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만 5세 유아의 성별에 따른 탄력성과 기질 및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의 관계와 탄력성에 대한 이들 변인이 미치는 설명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대상은 대구광역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2517689
대구 :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학위논문(석사) --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2011. 8
2011
한국어
대구
ⅱ, 48 ; 26cm
지도교수 :유연옥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만 5세 유아의 성별에 따른 탄력성과 기질 및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의 관계와 탄력성에 대한 이들 변인이 미치는 설명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대상은 대구광역시...
본 연구의 목적은 만 5세 유아의 성별에 따른 탄력성과 기질 및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의 관계와 탄력성에 대한 이들 변인이 미치는 설명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대상은 대구광역시에위치한 어린이집 6곳에 재원 중인 만 5세 유아 136명과 그들의어머니이다. 유아의 탄력성 검사(구희정, 2010)와 기질 검사(김혜수, 1995) 및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검사(이경숙, 엄현경,신윤오, 2000)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를 분석하기 위하여Pearson의 적률상관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탄력성의 하위요인에 따라 기질은 일부 유의미한 상관이 있었다. 탄력성의 하위요인인 애착은 남아의 경우 사회성, 여아의 경우 진정성과 유의미한 상관이 있었다. 둘째, 탄력성의 하위요인에 따라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는 일부 유의미한 상관이 있었다. 탄력성의 하위요인인 주도성은 남아의 경우 적응성, 여아의 경우 적응성, 요구성과 유의미한 상관이 있었고, 탄력성의 하위요인인 자기통제는 남아의 경우 적응성, 과잉행동/주의산만도, 여아의 경우 적응성, 과잉행동/주의산만도, 요구성과 유의미한 상관이 있었다. 탄력성의 하위요인인 문제행동은 남아의 경우 적응성, 과잉행동/주의산만도, 우울감, 건강, 여아의 경우 적응성, 요구성과 유의미한 상관이 있었다. 셋째, 유아의 탄력성에 성별은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났고, 기질의 하위요인인 사회성과 감정성,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의 하위요인인 적응성, 과잉행동/주의산만도, 부모강화요인이 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유아의 탄력성, 기질,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도록 도움을 주었다. 따라서 유아의 탄력성을 증진시키기 위해 이러한 요인을 고려한 다양한 프로그램과 교육활동이 이루어져야 함을 제안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 among resilience, temperament, and mother's parenting stress according to gender of 5-year-olds. One hundred thirty six children and their mothers who were selected from six daycare centers locat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 among resilience, temperament, and mother's parenting stress according to gender of 5-year-olds. One hundred thirty six children and their mothers who were selected from six daycare centers located in Daegu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It were used to assess that children's resilience scale reconstructed by Gu(2010), temperament scale reconstructed by Kim(1995) and mother's parenting stress scale reconstructed by Lee, Eom, and Sin(2000).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for data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children's temperament and types of resilience. The attachment of resilience were correlated with boy's sociability and girl's soothing. Secondly, mother's parenting stress had some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types of resilience. The leadership of resilience was correlated with boy's and girl's adaptability and requisition. The self-control of resilience was correlated with boy's adaptability, inattention and girl's adaptability, inattention and requisition respectively. The behavior problems of resilience was correlated with boy's adaptability, inattention, depression, health and girl's adaptability and requisition respectively. Thirdly, young children's resilience could be predicted by the variable of gender. In addition, the sociability, emotion of temperament and adaptability, inattention of mother's parenting stress predicted young children's resilie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help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children's resilience, temperament, and mothers' parenting stress. Therefore, it suggests various program and educational activities with consideration of such factors to improve young children's resilience.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