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기술노트 : 추계와 동계 섬진강하구 부유퇴적물농도 변화 = Technical Note : The Change of Suspended Sediment Concentration in the Seomjin River Estuary during Fall and Winter Month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66786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hanges of suspended sediment concentration in the Seomjin river estuary located in south sea of the Korea peninsula were investigated during the spring tide in autumn (i.e. 25 hours in October) 2000 and winter (i.e. 25 hours in February) 2001. The ch...

      Changes of suspended sediment concentration in the Seomjin river estuary located in south sea of the Korea peninsula were investigated during the spring tide in autumn (i.e. 25 hours in October) 2000 and winter (i.e. 25 hours in February) 2001. The changes of temperature and salinity during the spring tide in October 2000 showed larger variations than the those in February 2001. During the spring tide in October 2000, currents at bottom layer were observed to be stronger than during the spring tide in February 2001, showing that both of the two periods had ebb currents-predominant tide asymmetries. The suspended sediment concentrations in October 2000 were larger than the those in February 2001. At the time of the maximum of tide currents or after about one hour of the maximum during the autumn months, the suspended sediment turbidity was observed to be maximum. Another observation station at Hadong upstream from the Seomjin river estuary showed about one hour delay in tide phase, Thereby, the suspended sediment concentration showed high turbidity after two hours at bottom and three hours at surface layer, in particular, in October 2000. This results can be explained by the facts that river discharge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the summer rainy season, causing also increase of erosion processes by strong current velocity at bottom layer.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석윤, "현장입도분석기를 이용한 섬진강하구 부유퇴적물의 특성 연구" 한국수산과학회 37 (37): 323-329, 2004

      2 최동림, "한반도 남해안 광양만의 최근 지형변화 및 후기 제4기 퇴적층서 발달" 한국해양학회 8 (8): 4-43, 2003

      3 이창복, "한국 서해 금강하구역에서 최대혼탁 수의 형성과 변화에 대한 연구" 22 : 105-118, 1987

      4 박용안, "한국 남해안 광양만의 퇴적 환경" 19 : 82-88, 1984

      5 김신정, "한국 남해안 광양만 동부에서 저서성 유공충의 퇴적작용과 분포 변화" 1 : 32-45, 1996

      6 박정기, "한강하구역과 경기만 지역에서 점토 광물 연구" 26 : 313-323, 1991

      7 장현도, "한강종합개발 이후 한강하구 및 경기 만의 퇴적환경 연구" 26 : 13-23, 1991

      8 이상호, "하구언 수문 작동으로 인한 금강 하구역의 물리적 환경변화 II 염분 구조와 하구유형" 4 : 253-265, 1999

      9 최진용, "하구언 갑문 폐쇄후 금강하 구의 물리, 퇴적학적 특성변화" 30 : 262-270, 1995

      10 유환수, "섬진강 유역의 하성퇴적층에 관한 연구" 21 : 174-187, 2000

      1 김석윤, "현장입도분석기를 이용한 섬진강하구 부유퇴적물의 특성 연구" 한국수산과학회 37 (37): 323-329, 2004

      2 최동림, "한반도 남해안 광양만의 최근 지형변화 및 후기 제4기 퇴적층서 발달" 한국해양학회 8 (8): 4-43, 2003

      3 이창복, "한국 서해 금강하구역에서 최대혼탁 수의 형성과 변화에 대한 연구" 22 : 105-118, 1987

      4 박용안, "한국 남해안 광양만의 퇴적 환경" 19 : 82-88, 1984

      5 김신정, "한국 남해안 광양만 동부에서 저서성 유공충의 퇴적작용과 분포 변화" 1 : 32-45, 1996

      6 박정기, "한강하구역과 경기만 지역에서 점토 광물 연구" 26 : 313-323, 1991

      7 장현도, "한강종합개발 이후 한강하구 및 경기 만의 퇴적환경 연구" 26 : 13-23, 1991

      8 이상호, "하구언 수문 작동으로 인한 금강 하구역의 물리적 환경변화 II 염분 구조와 하구유형" 4 : 253-265, 1999

      9 최진용, "하구언 갑문 폐쇄후 금강하 구의 물리, 퇴적학적 특성변화" 30 : 262-270, 1995

      10 유환수, "섬진강 유역의 하성퇴적층에 관한 연구" 21 : 174-187, 2000

      11 강성열, "섬진강 유역 분수계의 지형적 특성" 한국지형학회 11 (11): 11-28, 2004

      12 김석윤, "낙동강하구역과 인접주변해역의 퇴적 상과 퇴적환경 변화" 34 : 268-278, 2001

      13 이유대, "낙동강 하구 역의 해양환경 연구: 퇴적작용 및 중금속 분포" 6 : 1-7, 1990

      14 최진용, "금강하구 및 인근해역에서 부유퇴적물의 계 절적변동에 관한 연구" 28 : 272-280, 1993

      15 이연규, "광양만 및 여수해만 퇴적환경 변화: 퇴적물특성과 점토광물 분포를 중심으 로" 17 : 407-416, 1996

      16 Kim, D. C, "Suspended sediment budget in Gwangyang Bay through the Yeosu Sound" 24 : 31-38, 1991

      17 김석윤, "2003년 3월 대조기 광양만 부유퇴적물의 유 · 출입에 관한 연구" 한국수산과학회 37 (37): 511-516, 200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2-01-0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수질보전 한국물환경학회지 -> 한국물환경학회지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KCI등재
      2011-12-27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Society on Water Quality ->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7-22 학회명변경 영문명 :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Qulity -> Korean Society on Water Quality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1 0.51 0.4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3 0.39 0.613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