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중, 고등학생인 청소년을 대상으로 SNS이용행태, 자기대상화의식, 자아존중감, 성적자기주장이 관련성이 있는지 확인하고 자기대상화의식과 성적자기주장간의 관계에서 자아...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4133259
부천 :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2016
학위논문(석사) --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 상담학과 상담심리학 전공 , 2016. 8
2016
한국어
158.3 판사항(21)
경기도
iv, 79 p. ; 26 cm.
지도교수: 유금란
가톨릭대학교 (성심)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참고문헌: p. 55-65
I804:41027-000002295123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중, 고등학생인 청소년을 대상으로 SNS이용행태, 자기대상화의식, 자아존중감, 성적자기주장이 관련성이 있는지 확인하고 자기대상화의식과 성적자기주장간의 관계에서 자아...
본 연구에서는 중, 고등학생인 청소년을 대상으로 SNS이용행태, 자기대상화의식, 자아존중감, 성적자기주장이 관련성이 있는지 확인하고 자기대상화의식과 성적자기주장간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이 매개 효과를 보이는지 SNS이용행태를 중심으로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지역 중학생과 고등학생 25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기대상화의식이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성적자기주장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하고 수집된 자료를 SPSS 17.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SNS이용행태와 자기대상화의식, 자아존중감, 성적자기주장은 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SNS이용행태는 자기대상화의식과 자아존중감과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기대상화의식은 자아존중감과 성적자기주장에 부적 상관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자기대상화의식과 성적자기주장간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은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자기대상화의식과 성적자기주장의 관계에서 성별에 따른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는 남학생은 부분 매개효과가, 여학생은 완전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넷째, 자기대상화의식과 성적자기주장의 관계에서 SNS이용 집단에 따른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는 SNS이용활동이 많은 집단과 적은 집단 모두 완전 매개효과가 나타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Digital Native세대인 청소년들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 자기대상화의식으로 인한 청소년의 성적자기주장의 어려움을 검증하였으며 상담적 접근을 위한 시사점과 연구의 제한점, 후속 연구에 대한 제안을 논의하였다.
주제어 : SNS이용행태, 자기대상화의식, 성적자기주장, 자아존중감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tried to check for adolescents in middle and high school if there was relevance among Social Network Service Use Pattern, Self Objectification Consciousness, Sexual Assertiveness, and Self Esteem and if there was a mediating effect of Self ...
This study tried to check for adolescents in middle and high school if there was relevance among Social Network Service Use Pattern, Self Objectification Consciousness, Sexual Assertiveness, and Self Esteem and if there was a mediating effect of Self Esteem between Self Objectification Consciousness and Sexual Assertiveness.
For this, a survey was conducted to 253 students in middle and high school in Seoul. Since Self Objectification Consciousness was assumed to affect Sexual Assertiveness mediated by Self Esteem, th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for the collected data by using SPSS 17.0.
The results shown in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relationship among Social Network Service Use Pattern, Self Objectification Consciousness, Sexual Assertiveness, and Self Esteem. Social Network Service Use Pattern was shown to be correlated negatively with Self Objectification Consciousness and Sexual Assertiveness, Self Objectification Consciousness was found to correlate negatively with Self Esteem and Sexual Assertiveness, too. Second, Self Esteem was confirmed to ful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 Objectification Consciousness and Sexual Assertiveness. Third, Self Esteem depending on sex was also confirmed to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 Objectification Consciousness and Sexual Assertiveness fully for boys and partially for girls. Fourth, Self Esteem depending on SNS user groups was verified to ful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 Objectification Consciousness and Sexual Assertiveness for both SNS frequent user group and SNS less user group.
Based on the result, this study broadened and deepened the understanding of the digital native generation youth, verified the youth’s challenges about sexual assertiveness because of self objectification consciousness, and finally discussed the development of factors and scales, the limitations, and the suggestions for the further study.
Keywords:
Social Network Service Use Pattern, Self Objectification Consciousness, Sexual Assertiveness, Self Esteem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