·인지 이중과제 프로그램이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인지기능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성인간호학회 27 (27): 707-717, 2015

      45 신미경, "운동 프로그램이 노인의 전두엽 인지기능에 미치는 효과" 한국간호과학회 39 (39): 107-115, 2009

      46 배미정, "우울한 독거노인의 자기-자비 증신을 위한 통합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의 효과"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8

      47 조현미, "요양시설입소 후기노인의 동기면담 기반 치매예방 프로그램 효과" 한국지역사회간호학회 28 (28): 260-270, 2017

      48 이나래, "오류배재학습을병행한시간차회상훈련이경도인지장애환자의기억력과 수단적 일상생활(I-ADL)에 미치는 효과" 2 : 5-19, 2013

      49 대한예방의학회, "예방의학과 공중보건학Ⅰ" 계축문화사 2017

      50 선정주, "여성독거노인을 위한 치매예방 통합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중소기업융합학회 7 (7): 55-64, 2017

      51 방현석, "여성노인의 유형별 운동수행이 알츠하이머 치매관련인자, 인지기능 및 낙상관련 체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 27 (27): 1289-1304, 2018

      52 후카츠 료, "약 없이 치료하는 치매" 주식회사 노인연구정보센터 2012

      53 황성동, "알기 쉬운 메타분석의 이해" 학지사 2015

      54 남지영, "악기중심의 음악 치매예방프로그램이 일반노인에게 미치는 영향 : 인지기능, 우울, 생활만족도 중심으로" 평택대학교 대학원 2017

      55 연분홍, "아쿠아로빅 운동이 노인여성의 알츠하이머 치매관련인자 및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 26 (26): 983-991, 2017

      56 김능연, "실버인지건강프로그램이노인의인지기능향상에미치는영향에대한연구" 원광대학교 대학원 2017

      57 서정은, "신체활동이 노인치매환자의 운동기능 및 인지·정서기능에 미치는 영향: 메타분석" 한국스포츠학회 13 (13): 363-373, 2015

      58 이성희, "신체활동을 동반한 인지자극 프로그램이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인지능력과 수단적 일상생활수행능력,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림대학교 대학원 2018

      59 정해진, "스퀘어 스텝 프로그램이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인지기능과 신체운동기능에 미치는 효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8

      60 이유진, "스위스볼 프로그램이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인지기능과 하지기능에 미치는 효과" 경운대학교 대학원 2014

      61 신형수, "스위스볼 운동이 경도인지장애 여성노인의 하지기능에 미치는 효과" 대한물리의학회 6 (6): 119-126, 2011

      62 김찬회, "수중운동 프로그램이 여성 노인의 인지기능 및 알츠하이머형 치매관련인자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 51 (51): 627-637, 2012

      63 한승완, "세라밴드 운동이 경도 인지장애(MCI)고령여성의 기능체력 변화에 영향" 한국체육과학회 24 (24): 1319-1329, 2015

      64 김희재, "비타민D 흡수가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16주 복합운동프로그램 시 체력과 알츠하이머 위험인자에 미치는 영향"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2017

      65 이소은, "복합운동프로그램이 경도인지장애노인의 대사성위험인자 및 골밀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 21 (21): 913-922, 2012

      66 김경한, "복합 인지향상프로그램이 여성 노인의 치매위험인자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 58 (58): 259-269, 2019

      67 김선심, "보드게임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을 통한 치매예방 효과에 관한 연구" 중앙신학대학교 대학원 2017

      68 김춘배, "메타분석" 대한예방의학회 175-200, 2002

      69 최연희, "레크리에이션병합 체조프로그램이 후기 여성노인의 체력, 우울, 인지기능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한국간호과학회 42 (42): 843-852, 2012

      70 김요한, "라파엘 스마트 글러브 적용이 경도인지장애 환자의 인지기능 및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 12 (12): 75-86, 2018

      71 중앙치매센터, "대한민국 치매현황 2019" 2020

      72 방현석, "단계적 저항운동과 수중운동이 여성노인의 알츠하이머 치매관련인자, 등속성 근 기능 및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발육발달학회 23 (23): 105-114, 2015

      73 최현주, "노인치매 예방을 위한 건강증진 프로그램 개발 방향" 한국체육과학회 25 (25): 329-337, 2016

      74 곽아람, "노인의 자아존중감 향상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4

      75 권중돈, "노인복지론" 학지사 2004

      76 이형주, "노인교육 프로그램이 노인의 인지적⋅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메타분석 –국내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3 (3): 1-30, 2017

      77 김남익, "노인 여성들의 걷기 명상 프로그램이 자율신경계 및 치매 위험 인자에 미치는 영향" 한국발육발달학회 25 (25): 15-23, 2017

      78 이혜숙, "노인 대상의 교육 및 치료 프로그램 효과 연구의 메타분석" 한국노인복지학회 (56) : 93-114, 2012

      79 원은경, "기억훈련이 경도인지장애환자의 인지증진에 미치는 영향" 용문상담심리대학원대학교 대학원 2014

      80 김춘미, "국내 치매노인을 위한 비약물요법 중재연구 동향분석" 한국노인간호학회 14 (14): 129-141, 2012

      81 유성모, "국내 메타분석 연구에서의 효과크기 계산의 정확도 비교" 한국자료분석학회 19 (19): 1233-1246, 2017

      82 김경윤, "국내 노인의 인지기능 향상 프로그램의 효과연구: 체계적 문헌고찰과 메타분석" 한국노년학회 37 (37): 431-444, 2017

      83 박지원, "교회 노인대학 경도인지장애 노인을 위한 기독교 인지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고신대학교 대학원 2017

      84 김순경, "고령여성의 복합운동이 인지기능·기능적 체력·혈중지질 및 치매관련인자에 미치는 영향"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1

