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운율경계와 억양하강에 따른 폐쇄음과 마찰음의 음향적 특성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G373895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어두에 위치한 치경 폐쇄음 [t], [th]와 마찰음 [s]에서 세 가지 음성적 매개변수인 폐쇄음의 VOT, 마찰음의 마찰구간의 지속시간 (Dur), F0를 측정하여 세 저해음의 음성적 특성을 운율...

      본 연구는 어두에 위치한 치경 폐쇄음 [t], [th]와 마찰음 [s]에서 세 가지 음성적 매개변수인 폐쇄음의 VOT, 마찰음의 마찰구간의 지속시간 (Dur), F0를 측정하여 세 저해음의 음성적 특성을 운율단위별로 규명함으로써 운율위계에 따른 음성적 강화 방식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는 U, IP, PP, Wd의 네 운율단위에 기반하여 음성적 강화 현상을 조사하고, 나아가 PP와 Wd 단위 내에서 동일한 운율경계라고 하더라도 발화 시작지점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PP1, PP2, PP3 및 Wd1, Wd2의 하위 단위를 설정하여 어두 자음의 음성적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본 실험은 경북 방언을 모국어로 사용하는 35명의 화자를 대상으로 음성 녹음을 실시하였는데, 그 가운데 음성 분석이 가능한 29명을 대상으로 폐쇄음의 VOT, 마찰음의 Dur, 그리고 F0를 측정하였다. 각 피실험자에 대하여 42개의 음향적 매개변수 측정값을 도출하였으며, 29명의 피실험자에 대하여 총 1,218개의 측정값을 토대로 통계 처리를 실시하였다.
      음성 분석 결과, 운율단위에 관계없이 각 매개변수의 측정치를 평균한 값은 다음과 같다. 폐쇄평음 [t]는 VOT가 29.20ms, F0가 238.53Hz, 폐쇄기식음 [th]는 VOT가 44.82ms, F0가 288.36Hz이며, 마찰음 [s]는 Dur가 73.80ms, F0가 282.54Hz로 나타났다. 폐쇄기식음의 VOT와 F0는 폐쇄평음보다 모두 높은 값으로 나타났으며 마찰음의 F0는 폐쇄기식음과 유사한 값으로 나타났다.
      음향적 매개변수인 VOT, Dur, F0의 평균값이 운율단위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를 조사하기 위해서 일원배치 분산분석, 반복측정 분산분석,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세 저해음에서 공통적으로 가장 일관성 있는 패턴을 보인 F0의 경우, IP와 PP 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반면, 이를 제외한 다른 운율단위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F0: U>IP,PP>Wd). VOT와 Dur의 경우, 세 저해음에서 모두 PP와 Wd 단위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U, IP, PP 간의 비교쌍에 대해서는 제한적으로 일관성 있는 패턴이 나타났다 (VOT-[t]: U>IP,PP>Wd; VOT-[th]: U>PP>Wd, IP=U or PP; Dur [s]: U,IP>PP>Wd).
      PP와 Wd 단위 내에서 발화지점에 따라 PP1, PP2, PP3 및 Wd1, Wd2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를 조사하기 위하여 비교쌍을 대상으로 대응표본 t-검정을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 of prosodic boundary on phonetic realizations of obstruents in word-initial position. Phonetic enhancement is examined in terms of acoustic parameters such as VOT, frication duration (Dur) and F0 of the alveolar st...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 of prosodic boundary on phonetic realizations of obstruents in word-initial position. Phonetic enhancement is examined in terms of acoustic parameters such as VOT, frication duration (Dur) and F0 of the alveolar stops [t] and [th] and the fricative [s]. In addition to the four major prosodic levels of U, IP, PP and Wd, this study examines phonetic properties of word-initial obstruents in different positions under the same prosodic level. Various positions under a single prosodic level of PP or Wd are scaled with reference to the relative phonological distance from the U-initial position.
      In the phonetic experiment 35 North Kyungsang Korean speakers participated in the recording of 21 experimental sentences, where three obstruents were located in prosodic boundaries of seven prosodic levels. Measurement of three acoustic parameters of VOT, Dur and F0 were obtained from the recording materials of 29 speakers and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basis of these measurements. Two acoustic parameters of VOT (or Dur) and F0 were measured for each word-initial segment in 21 experimental words. Thus, 42 tokens were obtained for each speaker, and in total, 1,218 acoustic measurements were obtained from the experiment.
      The results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