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보리순이 고지방을 급여한 마우스의 지질 함량과 간조직의 지질대사 관련 효소활성에 미치는 영향 = Effect of Young Barley Leaf on Lipid Contents and Hepatic Lipid-Regulating Enzyme Activities in Mice Fed High-Fat Die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57672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본 연구는 고지방 (열량의 37%를 지방으로 대체)을 급여한 마우스의 체중과 체내 지질함량에 미치는 보리순의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4주령의 ICR 마우스 (n = 32)를 1주일간 적응시킨 후 정상식이를 급여한 정상군, 고지방을 급여한 고지방대조군, 고지방-보리순분말군과 고지방-보리순열수추출물군으로 나누어 8주간 사육하였다. 보리순은 사람이 하루에 3잔의 차를 마시는 양을 고려하여 보리순 1%수준이 섭취되도록 분말과 열수추출물을 각각 식이에 첨가 · 조제하여 8주간 급여하였다. 식이섭취량은 보리순분말군이 고지방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낮았으나 보리순열수추출물은 식이섭취량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보리순분말과 보리순열수추출물은 고지방식이로 유도된 비만마우스의 체중을 효과적으로 낮추었으며 특히, 내장지방무게의 대표적 지표인 부고환지방조직 무게를 유적으로 낮추었다. 이는 보리순이 식이섭취 억제에 의존적으로 체중감소 효과를 나타내지 않음을 제시한다. 혈장의 총 콜레스테롤 함량은 보리순분말과 열수추출물 급여시 고지방 대조군에 비해 각각 25%와 20%의 감소효과를 보였으며 중성지질 함량은 보리순분말군과 열수추출물군 모두 28%와 43%의 유의적인 감소를 보였다. 또한 보리순분말과 보리순열수추출물은 혈장 중의 총 콜레스테롤에 대한 HDL-콜레스테롤 비(HTR)를 고지방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였다. 간조직과 지방조직의 트리글리세리드 함량은 정상군에 비해 고지방대조군이 각각 1.3배, 1.2배의 증가를 보였으나 보리순 분말과 열수추출물 급여시 모두 간조직과 지방조직의 트리글리세리드 함량이 정상군과 유사한 수준으로 개선되었다. 신장에서의 트리글리세리드 함량은 고지방식이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심장에서는 1.4배의 유의적인 증가를 나타내었으며, 보리순열수추출군에서만 유의적인 개선효과를 볼 수 있었다. 간조직과 신장의 콜레스테롤 함량은 실험군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심장 중의 콜레스테롤 함량은 고지방대조군이 정상군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 보리순열수추출물의 경우 심장의 콜레스테롤 함량을 유의적으로 낮추었다. 변중의 콜레스테롤 함량은 고지방 대조군이 정상군에 비하여 낮은 반면, 트리글리세리드 함량은 약 6배 높았다. 한편, 보리순말과 열수추출물 급여는 고지방 대조군에 비하여 변으로의 트리글리세리드 배설을 유의적으로 증가시켰으나 콜레스테롤 함량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간조직 중 FAS 활성은 정상군에 비해 고지방대조군에서 1.7배 높아진 반면, β-oxidation은 유의적으로 낮았다. 보리순분말과 열수추출물은 지방산 합성효소의 활성을 정상군 수준으로 개선하였으나 지방산 산화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콜레스테롤 합성에 관련하는 HMG-CoA reductase와 ACAT 활성은 각각 정상군보다 고지방대조군에서 각각 2.1배, 1.5배씩 높았으나 보리순분말과 열수추출물 급여시 유의적으로 낮았다. 이와 같이 보리순분말과 열수추출물은 고지방 식이로 비만을 유도한 마우스의 간조직에서 지방산과 콜레스테롤 합성을 저해함으로써 지질개선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고지방 (열량의 37%를 지방으로 대체)을 급여한 마우스의 체중과 체내 지질함량에 미치는 보리순의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4주령의 ICR 마우스 (n = 32)를 1주일간 적응시킨 후 정...

