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시공단계의 BIM기반 건설사업관리 업무절차 모델 개발 = Development of BIM-based Work Process Model in Construction Phas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92706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BIM과 건설사업관리(Construction Management; 이하 CM)는 건설정보를 통합 관리하고 신뢰성 있는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수단이라는 점에서 그 성격이 유사하기 때문에 BIM은 CM에 효율적으로 활용할 ...

      BIM과 건설사업관리(Construction Management; 이하 CM)는 건설정보를 통합 관리하고 신뢰성 있는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수단이라는 점에서 그 성격이 유사하기 때문에 BIM은 CM에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으나, CM 분야에서 BIM 도입은 미흡한 실정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시공단계의 CM 업무에 BIM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업무절차 모델 및 가이드를 제시하는 것이다. 문헌조사를 통해 BIM 기능을 BIM 전환설계, 모델 검토, 데이터 추출, 자동 견적, 4D 시뮬레이션, 도면 생성, 엔지니어링 분야 연계분석 등으로 정의하고, CM 업무와 프로세스를 분석하여 BIM의 적용이 가능한 CM 업무를 도출하였다. BIM 기능과 CM 업무 간 연관성 분석을 통해 기존의 업무절차를 BIM 기능과 연계하여 재구성하고, 사업 참여자별 역할을 재정립하여 BIM기반 CM 업무절차 모델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모델의 효용성을 향상시키고자 면담조사와 사례조사를 통해 사업 참여자들의 BIM 업무를 기술한 가이드를 작성하였다. 또한 BIM기반 CM 업무절차 모델의 활용성을 검증하기 위한 선행연구의 BIM 프로세스와 비교 분석하고 전문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이 연구는 CM 분야에서 BIM의 활용성을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다. 향후에는 사례적용을 통해 실무적 관점에서 모델을 평가할 필요가 있으며, BIM 도입으로 인한 CM 업무의 확대를 고려하여 지속적으로 BIM기반 CM 업무절차 모델을 업데이트할 필요가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IM can be utilized variously in construction management(CM) in the respect that it helps to manage comprehensively the construction information and make reliable decisions, but the adoption of BIM is insufficient in the CM area. The purpose of this s...

      BIM can be utilized variously in construction management(CM) in the respect that it helps to manage comprehensively the construction information and make reliable decisions, but the adoption of BIM is insufficient in the CM a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work process models and their guides in order to utilize BIM effectively in CM work at construction stage. This study defined BIM functions as 'BIM converting design', 'Model review', 'Data extraction', 'Automatic estimate', '4D simulation', 'Drawing creation', 'Engineering sector linkage analysis' through literature search, and generated CM works applicable to BIM by analyzing the CM work and process. This study developed BIM-based CM work process models by reconstructing the existing work process in connection with BIM function through an analysi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IM function and CM work, and reconstructing the role of each project participants. In order to improve the usefulness of the developed models, guides that described the BIM works of project participants were prepared through interviews and case studies. To validate the utilization of the models, a comparative analysis on the BIM process of precedent studies was also made and a survey was conducted on experts.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increasing the utilization of BIM in the CM area and can be helpful for CM companies to develop an in-house BIM guide. In the future, it will be necessary to make an assessment on the models from a business perspective through case applications and constantly update BIM-based CM work process model in consideration of the expansion of CM work due to the application of BIM.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영호, "협업체계 구축을 통한 시공단계 BIM 적용 사례연구" 2009

      2 전승호, "초고층 건축물 시공단계에서의 BIM 적용성에 관한 연구" 2011

      3 조달청, "시설사업BIM적용기본지침서"

      4 박찬식, "시공성 분석업무 개선을 위한 BIM 기술의 적용방안" 한국건설관리학회 11 (11): 137-146, 2010

      5 서희창, "공동주택 리모델링 시공단계에서의 BIM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2010

      6 국토해양부, "건축분야 BIM 적용가이드, 1판" 국토해양부 2010

      7 한국기술사회, "건설사업관리(CM) 지식체계, 1판" 기문당 2003

      8 강인석, "건설공사 진행단계별 4D CAD시스템의 적용방법론 및 프로세스 모델 구성" 대한건축학회 24 (24): 127-134, 2008

      9 Ning Gu, "Understanding and facilitating BIM adoption in the AEC industry" 19 : 988-999, 2010

      10 Vladimir Popov, "The use of a virtual building design and construction model for developing an effective project concept in 5D environment" 19 : 357-367, 2010

      1 김영호, "협업체계 구축을 통한 시공단계 BIM 적용 사례연구" 2009

      2 전승호, "초고층 건축물 시공단계에서의 BIM 적용성에 관한 연구" 2011

      3 조달청, "시설사업BIM적용기본지침서"

      4 박찬식, "시공성 분석업무 개선을 위한 BIM 기술의 적용방안" 한국건설관리학회 11 (11): 137-146, 2010

      5 서희창, "공동주택 리모델링 시공단계에서의 BIM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2010

      6 국토해양부, "건축분야 BIM 적용가이드, 1판" 국토해양부 2010

      7 한국기술사회, "건설사업관리(CM) 지식체계, 1판" 기문당 2003

      8 강인석, "건설공사 진행단계별 4D CAD시스템의 적용방법론 및 프로세스 모델 구성" 대한건축학회 24 (24): 127-134, 2008

      9 Ning Gu, "Understanding and facilitating BIM adoption in the AEC industry" 19 : 988-999, 2010

      10 Vladimir Popov, "The use of a virtual building design and construction model for developing an effective project concept in 5D environment" 19 : 357-367, 2010

      11 HU Zhenzhong, "Construction Process Simulation and Safety Analysis Based on Building Information Model and 4D Technology" 13 (13): 266-272, 2008

      12 Louise Sabol, "Challenges in Cost Estimating with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36 (36): 2007

      13 서울시립대학교, "CM 형태별 활성화 방안 및 업무절차서 개발 연구보고서, 1판"

      14 이치주, "CM 업무에서 BIM 도입 우선항목 도출- 초고층 공사의 CM 업무를 대상으로 -" 대한건축학회 27 (27): 115-122, 2011

      15 가상 건설시스템개발 연구단, "BIM적용 설계 가이드라인, 2판"

      16 김선영, "BIM기술분석을 통한 시공단계 BIM 기능운영모델 구축" 2011

      17 이승일, "BIM기반 골조공사의 시공성분석 업무 적용사례에 관한 연구" 한국건축시공학회 10 (10): 45-54, 2010

      18 전영웅, "BIM기반 건설현장 관리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건축시공학회 10 (10): 127-135, 2010

      19 정재국, "BIM 매니저 핵심역량 중요도 분석 - 대형 종합건설업체의 관점에서 -" 대한건축학회 28 (28): 175-182, 2012

      20 정준호, "BIM 기반의 시공단계 견적데이터를 활용한 일일 진도관리모델 구축 방안" 한국건설관리학회 12 (12): 23-34, 2011

      21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BIM Project Execution Planning Guide, Version 2.1"

      22 Timo Hartmann, "Aligning building information model tools and construction management methods" 22 : 605-613, 2012

      23 Ting Huang, "A virtual prototyping system for simulating construction process" 16 : 576-585, 2007

      24 박정준, "3D/4D CAD를 통한 시설물생애주기 관리 유용분야 도출" 200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12-23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건설관리 ->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4 0.54 0.5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3 0.5 0.772 0.2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