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개정 AEPS 검사에 기초한 교사용 영아발달 측정도구(출생-3세용)의 타당화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06217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영아 프로그램을 수행하면서 관찰을 통해 영아발달을 사정, 평가할 수 있는 교육과정 중심의 측정도구로서, 개정 AEPS 검사에 기초한 교사용 영아발달 측정도구(출생-3세용)의 타당...

      본 연구는 영아 프로그램을 수행하면서 관찰을 통해 영아발달을 사정, 평가할 수 있는 교육과정 중심의 측정도구로서, 개정 AEPS 검사에 기초한 교사용 영아발달 측정도구(출생-3세용)의 타당화를 위해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한 것이다. 연구대상은 1개월에서 36개월까지의 영아 총 56명, 유아교육 및 유아특수교육을 전공한 교수 5인과 어린이집 교사 15인 총 20명이다. 본 영아발달 측정도구의 타당화 분석을 위해 측정자간 일치도, 내용타당도, K-BSID-Ⅱ검사와의 공인타당도를 산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본 영아발달 측정도구가 영아를 대상으로 한 프로그램에서 교사가 영아의 발달을 사정, 평가할 수 있는 신뢰도와 타당도가 높은 도구이며 타당한 문항으로 구성되었음이 밝혀졌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ropose of this study was to construct and examine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Infant Development Scale for teacher Based on the Revised AEPS(Birth-3year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56 infants(Birth-3years) at D child educare and 5 e...

      The propose of this study was to construct and examine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Infant Development Scale for teacher Based on the Revised AEPS(Birth-3year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56 infants(Birth-3years) at D child educare and 5 early childhood professionals and 15 infant's teachers. Tests on validity and reliability were high in terms of content validity evaluated by early childhood professionals and infant's teachers, concurrent validity with K-BSID(Ⅱ), internal consistency among raters. It is concluded that the Infant Development Scale for teacher Based on the Revised AEPS(Birth-3years) can be used as a valid and reliable instrument to assess infant's development in Korea.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