      본 연구는 고지방 (열량의 37%를 지방으로 대체)을 급여한 마우스의 체중과 체내 지질함량에 미치는 보리순의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4주령의 ICR 마우스 (n = 32)를 1주일간 적응시킨 후 정상식이를 급여한 정상군, 고지방을 급여한 고지방대조군, 고지방-보리순분말군과 고지방-보리순열수추출물군으로 나누어 8주간 사육하였다. 보리순은 사람이 하루에 3잔의 차를 마시는 양을 고려하여 보리순 1%수준이 섭취되도록 분말과 열수추출물을 각각 식이에 첨가 · 조제하여 8주간 급여하였다. 식이섭취량은 보리순분말군이 고지방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낮았으나 보리순열수추출물은 식이섭취량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보리순분말과 보리순열수추출물은 고지방식이로 유도된 비만마우스의 체중을 효과적으로 낮추었으며 특히, 내장지방무게의 대표적 지표인 부고환지방조직 무게를 유적으로 낮추었다. 이는 보리순이 식이섭취 억제에 의존적으로 체중감소 효과를 나타내지 않음을 제시한다. 혈장의 총 콜레스테롤 함량은 보리순분말과 열수추출물 급여시 고지방 대조군에 비해 각각 25%와 20%의 감소효과를 보였으며 중성지질 함량은 보리순분말군과 열수추출물군 모두 28%와 43%의 유의적인 감소를 보였다. 또한 보리순분말과 보리순열수추출물은 혈장 중의 총 콜레스테롤에 대한 HDL-콜레스테롤 비(HTR)를 고지방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였다. 간조직과 지방조직의 트리글리세리드 함량은 정상군에 비해 고지방대조군이 각각 1.3배, 1.2배의 증가를 보였으나 보리순 분말과 열수추출물 급여시 모두 간조직과 지방조직의 트리글리세리드 함량이 정상군과 유사한 수준으로 개선되었다. 신장에서의 트리글리세리드 함량은 고지방식이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심장에서는 1.4배의 유의적인 증가를 나타내었으며, 보리순열수추출군에서만 유의적인 개선효과를 볼 수 있었다. 간조직과 신장의 콜레스테롤 함량은 실험군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심장 중의 콜레스테롤 함량은 고지방대조군이 정상군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 보리순열수추출물의 경우 심장의 콜레스테롤 함량을 유의적으로 낮추었다. 변중의 콜레스테롤 함량은 고지방 대조군이 정상군에 비하여 낮은 반면, 트리글리세리드 함량은 약 6배 높았다. 한편, 보리순말과 열수추출물 급여는 고지방 대조군에 비하여 변으로의 트리글리세리드 배설을 유의적으로 증가시켰으나 콜레스테롤 함량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간조직 중 FAS 활성은 정상군에 비해 고지방대조군에서 1.7배 높아진 반면, β-oxidation은 유의적으로 낮았다. 보리순분말과 열수추출물은 지방산 합성효소의 활성을 정상군 수준으로 개선하였으나 지방산 산화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콜레스테롤 합성에 관련하는 HMG-CoA reductase와 ACAT 활성은 각각 정상군보다 고지방대조군에서 각각 2.1배, 1.5배씩 높았으나 보리순분말과 열수추출물 급여시 유의적으로 낮았다. 이와 같이 보리순분말과 열수추출물은 고지방 식이로 비만을 유도한 마우스의 간조직에서 지방산과 콜레스테롤 합성을 저해함으로써 지질개선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owdered young barley leaf and its water extract on body weight and lipid metabolism in high-fat fed mice. Male mice were divided into normal group, high-fat (HF) group, highfat group supplemented with powdered young barley leaf (HF-YBL) and high-fat group supplemented with water extract of the powdered young barley leaf (HF-WYBL). The powdered young barley leaf or its water extract was added to a standard diet based on 1% dried young barley leaf (1 g YBL/100 diet and 0.28 g WYBL/100 g diet) for 8 weeks. Supplementation of YBL and WYBL significantly reduced body weight and epididymal adipose tissue weight in highfat fed mice. Food intake and daily energy intake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YBL group than in the HF group. After 8 weeks, plasma triglyceride and cholesterol concentration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HF group than in the Normal group; however, both YBL and WYBL significantly lowered those of the high-fat fed mice. The ratio of HDL-cholesterol/total cholesterol of the YBL and WYBL groups were significantly elevated compared to that of HF group. Both YBL and WYBL significantly increased fecal excretion of triglyceride in high-fat fed mice, whereas they did not affect fecal cholesterol concentration. The triglyceride levels of liver, adipose tissue and heart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YBL and WYBL groups than in the HF group. Supplementation of WYBL also lowered the kidney triglyceride and heart cholesterol concentrations compared to those of HF group. Hepatic lipid regulating enzyme activities, fatty acid synthase, HMG-CoA reductase and acyl-coenzyme A: cholesterol acyltransferase,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YBL and WYBL groups than in the HF group. According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YBL and WYBL improve plasma and organ lipid levels partly by increasing fecal lipid excretion and inhibiting fatty acid and cholesterol biosynthesis in the liver. (Korean J Nutr 2009; 42(1): 14 ~ 22)
      번역하기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owdered young barley leaf and its water extract on body weight and lipid metabolism in high-fat fed mice. Male mice were divided into normal group, high-fat (HF) group, highfat group supplemente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owdered young barley leaf and its water extract on body weight and lipid metabolism in high-fat fed mice. Male mice were divided into normal group, high-fat (HF) group, highfat group supplemented with powdered young barley leaf (HF-YBL) and high-fat group supplemented with water extract of the powdered young barley leaf (HF-WYBL). The powdered young barley leaf or its water extract was added to a standard diet based on 1% dried young barley leaf (1 g YBL/100 diet and 0.28 g WYBL/100 g diet) for 8 weeks. Supplementation of YBL and WYBL significantly reduced body weight and epididymal adipose tissue weight in highfat fed mice. Food intake and daily energy intake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YBL group than in the HF group. After 8 weeks, plasma triglyceride and cholesterol concentration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HF group than in the Normal group; however, both YBL and WYBL significantly lowered those of the high-fat fed mice. The ratio of HDL-cholesterol/total cholesterol of the YBL and WYBL groups were significantly elevated compared to that of HF group. Both YBL and WYBL significantly increased fecal excretion of triglyceride in high-fat fed mice, whereas they did not affect fecal cholesterol concentration. The triglyceride levels of liver, adipose tissue and heart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YBL and WYBL groups than in the HF group. Supplementation of WYBL also lowered the kidney triglyceride and heart cholesterol concentrations compared to those of HF group. Hepatic lipid regulating enzyme activities, fatty acid synthase, HMG-CoA reductase and acyl-coenzyme A: cholesterol acyltransferase,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YBL and WYBL groups than in the HF group. According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YBL and WYBL improve plasma and organ lipid levels partly by increasing fecal lipid excretion and inhibiting fatty acid and cholesterol biosynthesis in the liver. (Korean J Nutr 2009; 42(1): 14 ~ 22)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서론
      • 재료 및 방법
      • 결과
      • 고찰
      • ABSTRACT
      • 서론
      • 재료 및 방법
      • 결과
      • 고찰
      • 요약
      • Literature cite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장재희, "침출 조건에 따른 보리잎차와 녹차의 항산화능 비교"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3 (23): 165-172, 2007

