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직무스트레스 요인분석 : 생산직 근로자를 대상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2522916

      • 저자
      • 발행사항

        용인 : 경희대학교, 2011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11

      • 작성언어

        한국어

      • DDC

        650 판사항(20)

      • 발행국(도시)

        경기도

      • 형태사항

        88 p. : 挿図 ;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정영주
        경희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참고문헌 : p.68-71

      • 소장기관
        • 경희대학교 국제캠퍼스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경희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생산직(반도체 등)근로자를 대상으로 직무스트레스 요인과 표본 별 특성에 대한 차이를 비교하였다. 현재 우리나라 중소기업 생산직의 개인적인 특성에 따라 미치는 직무스트레스 요인을 파악하여 향후 스트레스 관리 시 이를 활용하여 기업을 관리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연구주제와 관련된 선행연구와 참고문헌을 통하여 연구과제에 필요한 모형을 바탕으로 실증분석을 병행하고자 한다. 근로자의 일반적인 특성 및 건강관련 행위와 직업관련 특성에 따른 설문을 바탕으로 직무스트레스 요인의 어떠한 부분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 모형을 설계하고 연구 가설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생각되는 개인적인 특성에서는 직무 스트레스 요인의 차이를 밝히지 못하였고, 건강관련 행위와 직업관련 특성에 따라 몇 가지 차이점을 밝힐 수 있었다.
      우선 건강관련 행위와 직무스트레스 요인의 관계에서 다음과 같이 분석되었다.
      첫째, 음주를 하는 경우에 조직의 체계 및 보상 부적절에 대한 요인에 높은 직무스트레스를 보였다.
      둘째, 비 흡연자의 경우에는 직무 자율에 대한 요인에 높은 스트레스를 보였으며, 수면이 불 충분한 경우에는 보상 부적절 및 직장문화에 대하여 높은 직무스트레스를 보였다.
      셋째, 휴일이 거의 없는 경우에는 직무요구와 보상 부적절에 대하여 높은 직무스트레스를 보였다.
      그리고 직업관련 특성과 직무스트레스 요인의 관계는 아래와 같이 분석되었다.
      첫째, 비 정규직인 경우 직무자율 요인이 높은 스트레스 요인으로 밝혀졌다.
      둘째, 이직 경험이 있는 경우 직장문화에 대하여 높은 스트레스를 보였다.
      셋째, 주 근무시간이 50시간 이상인 경우에는 직무자율과 직장문화에 대하여 높은 직무스트레스를 보였다.
      그리고 위계적 다중 회귀분석을 통하여 직무스트레스 요인의 건강상태 영향력 알아보았다.
      본 연구는 특정 기업의 노동자 직무스트레스를 한국 일반 노동자와 비교하기 위해 표준화된 설문지를 사용함으로써 생산직 노동자의 특이적이고 구체적인 노동조건을 반영한 스트레스 항목을 사용하지 못하였다. 그리고 일반적인 임상지표를 사용하여 고위험군에 속한 노동자의 건강상태를 보다 객관화 시킬 수 있는데 이러한 연구는 향후 보충되어야 할 것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생산직(반도체 등)근로자를 대상으로 직무스트레스 요인과 표본 별 특성에 대한 차이를 비교하였다. 현재 우리나라 중소기업 생산직의 개인적인 특성에 따라 미치는 직무...

