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SCOPUS SCIE KCI등재

      두부방사선 분석에 의한 상악전치부 후방이동시 연조직 변화 예측에 대한 연구 = SOFT TISSUE PROFILE CHANGE PREDICTION IN MAXILLARY INCISOR RETRACTION BASED ON CEPHALOMETRIC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99055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성장에 의한 효과를 배제한 교정치료시의 연조직 변화와 치아 및 악골의 수평적, 수직적 움직임과의 상관 관계를 알아보고 예측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해 Angle씨 2급 부정교합 환자...

      본 연구는 성장에 의한 효과를 배제한 교정치료시의 연조직 변화와 치아 및 악골의 수평적, 수직적 움직임과의 상관 관계를 알아보고 예측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해 Angle씨 2급 부정교합 환자 41명을 대상으로 치아 및 악골, 연조직의 수평, 수직이동의 평균 변화량을 측정하고 연조직에 대한 계단식 다중 회귀분석을 시행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경조직 계측항목 중 상악 중절치의 수평이동 및 기울기, 하악 중절치의 수평 및 수직이동, 수평피개량, 수직피개량, interincisal angle, 하악골 위치 변화 A, B, 경조직 측모 돌출각 등의 항목에서, 연조직 계측항목 중 상순의 두께 및 후방이동, 기울기, 하순의 후방이동 및 기울기, interlabial angle, 비순각, 이순각, Sn, Ss, Si, 연조직 측모 돌출각 등의 항목에서 치료 전과 후에 유의성 있게 변하였다(P<0.05).
      2. 치료 전 후 유의한 변화를 보인 연조직 계측항목을 분석한 결과 모든 항목에서 경조직의 변화에 대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3. 연조직 회귀방정식에 중절치 수평피개량, 상악 전치 절단연의 후방이동량, 상악 전치 치근의 후방이동량, Pg의 수평변화량이 가장 높은 빈도로 포함됨으로써 이들은 연조직의 수직 및 수평변화에 영향을 많이 미치는 요소로 나타났으며 하악 전치의 수직이동량은 포함되지 않음으로써 연조직 변화와 관련성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4. Sn의 수직 및 수평변화는 경조직의 가장 많은 항목과 연관됨으로써 (A, B, Pg(H), overjet, upper incisor angle, Ur, Is(H)) 여러 경조직 변화의 복합적인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5. 연조직 계측항목에 대한 상관계수(R2)의 범위는 0.2-0.6으로 중등도의 상관정도를 나타내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order to determine soft tissue response to incisor movement and mandibular repositioning and to determine feasibility of predicting vertical and horizontal changes in soft tissue with hard tissue movement. For this stud...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order to determine soft tissue response to incisor movement and mandibular repositioning and to determine feasibility of predicting vertical and horizontal changes in soft tissue with hard tissue movement.
      For this study, cephalometric records of 41 orthodontically treated adult females who had Angle`s Class II division 1 malocclusion were selected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employed.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by analysing the changes of soft tissue and hard tissue before and after treatment.

      1. Hard tissue measurements that showed significant changes before and after treatment were horizontal and angular changes of maxillary incisor, horizontal, vertical and angular changes of mandibular incisor, overjet, overbite, interincisal angle, mandibular repositioning, A, B, skeletal convexity and soft tissue measurements that showed significant changes were horizontal, thickness and angular changes of upper lip, horizontal and angular changes of lower lip, interlabial angle, nasolabial angle labiomental angle, Sn, Ss, Si and soft tissue convexity(P<0.05).
      2. All Soft tissue measurements changed significantly before and after treatment had between one and four hard tissue independent variables at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indicating that all soft tissue changes were direct relationship with hard tissue changes.
      3. Overjet, horizontal change of maxillary incisor, horizontal change of maxillary root apex and horizontal change of pogonion entered into prediction equations most frequentely, indicating that they were more significant variables in prediction of vertical and horizontal changes in the soft tissue with treatment, but vertical changes of mandibular incisor not entered any prediction equations, indicating that it was not considered a good predictor for soft tissue changes with maxillary incisor retraction.
      4. Horizontal and vertical changes in subnasale were found to have most independent variables, significant at the 0.05 level in prediction equations(△Sn(H):Ur, Is(H), Pg(H), UIA, △Sn(V): Is(H), Pg(H), overjet, A), indicating that subnasale changes are influenced by complex hard tissue interaction.
      5. Multiple correlation coefficient(R2) of the soft tissue prediction equations ranges from 0.2-0.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