      2 유순집, "비만의 약물 치료" 대한내분비학회 23 (23): 223-233, 2008

      3 Delaney B, "β-glucan fractions from barley and oats are similarly antiatherogenic in hypercholesterolemic Syrian Golden hamsters" 133 : 468-495, 2003

      4 Richmond V, "Use of cholesterol oxidase for assay of total and free cholesterol in serum continuous flow analysis" 22 : 1579-1588, 1976

      5 Davignon J, "Triglyceride: a risk factor for coronary heart disease" 124 (124): S57-S64, 1996

      6 Markham KR, "The mis-identification of the major antioxidant flavonoids in young barley (Hordeum vulgare) leaves" 58 : 53-56, 2003

      7 Newman RK, "The hypocholesterolemic function of barley β-glucans" 34 : 883-886, 1989

      8 Kim KT, "The functionality of barley leaves and its application on functional foods" 36 : 45-49, 2003

      9 Chisaka T, "The effect of crude drugs on experimental hypercholesteremia:mode of action of (-)-epigallocatechin gallate in tea leaves" 36 : 227-233, 1988

      10 American Institute of nutrition, "Report of the American Institute of nutrition Ad Hoc committee on standards for nutritional studies" 107 : 1340-1348, 1977

      1 장재희, "침출 조건에 따른 보리잎차와 녹차의 항산화능 비교"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3 (23): 165-172, 2007

      2 유순집, "비만의 약물 치료" 대한내분비학회 23 (23): 223-233, 2008

      3 Delaney B, "β-glucan fractions from barley and oats are similarly antiatherogenic in hypercholesterolemic Syrian Golden hamsters" 133 : 468-495, 2003

      4 Richmond V, "Use of cholesterol oxidase for assay of total and free cholesterol in serum continuous flow analysis" 22 : 1579-1588, 1976

      5 Davignon J, "Triglyceride: a risk factor for coronary heart disease" 124 (124): S57-S64, 1996

      6 Markham KR, "The mis-identification of the major antioxidant flavonoids in young barley (Hordeum vulgare) leaves" 58 : 53-56, 2003

      7 Newman RK, "The hypocholesterolemic function of barley β-glucans" 34 : 883-886, 1989

      8 Kim KT, "The functionality of barley leaves and its application on functional foods" 36 : 45-49, 2003

      9 Chisaka T, "The effect of crude drugs on experimental hypercholesteremia:mode of action of (-)-epigallocatechin gallate in tea leaves" 36 : 227-233, 1988