      본 연구의 목적은 생산직(반도체 등)근로자를 대상으로 직무스트레스 요인과 표본 별 특성에 대한 차이를 비교하였다. 현재 우리나라 중소기업 생산직의 개인적인 특성에 따라 미치는 직무스트레스 요인을 파악하여 향후 스트레스 관리 시 이를 활용하여 기업을 관리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연구주제와 관련된 선행연구와 참고문헌을 통하여 연구과제에 필요한 모형을 바탕으로 실증분석을 병행하고자 한다. 근로자의 일반적인 특성 및 건강관련 행위와 직업관련 특성에 따른 설문을 바탕으로 직무스트레스 요인의 어떠한 부분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 모형을 설계하고 연구 가설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생각되는 개인적인 특성에서는 직무 스트레스 요인의 차이를 밝히지 못하였고, 건강관련 행위와 직업관련 특성에 따라 몇 가지 차이점을 밝힐 수 있었다.
      우선 건강관련 행위와 직무스트레스 요인의 관계에서 다음과 같이 분석되었다.
      첫째, 음주를 하는 경우에 조직의 체계 및 보상 부적절에 대한 요인에 높은 직무스트레스를 보였다.
      둘째, 비 흡연자의 경우에는 직무 자율에 대한 요인에 높은 스트레스를 보였으며, 수면이 불 충분한 경우에는 보상 부적절 및 직장문화에 대하여 높은 직무스트레스를 보였다.
      셋째, 휴일이 거의 없는 경우에는 직무요구와 보상 부적절에 대하여 높은 직무스트레스를 보였다.
      그리고 직업관련 특성과 직무스트레스 요인의 관계는 아래와 같이 분석되었다.
      첫째, 비 정규직인 경우 직무자율 요인이 높은 스트레스 요인으로 밝혀졌다.
      둘째, 이직 경험이 있는 경우 직장문화에 대하여 높은 스트레스를 보였다.
      셋째, 주 근무시간이 50시간 이상인 경우에는 직무자율과 직장문화에 대하여 높은 직무스트레스를 보였다.
      그리고 위계적 다중 회귀분석을 통하여 직무스트레스 요인의 건강상태 영향력 알아보았다.
      본 연구는 특정 기업의 노동자 직무스트레스를 한국 일반 노동자와 비교하기 위해 표준화된 설문지를 사용함으로써 생산직 노동자의 특이적이고 구체적인 노동조건을 반영한 스트레스 항목을 사용하지 못하였다. 그리고 일반적인 임상지표를 사용하여 고위험군에 속한 노동자의 건강상태를 보다 객관화 시킬 수 있는데 이러한 연구는 향후 보충되어야 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本研究の目的は生産職(半導体等)の勤労者を対象に職務ストレスの要因と標本別の特性に対する違いを比較した。現在、韓国の中小企業の生産職の個人的な特性により与えられるストレスの要因を把握し今後のストレス管理時にこれを活用し企業を管理するのにその目的を置いている。
      本研究を達成させる為に研究の主題と関連した先行研究と参考文献を通じ研究課題に必要な模型を基礎に実証分析を平行しようとする。勤労者の一般的な特性および健康管理の行為と職業関連の特性による設問を基礎に職務ストレスの要因のどのような部分に影響を与えるのかに対する模型を設計し研究仮説を導出する。
      本研究では直接的に与えられるものと考えられる個人的な特性では職務ストレスの要因の違いを明かすことはできず、健康管理の行為と職業関連の特性により幾つかの違いを明かすことができる。
      先ず、健康関連の行為と職務ストレスの要因の関係で次のように分析される。
      はじめに、飲酒をする場合に組織の体系および保障の不適切に対する要因に高い職務ストレスを見せた。
      二番目に、非喫煙者の場合には職務の自律に対する要因に高い職務ストレスを見せ、睡眠が不十分な場合には保障の不適切および職場の文化に対し高い職務ストレスを見せた。
      三番目に、休日がほとんど無い場合には職務の要求と保障の不適切に対し高い職務ストレスを見せた。
      そして、職業関連の特性と職務ストレスの要因の関係は下の様に分析された。
      はじめに、非正規職の場合、職務自律の要因が高いストレスの要因と明かされた。
      二番目には、週勤務時間が50時間以上の場合には職務自律と職場文化に対し高い職務ストレスを見せた。
      そして、位階的な多重回帰分析を通じ職務ストレスの要因の健康状態の影響力を探ってみた。
      本研究は特定企業の労働者の職務ストレスを韓国の一般の労働者と比較する為の標準化された設問紙を使用した為に生産職の労働者の特異的で具体的な労働条件を反映したストレス項目を使用できなかった。そして一般的な臨床指標を使用しハイリスクグループに属する労働者の健康状態をより客観化できるが、このような研究は今後補充されなければならない。
      번역하기

      本研究の目的は生産職(半導体等)の勤労者を対象に職務ストレスの要因と標本別の特性に対する違いを比較した。現在、韓国の中小企業の生産...