      85 이강옥, "고령 여성들의 신체자극 운동과 걷기 프로그램 병행이 신체조성, 우울증 및 치매 위험 인자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 18 (18): 1011-1026, 2009

      86 강진규, "고령 여성들의 걷기와 신체활동 프로그램이 신체조성 및 치매 위험 인자에 미치는 영향" 관동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87 박연희, "경증신경인지장애 노인을 위한 지역사회 기반 융복합적 인지훈련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평가" 을지대학교 대학원 2017

      88 박수희, "경도인지장애의 치매 진행을 예방하기 위한 중재 효과에 관한 체계적 고찰"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 11 (11): 51-56, 2017

      89 김수연, "경도인지장애노인 대상 융복합 운동 프로그램의 효과: 신체 인지 기반 복합 인지-운동 중심"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3 (13): 587-595, 2015

      90 김정기, "경도인지장애(MCI)노인의 시지각 훈련 프로그램의 효과"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 9 (9): 35-41, 2015

      91 임은예, "경도인지장애 환자의 집단 작업치료 및 음악치료의 효과" 대한노인병학회 19 (19): 71-79, 2015

      92 한주현, "경도인지장애 환자를 위한 다요인 인지 능력 향상 프로그램의 효과"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7

      93 강미리, "경도인지장애 혹은 초기치매를 가진 환자에서 태극권의 효과" 38 : 7-13, 2017

      94 최인희, "경도인지장애 대상자를 위한 워크북 활용 인지기능강화 프로그램의 효과" 한국웰니스학회 12 (12): 439-452, 2017

      95 송명경,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인지향상 프로그램 중재효과" 한국보건간호학회 32 (32): 81-95, 2018

      96 김명숙, "경도인지장애 노인을 위한 행동변화단계에 근거한 인지중재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충남대학교 대학원 2014

      97 김두리, "경도인지장애 노인을 위한 불확실성 관리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연세대학교대학원 2016

      98 지은주, "경도인지장애 노인에게 적용한 웃음요법병합 인지강화 프로그램의 효과" 한국성인간호학회 26 (26): 34-45, 2014

      99 김신향, "경도인지장애 노인에게 실시한 인지기반중재의 효과에 대한 연구:체계적 고찰 및 메타분석" 한국성인간호학회 30 (30): 347-361, 2018

      100 송채훈, "건강증진운동이 노인여성의 알츠하이머 치매관련인자 및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 27 (27): 1219-1228, 2018

      101 Tappen, R. M., "The effect of skill training on functional abilities of nursing home residents with dementia" 17 (17): 159-165, 1994

      102 Littell, J.,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is" Oxford University Press 2008

      103 Cohen, J.,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Lawrence. Erlbaum Asscociates 1988

      104 Hedges, L., "Statistical Methods for Meta-analysis" Academic Press 1985

      105 황성동, "R을 이용한 메타분석" 학지사 2015

      106 Cooper, H. M., "Research Synthesis and Meta-Analysis : A Step-by-step Approach" SAGE publication Inc 2010

      107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Practice guideline for the treatment of patients with Alzheimer's disease and other dementias"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07

      108 안미향, "PASS 이론 기반 인지기능 향상프로그램이 경도인지장애 재가노인에게 미치는영향" 강원대학교 대학원 2019

      109 김수영, "NECA 체계적 문헌고찰 매뉴얼" 한국보건의료연구원 2011

      110 정필연, "MCI와 치매환자를 위한 인지기반 중재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19 (19): 199-212, 2014

      111 Durlak, J. A., "Implementation matters: A review of research on the influence of implementation on program outcomes and the factors affecting implementation" 41 (41): 327-350, 2008

      112 김동현, "IT 기기 활용 치매예방 프로그램이 고령자의 인지기능, 우울,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한국체육과학회 24 (24): 1191-1204, 2015

      113 Richardson, K., "Effects of occupational stress management intervention programs : A meta-analysis" 13 : 69-93, 2008

      114 Feldman, H. H., "Effect of rivastigmine on delay to diagnosis of Alzheimer's disease from mild cognitive impairment : The InDDEx study" 6 (6): 501-512, 2007

      115 Higgins, J., "Cochran Handbook for Systematic Reviews of Interventions Version 5.1.0, The Cochrane Collaboration"

      116 Egger, M., "Bias in meta-analysis detected by a simple, graphical test" 315 (315): 629-634, 1997

      117 Rabins, P. V.,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practice guideline for the treatment of patients with Alzheimer's disease and other dementias. Second edition" 164 (164): 5-56, 2007

      118 Duval, S., "A nonparametric ‘trim and fill’ method of accounting for publication bias in meta-analysis" 95 (95): 89-98, 2000

      119 이동원, "8주간의 High-speed power training이 경도인지장애를 가진 노쇠 노인의 근신경기능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7

      120 중앙치매센터, "2018 중앙치매센터 연차보고서" 2019

      121 천지언, "16주간의 복합운동이 고령여성의 치매관련인자, 우울감 및 인지기능에 미치는영향" 동의대학교 2015

      122 이중원, "12주간 협응력 운동프로그램 참여가 여성노인의 인지기능 및 Alzheimer's Disease형 치매관련인자에 미치는 영향" 한국웰니스학회 10 (10): 175-187, 2015

      123 강동헌, "12주간 high-speed 탄력 밴드 운동이 경도인지장애 고령여성의 인지 능력, 신체 수행 능력과 근력에 미치는 영향"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 14 (14): 26-32, 201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06-24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n Journal of Gerontological Social Welfare KCI등재
      2015-06-04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Society Of Welfare For The Aged -> Korean Society of Gerontological Social Welfare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64 1.64 2.1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34 2.61 2.658 0.3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