      10 American Institute of nutrition, "Report of the American Institute of nutrition Ad Hoc committee on standards for nutritional studies" 107 : 1340-1348, 1977

      11 Wilson TA, "Reduced and high molecular weight barley β-glucans decrease plasma total and non-HDL-cholesterol in hypercholesterolemic Syrian Golden hamsters" 134 : 2617-2622, 2004

      12 Erickson SK, "Rat liver acyl-coenzyme A: cholesterol acyltransferase: its regulation in vivo and some of properties in vitro" 21 : 930-941, 1980

      13 Gutfinger T, "Polyphenols in olive oils" 58 : 966-968, 1981

      14 AOAC,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1995

      15 Shapiro DJ, "Micro assay for 3-hydroxy-3-methylglutaryl-CoA reductase in rat liver and in L-cell fibroblasts" 370 : 369-377, 1974

      16 Behall KM, "Lipids significantly reduced by diets containing barley in moderately hypercholesterolemic men" 23 : 55-62, 2004

      17 Tian WX, "Inhibition of fatty acid synthase by polyphenols" 13 : 967-977, 2006

      18 Johansson CG, "Hallmer H. Rapid enzymatic assay of insoluble and soluble dietary fiber" 31 : 476-482, 1983

      19 Carl MN, "Fatty acid synthase from rat liver" 35 : 37-44, 1975

      20 Yu YM, "Effects of young barley leaf extract and antioxidative vitamins on LDL oxidation and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in type 2 diabetes" 28 : 107-114, 2002

      21 Yugarani T, "Effects of polyphenolic natural products on the lipid profiles of rats fed high fat diets" 27 : 181-186, 1992

      22 Rieckhoff D, "Effects of different cereal fibers on cholesterol and bile acid metabolism in the Syrian Golden hamster" 76 : 788-795, 1999

      23 German B, "Effects of dietary fats and barley fiber on total cholesterol and lipoprotein cholesterol distribution in plasma of hamsters" 16 : 1239-1249, 1996

      24 Yu YM, "Effect of young barley leaf extract and adlay on plasma lipids and LDL oxidation in hyperlipidemic smokers" 27 : 802-805, 2004

      25 Hartog MGL, "Dietary antioxidant flavonoids and risk of coronary heart disease: the Zutphen Elderly Study" 342 : 1007-1011, 1993

      26 Jeraci JL, "Determination of the soluble fiber components:(1→3: 1→4)-β-D-glucans and pectins" 23 : 15-25, 1989

      27 US Food and Drug Adminstration, Center for Food Safety and Applied Nutrition, Office of Nutritional Products, Labeling, and Dietary Supplements, "Claims that can be made for conventional foods and dietary supplements. CFR 101.81. Appendix C" 2003

      28 Cui SW, "Cereal non-starch polysaccharide I: (1→3) (1→4)-β-D-glucans. in polysaccharide gums from agricultural productsprocessing, structures and functionality" Technomic Publishing 103-166,

      29 Bamforth CW, "Barley β-glucans: their role in malting and brewing" 22 : 22-27, 1982

      30 Newman RK, "Barley as a food grain" 36 : 800-805, 1991

      31 McIntosh GH, "Barley and wheat foods: influence on plasma cholesterol concentrations in hypercholesterolemic men" 53 : 1205-1209, 1991

      32 Lazarow PB, "Assay of peroxisomal β-oxidation of fatty acids" 72 : 315-319, 1981

      33 Ohmori R, "Antioxidant activity of various teas against free radicals and LDL oxidation" 40 : 849-853, 2005

      34 Kitta K, "Antioxidant activity of an isoflavonoid, 2˝-O-glycosylisovitexin isolated from young green barley leaves" 40 : 1843-1845, 1992

      35 Aman P, "Analysis of total and insoluble mixed-linked (1→3) (1→4)-β-D-glucans in barley and oats" 35 : 704-709, 1987

      36 Folch J, "A simple method for the isolation and purification of total lipid from animal tissues" 226 : 497-509, 1975

      37 Bradford MM, "A rapid and sensitive method for the quantitation of microgram quantities of protein utilizing the principle of protein-dye binding" 72 : 248-254, 1976

      38 Muller PH, "A fully enzymatic triglyceride determination" 15 : 457-464, 197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3-07-2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영양학회지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외국어명 : The Korean Journal of Nutrition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8-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6 0.86 1.0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8 1.11 1.778 0.1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