      本研究の目的は生産職(半導体等)の勤労者を対象に職務ストレスの要因と標本別の特性に対する違いを比較した。現在、韓国の中小企業の生産職の個人的な特性により与えられるストレスの要因を把握し今後のストレス管理時にこれを活用し企業を管理するのにその目的を置いている。
      本研究を達成させる為に研究の主題と関連した先行研究と参考文献を通じ研究課題に必要な模型を基礎に実証分析を平行しようとする。勤労者の一般的な特性および健康管理の行為と職業関連の特性による設問を基礎に職務ストレスの要因のどのような部分に影響を与えるのかに対する模型を設計し研究仮説を導出する。
      本研究では直接的に与えられるものと考えられる個人的な特性では職務ストレスの要因の違いを明かすことはできず、健康管理の行為と職業関連の特性により幾つかの違いを明かすことができる。
      先ず、健康関連の行為と職務ストレスの要因の関係で次のように分析される。
      はじめに、飲酒をする場合に組織の体系および保障の不適切に対する要因に高い職務ストレスを見せた。
      二番目に、非喫煙者の場合には職務の自律に対する要因に高い職務ストレスを見せ、睡眠が不十分な場合には保障の不適切および職場の文化に対し高い職務ストレスを見せた。
      三番目に、休日がほとんど無い場合には職務の要求と保障の不適切に対し高い職務ストレスを見せた。
      そして、職業関連の特性と職務ストレスの要因の関係は下の様に分析された。
      はじめに、非正規職の場合、職務自律の要因が高いストレスの要因と明かされた。
      二番目には、週勤務時間が50時間以上の場合には職務自律と職場文化に対し高い職務ストレスを見せた。
      そして、位階的な多重回帰分析を通じ職務ストレスの要因の健康状態の影響力を探ってみた。
      本研究は特定企業の労働者の職務ストレスを韓国の一般の労働者と比較する為の標準化された設問紙を使用した為に生産職の労働者の特異的で具体的な労働条件を反映したストレス項目を使用できなかった。そして一般的な臨床指標を使用しハイリスクグループに属する労働者の健康状態をより客観化できるが、このような研究は今後補充されなければならない。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1. 연구의 배경과 목적 1
      • 1) 연구의 배경 1
      • 2) 연구의 목적 4
      • 2. 연구의 방법과 구성 5
      • Ⅰ. 서론 1
      • 1. 연구의 배경과 목적 1
      • 1) 연구의 배경 1
      • 2) 연구의 목적 4
      • 2. 연구의 방법과 구성 5
      • 1) 연구의 방법 5
      • 2) 연구의 구성 6
      •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8
      • 1.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이론적 배경 8
      • 1) 중소제조업 노동시장의 특성 8
      • 2) 생산직 종사자의 스트레스 관리 중요성 10
      • 2. 직무스트레스 요인과 전달과정 13
      • 1) 직무스트레스의 일반적 개념 13
      • 2) 직무스트레스의 유형과 요인 17
      • 3) 스트레스 전달과정 모형(선행 분석 등) 20
      • Ⅲ. 연구 모형 및 가설의 설정 34
      • 1. 연구모형 34
      • 2. 가설의 설정 36
      • Ⅳ. 연구의 분석 및 가설의 검증 37
      • 1. 연구의 분석 37
      • 1) 설문지의 구성 및 대상의 특성별 분석 37
      • 2) 측정항목의 신뢰도 검증 42
      • 2. 가설의 검증 43
      • Ⅴ. 연구의 결론 및 시사점 66
      • 1. 연구의 의의 및 평가 66
      • 1) 연구의 의의 66
      • 2) 연구의 평가 66
      • 2.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과제 67
      • 참고문헌 68
      • 설문지 72
      • 일문요약(日文要約) 7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